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아직 끝이 아니다! 최고의 순간을 기다리는 당신에게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아직 최고는 오지 않았다: 코인 투자, 지금이 기회일까?

1. 금리 동결과 '강달러'의 그림자

  • 미국 금리 동결: 연준 의장이 금리 동결을 발표했는데, 전 연준 이사는 "노동 시장이 튼튼하면 9월에도 금리 인하 없을 것"이라고 말했어. 이건 금리가 더 오를 수 있다는 뜻이고, 달러가 강해지는 요인이 돼.
  • 원/달러 환율 상승: 이 때문에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넘었어. 달러가 강해지면 외국 돈이 미국으로 몰리면서 다른 나라 돈 가치는 떨어지거든.
  • 관세 부과 우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부과할 거라는 말도 있어.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 내 물가가 오를까 봐 걱정하는 거지.
  • 단기적 영향: 이런 상황 때문에 당분간 달러는 강하고 원화는 약한 '강달러, 약원화' 현상이 이어질 수 있어. 자산 시장이 좀 위축될 수도 있지.

2. '소음' 속에서 기회를 찾다

  • 장기적 전망: 하지만 이런 단기적인 출렁임은 '소음'일 뿐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어. 앞으로 6개월에서 1년 정도를 보면, 금융 완화가 일어나면서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는 거지.
  • 기관들의 이더리움 매집: 많은 기관들이 이더리움을 계속 사들이고 있어. 최근 3주 동안 무려 79만 개의 이더리움을 사들였는데, 이게 돈으로 따지면 4조 원어치래. 평단가도 480만 원이 넘는데도 말이야.
  • 코인 투자의 본질: 코인 투자는 마치 긴 기다림 끝에 오는 짜릿한 폭등장을 노리는 게임과 같아. 1년을 기다려도 딱 일주일의 짜릿함을 위해 투자하는 것처럼, 몇 년을 기다려도 마지막 몇 달의 큰 상승을 위해 투자하는 사람들도 많아.
  • '바이 앤 딥' 전략: 우량 코인을 사서 기다리는 '바이 앤 딥' 전략이 가장 수익이 높고 안전하다고 하지만, 탐욕 때문에 이걸 지키기 어려운 게 현실이지.

3. 거대한 자금의 흐름과 '쩐주'들의 움직임

  • 기관들의 자금 조달: 스트라테지라는 회사가 42억 달러(약 6조 원)를 추가로 조달하려고 해. TD 증권, 바클레이즈, 모건 스탠리 같은 큰 은행들이 이미 우선주 매각 계약을 체결했어.
  • 의도적인 펌핑: 비트코인 ETF 승인 이후로 돈이 어디서 나는지 모르겠는데, 이걸 '쩐주'라고 표현할 수 있어. 이 '쩐주'들은 단순히 몇몇 투자자뿐만 아니라 블랙록, 뱅가드, 피델리티, JP모건 같은 전통 금융 회사들이야.
  • 기술 기업들의 참여: 일론 머스크, 피터 틸 같은 빅테크 기업들도 이 판에 뛰어들고 있어. 이런 거대한 자금과 기술력의 결합이 지금의 시장을 만들고 있는 거지.
  • 미국 정부의 움직임: 미국 SEC 의장이 '프로젝트 크립토'를 발표하며 금융 시장을 온체인으로 전환하겠다고 했어. 몇 년 전부터 "모든 자산은 토큰화될 것"이라는 예측이 현실이 되고 있는 거야.
  • 규제 완화와 슈퍼앱: SEC는 대부분의 코인을 상품으로 분류하고, 투자자들이 더 많은 선택권을 가질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려 하고 있어. 브로커 딜러들은 여러 라이선스 없이도 암호화폐 거래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거야. 이게 바로 '슈퍼앱'으로 이어질 수 있는 거지.
  • 국가 주도의 성장: 미국은 AI와 크립토를 국가적으로 육성하며 달러 패권을 지키고 중국에 역전당하지 않으려 하고 있어. 마치 우리나라의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처럼 말이야.

4. '롱 청산'과 억만장자들의 투자

  • 강제 청산: 최근 24시간 동안 8,500억 원이 넘는 롱 포지션이 강제 청산되었어. 이건 많은 사람들이 가격 상승에 베팅했다가 손해를 봤다는 뜻인데, 시장은 무지하거나 탐욕스러운 사람을 용서하지 않는다는 걸 보여주는 거지.
  • 억만장자들의 비트코인 매수: 부동산 투자사 카돈 캐피탈은 비트코인 1,000개를 추가로 매수했어. 올해 안에 총 3,000개의 비트코인을 사겠다고 했지.
  • 숨겨진 자산: 상장 기업들은 보유한 비트코인 수를 공시해야 하지만, 개인 억만장자들은 그렇지 않아. 카돈 형제들도 개인적으로 얼마나 많은 비트코인을 가지고 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
  • 기회의 시간: 카돈 형제 중 한 명은 비트코인이 앞으로 15년간 주어지는 한정적인 기회라고 말했어. 전 세계 억만장자 3,500명 중 비트코인을 가진 사람은 30명도 안 된다고 해. 100만 장자 6,200만 명도 비트코인 2,100만 개를 다 가질 수는 없지.

5. 동남아시아의 부상과 '빨리빨리'의 함정

  • 베트남의 암호화폐 허브: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에서 암호화폐 허브로 떠오르고 있어. 2,100만 명의 투자자가 있고, 젊은 인구 비중이 높아 디지털 경제 성장이 빨라.
  • 개인 투자자 중심: 하지만 아직은 개인 투자자 중심이고, 기관 참여는 적은 편이야. 규제가 정비되면 빠르게 성장할 가능성이 높지.
  • 개발도상국의 기회: 동남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중남미 등 개발도상국에는 34억 명이 넘는 인구가 있어. 이 중 50% 이상이 MZ 세대인데, 이들은 부동산이나 자동차 대신 코인에 투자하는 경향이 강해.
  • '빨리빨리'는 금물: 코인 투자에서 '빨리빨리'가 능사는 아니야. 우리나라 최초의 코인 거래소 '코빗'보다 나중에 나온 '업비트'가 더 성공했고, 최초의 웹 브라우저 '넷스케이프'보다 나중에 나온 '구글 크롬'이 더 많이 쓰이는 것처럼 말이야.
  • 실패를 통한 학습: 최초로 시작했다고 해서 무조건 성공하는 건 아니야. 오히려 먼저 실패하면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후발 주자들이 성공하는 경우가 많아. 과거의 실패를 디딤돌 삼아 배우고, 탐욕을 조절하며 꾸준히 투자하는 것이 중요해.

6. '긍정론자'가 되어 기회를 잡자

  • 맹신은 금물: 긍정론자가 된다는 것은 맹신하는 것이 아니라, 공부하고 포기하지 않는 거야. 회의적인 시각을 넘어 '해봤자 되겠어'라고 생각하는 것은 투자를 망치는 지름길이지.
  • 'Best is yet to come': 아직 최고의 순간은 오지 않았어. 코인 시장은 단기적인 출렁임이 있겠지만, 앞으로 5년, 10년 길게 보고 투자해야 해. 중간중간 기회가 올 때마다 잘 익절하는 것도 잊지 말고.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