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20년 폭락한다? 정말 그럴까? (박종훈의 지식한방)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 최근 유튜버가 금값이 20년 내에 폭락할 것이라고 주장했어요.
- 근거로 1980년 금값이 850달러에서 99년 250달러로 떨어졌다고 했어요.
- 하지만 그 근거는 너무 빈약하다고 생각해요.
- 1980년 금값이 올랐던 시기와 그 이후를 살펴볼 필요가 있어요.
- 1971년 금값은 35달러였어요.
- 10년 만에 24배 오른 셈이죠.
- 2015년 이후 금값은 세 배 올랐어요.
- 앞으로 20년 동안 금값이 계속 떨어진다는 건 논리적이 아니에요.
- 1980년 금값 하락의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어요.
- 그중 하나는 미국 연준이 금리를 20% 가까이 인상했기 때문이에요.
- 또 다른 이유는 금 생산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거예요.
- 인류가 갖고 있는 금의 3분의 2는 최근 70년 동안 채굴됐어요.
- 금 생산량은 기술 발전으로 급증했어요.
- 1850년부터 1980년대까지 금 생산량이 크게 늘었어요.
- 1980년대 이후 금 생산량은 정체됐어요.
- 금광 개발 비용은 계속 늘어나고 있어요.
- 탐사와 개발이 4~5년 걸리기 때문에 바로 생산량에 반영돼요.
- 최근 금값이 오른 이유는 생산량이 늘지 않아서예요.
- 세계 통화량(M2)이 늘어나면서 금 수요도 증가했어요.
- 하지만 금값이 1980년 수준으로 오르려면 더 많은 통화량이 필요해요.
- 현재는 금값이 아직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20년 후 폭락을 확신하기 어렵죠.
- 금 수요는 장신구 수요와 투자 수요로 나뉘어요.
- 최근에는 투자 수요가 급증했어요.
- 미국 정부는 금값 상승을 매우 싫어해요.
- 과거 미국은 금값을 낮추기 위해 금을 팔았어요.
- 금값이 오르면 미국의 금 보유량이 영향을 받기 때문이에요.
- 현재도 미국은 금값 상승을 막으려 하고 있어요.
- 또 경기 침체가 오면 금값이 하락할 수도 있어요.
- 경기 침체 시 현금이 필요해서 금을 팔 수 있거든요.
- 2001년, 2008년, 2020년 사례들이 있어요.
- 하지만 팬데믹 때는 금값이 오르기도 했어요.
- 결론적으로, 장기적으로는 정부의 재정적자와 통화량 증가가 금값을 끌어올릴 가능성이 높아요.
- 하지만 지금 금값이 많이 오른 상태라 조정도 예상돼요.
- 앞으로 금값은 여러 요인에 따라 움직일 거예요.
- 다음 시간에 더 자세히 이야기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