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필수 재테크 용어 총정리! 왕초보도 쉽게 배우는 경제 공부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경제 용어 완전 정복! 중학생도 이해 가능!
1. 예금 vs 적금
- 예금: 모아둔 돈을 은행에 맡겨두고 이자까지 받는 거야. 500만원 모았는데 당장 쓸 데 없으면 예금에 넣어두는 거지. 근데 갑자기 돈이 필요하면 빼기 어려울 수 있어.
- 적금: 매달 꾸준히 돈을 조금씩 넣어서 만기일에 원금이랑 이자를 받는 거야. 예금처럼 만기 전에는 돈을 못 빼. 매달 정해진 날짜에 넣는 정기 적금이랑, 횟수나 금액 상관없이 자유롭게 넣는 자유 적금이 있어.
- 정리: 예금은 돈을 맡기는 거, 적금은 돈을 차곡차곡 쌓아가는 거라고 생각하면 돼. 사회 초년생은 적금부터 시작해서 돈 모으는 게 좋아!
2. 금리
- 금리: 돈을 빌리거나 맡길 때 내는 '돈의 사용료'라고 생각하면 쉬워.
- 예시 1: 10만원 빌리고 1만원 더 갚으래. 1만원은 10만원의 10%니까 금리가 10%인 거야.
- 예시 2: 은행에 1만원 맡겼더니 500원 준대. 500원은 1만원의 5%니까 금리가 5%인 거지.
- 기준 금리: 모든 금리의 기준이 되는 금리야. 우리나라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에서 정해.
- 기준 금리 낮아지면: 은행 금리도 낮아져. 사람들이 돈을 덜 쓰고 저축을 더 많이 하게 돼. 경기가 안 좋아질 수 있어.
- 기준 금리 높아지면: 은행 금리도 높아져. 사람들이 돈을 더 많이 쓰고 저축을 덜 하게 돼. 경기가 과열될 수 있어.
- 한국은행 역할: 경기가 너무 안 좋으면 기준 금리를 내려서 돈을 더 쓰게 하고, 경기가 너무 과열되면 기준 금리를 올려서 돈을 덜 쓰게 조절해.
- 고정 금리 vs 변동 금리:
- 고정 금리: 대출받을 때 정한 금리가 만기까지 그대로 유지돼. 기준 금리가 올라도 이자 부담이 없어.
- 변동 금리: 기준 금리가 바뀌면 대출 이자도 같이 바뀌어. 기준 금리가 오르면 이자도 더 많이 내야 해.
- 주의: 예금이나 적금 들 때도 고정 금리인지 변동 금리인지 꼭 확인해야 해!
3. 자산 vs 부채
- 자산: 내가 가진 모든 재산. 돈으로 바꿀 수 있는 것들 (현금, 주식, 부동산, 자동차 등).
- 부채: 내가 갚아야 하는 돈. 빚 (대출금, 카드 할부금 등).
- 순자산: 자산에서 부채를 뺀 거야.
- 주의: SNS에서 '자산 몇 억'이라고 말하는 사람 말 100% 믿지 마. 대출받아서 산 집이나 차도 자산에 포함되거든. 순자산이 얼마인지가 중요해!
4. 주식
- 주식: 회사의 작은 조각을 사는 거야. 회사가 잘 되면 내 주식 가치도 올라가고, 회사가 어려워지면 내 돈을 잃을 수도 있어.
- 예시: 맛있는 빵집이 돈을 더 벌기 위해 소유권을 조각으로 나눠 팔아. 그 조각이 바로 주식! 네가 그 조각을 사면 빵집의 작은 주인이 되는 거지.
- 투자 시 주의: 유명한 회사라고 무턱대고 투자하지 말고, 그 회사에 대해 잘 알아보는 과정이 꼭 필요해.
5. 코스피 vs 코스닥
- 코스피: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고 유명한 대기업들이 모여 있는 시장 (삼성전자, 네이버, 카카오 등).
- 코스닥: 비교적 작은 회사들이지만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은 곳들이 모여 있는 시장.
- 지수: 시장의 전체적인 흐름을 숫자로 표현한 거야. 코스닥 지수가 올랐다는 건 전반적으로 시장 주가가 오르고 있다는 뜻.
6. 재무제표
- 재무제표: 회사의 '돈 관리표'라고 생각하면 쉬워. 회사가 돈을 얼마나 벌고, 어디에 쓰고,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 보여주는 표야.
- 왜 봐야 할까? 회사가 돈을 잘 벌고 있는지,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있는지 등을 파악해서 투자할 때 꼭 봐야 해.
7. 상장
- 상장: 회사가 주식을 공개적으로 팔 수 있게 되는 거야. 상장된 회사들은 우리가 주식을 살 수 있어.
- 조건: 상장하려면 매출, 안정적인 운영, 투명성, 성장 가능성 등 까다로운 조건들을 통과해야 해. 상장된 회사들은 대단한 회사들이라고 볼 수 있지.
8. 배당
- 배당: 회사가 열심히 벌어들인 돈을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거야. 감사하다는 의미로 주는 거지.
- 종류:
- 현금 배당: 돈으로 직접 주는 거야. (예: 주당 1,500원 배당)
- 주식 배당: 주식으로 주는 거야. (예: 3% 주식 배당)
- 배당주/고배당주: 배당률이 높은 주식을 말해. 오래 투자하면 쏠쏠한 배당 수익을 얻을 수 있어.
9. 채권
- 채권: 회사한테 돈을 빌려주고 정해진 날짜에 이자와 함께 돌려받기로 약속하는 거야.
- 주식 vs 채권:
- 주식: 회사가 잘 되면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위험도 커.
- 채권: 정해진 이자를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지만 큰 수익은 기대하기 어려워. 주식보다 안전한 편이야.
10. ETF (상장지수펀드)
- ETF: 여러 가지 주식을 모아 놓은 '바구니'를 사는 거라고 생각하면 돼.
- 장점: 하나의 주식에 몰빵하는 것보다 위험을 줄일 수 있어. 초보 투자자에게 적합할 수 있지.
11. 공모주
- 공모주: 회사가 상장하기 전에 처음으로 일반 사람들에게 파는 주식이야.
- 공모주 청약: 사람들이 공모주를 사겠다고 신청하는 거야.
- 장점: 보통 상장 후 판매 가격보다 저렴하게 나올 때가 많아.
- 주의: 인기 있는 공모주는 경쟁이 치열해서 추첨으로 당첨돼야 살 수 있고, 모든 공모주가 상장 후 오르는 건 아니니 잘 알아보고 투자해야 해.
12. 청약
- 청약: 집을 사고 싶다고 신청하는 거야. 특히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는 집을 사려는 사람이 많고 집은 한정되어 있어서 추첨을 통해 집을 분양받는 거지.
- 장점: 보통 시장 가격보다 저렴하게 살 수 있어.
- 팁: 청약 통장은 꼭 만드는 게 좋아! 청년이라면 청년 주택 드림 청약 통장도 고려해 봐.
13. 신용 점수
- 신용 점수: 은행에서 '이 사람이 돈을 빌려주면 잘 갚을까?'를 평가하는 점수야.
- 중요성: 신용 점수가 높으면 돈을 빌릴 때 더 좋은 조건으로 빌릴 수 있어.
- 관리 팁: 카드값 연체하지 말고, 사회 초년생은 체크카드를 먼저 쓰는 걸 추천해.
14. 제1금융권 vs 제2금융권
- 제1금융권: 우리가 흔히 아는 큰 은행들 (국민은행, 신한은행 등). 이자가 낮고 안전한 편이야.
- 제2금융권: 은행이 아닌 다른 금융 기관들 (저축은행, 캐피탈, 보험 회사 등).
- 특징: 제1금융권보다 돈 빌리기 쉬운 조건이지만, 이자가 더 높아.
- 이용 대상: 신용 점수가 낮거나, 소득이 낮거나, 급하게 돈이 필요한 사람들.
- 주의: 이자율 차이가 크니 신중하게 결정해야 해.
15. 연금
- 연금: 나중에 쓸 돈을 지금부터 조금씩 모아두는 거야. 나이가 들어 일을 못하게 될 때 매달 용돈처럼 받을 수 있어.
- 종류:
- 국민 연금: 모든 사람이 의무적으로 가입하는 연금.
- 개인 연금: 내가 따로 돈을 모아서 가입하는 연금.
- 퇴직 연금: 회사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퇴직 후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연금.
- 목적: 먼 미래의 노후를 위한 저축이야.
오늘 설명한 내용들이 경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 반응이 좋으면 더 어려운 경제 용어들도 쉽게 설명해 줄게. 좋아요, 댓글 많이 남겨줘! 구독, 좋아요, 알림 설정 잊지 말고! 다음 영상에서 또 만나자! 안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