엑셀 필수 함수 XLOOKUP 완벽 정복! 실전 예제와 응용 비법 공개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XLOOKUP 함수 완전 정복!
엑셀에서 데이터를 찾고 가져올 때 정말 유용한 XLOOKUP 함수를 배워볼 거야. VLOOKUP보다 훨씬 똑똑하고 편리하니까 꼭 익혀두자!
1. XLOOKUP 함수, 뭐가 달라졌을까?
기존 VLOOKUP 함수는 찾으려는 값이 항상 오른쪽에 있어야 했잖아? 근데 XLOOKUP은 왼쪽에 있는 값도 찾아올 수 있어! 마치 탐정처럼 어디든 다 찾아다닌다고 생각하면 돼.
그리고 [N/A값]이라는 새로운 기능이 추가됐는데, 이건 데이터를 못 찾았을 때 어떻게 처리할지 미리 정해주는 거야. 예를 들어, "찾는 값이 없으면 0으로 표시해줘!" 라고 미리 말해줄 수 있지.
2. 실전으로 배워보자!
예시 1: 상여금 계산하기
- 문제: 부서별 상여금 비율을 이용해서 직원들의 상여금을 계산해야 해.
- XLOOKUP 활용:
- 직원 이름으로 상여금 비율 표에서 해당 부서의 상여금 비율을 찾아와.
- 만약 부서 이름이 표에 없어서 데이터를 못 찾으면, 자동으로 0%로 표시되게 설정해줘. (이게 바로 [N/A값] 기능!)
- 찾아온 상여금 비율에 기본급을 곱하면 상여금 완성!
예시 2: 소득세 계산하기
- 문제: 직원의 급여에 맞는 소득세율과 누진공제액을 찾아서 소득세를 계산해야 해.
- XLOOKUP 활용:
- 직원의 급여가 소득세율 표의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 찾아야 하는데, 이때 "정확히 일치하거나 다음으로 작은 값"을 찾는 기능을 사용해. (이건 마치 "내 키보다 작거나 같은 사람 중에 제일 큰 사람 찾아줘!" 하는 거랑 비슷해.)
- 찾아온 세율과 누진공제액을 이용해서 소득세를 계산하면 끝!
예시 3: 마지막 방문일 찾기
- 문제: 고객별 방문 내역에서 특정 고객의 마지막 방문일을 찾아야 해.
- XLOOKUP 활용:
- 기존에는 복잡한 방법으로 마지막 값을 찾았는데, XLOOKUP은 "역방향 검색" 기능으로 아주 쉽게 해결해줘. 마치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는 것처럼!
- 만약 고객 ID를 정확히 기억 못해도, "와일드카드" 기능으로 "monic"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ID를 찾을 수도 있어. (와일드카드는 별표(*), 물음표(?) 같은 특수문자야.)
예시 4: 직원 정보 한 번에 가져오기 (동적 배열 함수)
- 문제: 직원 ID 하나로 그 직원의 모든 정보를 한 번에 가져오고 싶어.
- XLOOKUP 활용:
- XLOOKUP은 "동적 배열 함수"라서, 여러 개의 값을 한 번에 가져올 수 있어. 마치 주문 하나로 여러 메뉴를 다 받는 것처럼!
- 직원 ID를 찾아서, 가져오고 싶은 정보가 있는 모든 열을 한 번에 선택해주면 돼. 그러면 해당 직원의 모든 정보가 자동으로 쫙 펼쳐져!
- 이렇게 가져온 정보들을 TEXTJOIN 함수와 함께 사용하면, 모든 정보를 하나의 텍스트로 합칠 수도 있어.
3. 주의할 점!
- 호환성: XLOOKUP 함수는 최신 버전의 엑셀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 이전 버전의 엑셀을 쓰는 사람과 파일을 공유하면 오류가 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해.
XLOOKUP 함수, 정말 강력하지? 앞으로 엑셀 작업할 때 꼭 활용해보길 바라! 궁금한 점은 언제든지 댓글로 물어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