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사람이 변했다고요? 진짜 본색이 드러난 겁니다ㅣ지식인초대석 (김경일 교수 풀버전)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성격, 거짓말, 그리고 나르시시스트: 김경일 교수님과의 대화 정리

1. 성격은 얼굴에 드러날까?

  • 젊은 시절 vs 지금 얼굴 비교: 20살 때 사진과 50살 때 사진을 비교하면 성품을 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어. 타고난 성격은 못 바꿔도 성품은 다듬을 수 있기 때문이지.
  • 40대 이후 얼굴 책임: 40대 이후에는 얼굴에 삶의 흔적이 드러나기 때문에 "자기 얼굴에 책임을 져야 한다"는 말은 어느 정도 맞는 말이야.
  • SNS의 함정: SNS에 과장되거나 연출된 모습을 많이 올리는 건 오히려 성품에 문제가 있다는 걸 보여주는 신호일 수도 있어. 과거 사진과 비교하면 더 잘 알 수 있지.

2. 친절함은 어디서 올까? (표정, 태도, 말)

  • 개인차: 사람마다 친절함이 표정, 태도, 말투 중 어디에 더 드러나는지는 달라. 삼박자가 다 친절한 사람은 드물지.
  • 불일치: 표정, 태도, 말이 너무 다르면 위선적으로 보일 수 있어.
  • 속이기 어려운 것: 전문적으로 훈련된 사기꾼 같은 경우, 대화할 때 속이기 어렵다고 해. 특히 목적 없이 관찰할 때 사람을 더 잘 파악할 수 있대.

3. "진심으로 하는 헛소리" (개소리) vs 거짓말

  • 거짓말: 진실이 뭔지 알고 말하는 거라 팩트 체크하면 무너져.
  • 개소리 (Bullshit): 진실에 관심 없고 자기 생각만 믿는 거야. 이런 사람을 설득하기가 제일 어려워. 사이비 종교 교주처럼 자기 마음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 대처법: 개소리에 흔들리지 않으려면 자기만의 '정의'를 갖는 게 중요해. 내가 어떤 사람인지, 어떤 사회를 원하는지에 대한 정의가 있으면 쉽게 흔들리지 않아.

4. 나르시시스트와 개소리

  • 나르시시스트: 내가 잘난 것보다 남이 못 나야 한다고 생각해. 과도한 칭찬이 원인이 되기도 해.
  • 개소리 하는 이유: 자신의 능력이 부족해도 남을 낮춰야 하기 때문에 개소리를 하는 거야. "내가 올라가는 것보다 네가 내려가야 한다"는 식이지.
  • 대처법: 나르시시스트는 가까이하지 않는 게 좋아. 특히 은밀하게 남 흉을 볼 때 위험해.

5. 실패를 받아들이는 힘

  • 작은 실수 vs 인생 망함: 사소한 실수도 인생이 망했다고 느끼는 건, 과거의 상처가 한꺼번에 터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야.
  • "내 그럴 줄 알았어"의 함정: 이런 말은 행동 수정을 막고 문제를 회피하게 만들어. 학습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성장이 멈추는 거지.
  • 성장을 위한 태도: 실수했을 때 솔직하게 인정하고 고백하는 문화가 중요해. 자신만의 시그니처 멘트나 행동을 만들어 유쾌하게 인정하는 것도 좋아.

6. 게으름 vs 트리거

  • 게으름의 오해: 게으름은 천성이 아니라, 행동을 시작하게 하는 '트리거'가 없는 경우가 많아.
  • 트리거 찾기: 책상 앞에 앉는 것, 리모컨을 잡는 것 등 작은 행동을 시작하게 하는 트리거를 찾아야 해.
  • 생산성 높이기: 자신에게 맞는 시간, 장소, 일을 기록하고 데이터베이스를 만들면 의지력 없이도 생산성을 높일 수 있어. (예: 연구실에서는 논문, KTX에서는 이메일 답장)

7. 아침형 인간 vs 저녁형 인간

  • 개인의 리듬: 아침형 인간과 저녁형 인간은 분명히 존재하며, 각자에게 유리한 시간대가 있어.
  • 한국 사회의 문제: 한국 사회는 아침형 인간에게 유리하게 맞춰져 있어 저녁형 인간에게는 힘들 수 있지.
  • 나에게 맞는 시간 찾기: 내가 언제 가장 활발한지 파악하고, 그 시간에 맞춰 하루를 계획하는 것이 중요해. (예: 오전에는 깊은 생각, 오후에는 루틴한 일)

8. 계획 vs 목표

  • 계획은 촘촘하게: 목표를 계획으로 착각하지 말고, 아주 잘게 쪼개서 계획을 세워야 해. (예: 오늘 오전 9시부터 10시까지 할 일)
  • 성취감 활용: 작은 목표를 달성하며 성취감을 느끼면, 게임처럼 재미를 붙여 꾸준히 할 수 있어. (예: 원고지에 글 쓰기, 페이지 단위로 진도 나가기)

9. 쉬지 않는 청년들

  • 미래 예측의 함정: 미래를 너무 구체적으로 예측하면, 계획대로 되지 않았을 때 좌절하기 쉬워.
  • 동사형 목표: 명사나 숫자로 목표를 세우기보다, '어떤 사람이 되고 싶다'는 동사형으로 목표를 세우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 행동 약속: 감정을 약속하기보다 행동을 약속해야 관계를 오래 유지할 수 있어. (예: "죽을 때까지 사랑할게" 대신 "죽을 때까지 너에게 화내지 않을게")

10. 일의 재미 찾기

  • 일은 원래 재미없다?: 일이나 공부는 원래 지루하고 인내심이 필요해. 재미있다고 느끼는 건 몰입했기 때문이야.
  • 게임화: 일을 게임처럼 만들면 몰입도를 높일 수 있어. (예: 스코어, 레벨, 성장감)
  • 직무 변경: 현재 하는 일이 재미없다면, 이직 전에 직무 변경을 시도해 보는 것이 좋아. 의외로 자신에게 맞는 일을 찾을 수도 있고, 새로운 성장감을 느낄 수도 있지.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