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요약 제목

콜레스테롤 낮추는 진짜 비법과 음식 정리 1부

원본 제목

음식으로 콜레스테롤 떨어뜨리는 방법 1부 l 포화지방 편 l 빵, 과자, 아이스크림, 믹스커피, 육류, 면류, 탕류, 밥류 l 닥터딩요

닥터딩요

조회수 조회수 2.2M 좋아요 좋아요 45.5K 게시일 게시일

설명

- 2부도 많은 시청 부탁드립니다 : https://youtu.be/LbFrj12cQqY - 보건복지부 질환 관리를 위한 바른 식생활 가이드 :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37296 - 식약처 외식 영양성분 자료집 : https://www.mfds.go.kr/brd/m_231/view.do?seq=33042&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1 인트로 0:00 목차 1:19 총론(서론) 1:44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는 것이 어려운 이유 2:36 지방 총론 10:06 포화지방 17:38 빵/케이크/디저트 20:33 과자/아이스크림 25:11 면류 27:10 커피믹스/초콜릿 28:43 육류 29:56 삼겹살 먹는 법 33:12 가공육/햄버거 36:33 탕류/밥류 37:19 2부 예고편 38:54 #콜레스테롤 #음식 #약안먹고콜레스테롤낮추기
자막

자막

전체 자막 보기
자 여러분 유튜브에 콜레스테롤 음식으로 떨어뜨리는 방법이라고 들어가 보면 거의 뭐 99%는 이런 얘기 할 거예요 자 여러분 콜레스를 오르는게 고기가 주범이라고 생각하시죠 아닙니다 자 바로 정제 탄수화물이 문제입니다 그러니까 여러분 콜레스를 다 추려면 정제 탄수화물을 끊으세요 이런 얘기 정말 진짜 뭐 거의 다 이런 영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자 여러분 그래서 정제 탄수화물을 끊어보니까 콜레스테롤이 떨어지던가요 팩트로 자 아닙니다 말도 안 되는 소리입니다 그래서 오늘 제 영상에서는 진짜 정답 저 닥터 딩요가 제 이름을 걸고 감히 말씀드리는데 오늘 콜레스테롤 음식으로 떨어뜨리는 영상 끝판왕을 제가 보여드리겠습니다 제가 왜 끝판왕인가 바로 제가 환자입니다 저는 정말로 lg의 콜레스테롤 높은고 LDL 콜레스테롤 혈증 환자입니다 그러니까 이거는 더더더 끝까지 한번 찾아봤겠죠 지옥 끝까지 찾아보는 거예요 그것도 본의 아니게 3년 동안 자료를 모으기도 했어요 그래서 제가 정말 보건복지부 식약처 뭐 할 거 없이 영혼까지 끌어 모았지만 그래도 결국 근본은 2018년 질 동맥경화학계 진료지침을 중심으로 전반적으로 설명드리도록 할게요 네 안녕하세요 닥터입니다 자 오늘 긴 영상 목차를 먼저 설명드리도록 할게요 자 오늘의 순서입니다 첫 번째 콜레스테롤을 음식으로 떨어뜨리는 방법에 대한 개별적인 내용을 설명드리도록 하고요 2345는 이제 음식의 종류입니다 그 중에서 2 3 4가 지방이고 5번이 나머지라고 할 수 있어요 마지막 여섯 번째는 채식이든 뭐 지중해식이든 여러가지 식단들 그리고 총 전체 결론 이런 순서로 설명드리도록 할게요 첫 번째 개요 자이 개요는 우리가 무얼 먹었을 때 핏속의 콜레스테롤이 오르고 그리고 핏속에 어떤 성분이 동맥경화를 일으키는지 이거를 먼저 깔끔하게 정리하고 넘어가야 콜레스테롤을 음식으로 떨어뜨릴 수가 있어요 그게 자 우리가 음식에서 먹는 지방이 있고 먹는 콜레스테롤이 있어요 근데 그 중에서 주로 먹는 지방이 시소에 콜레스를 올립니다 그래서 먹는 거는 지방이 중요하고 핏속에서는 콜레스테롤이 중요하다 이게 서로 반대다요 개념을 알아야지 오늘 내용을 전반적으로 잘 이해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콜레스테롤을 먹는게 20%고 간에서 만드는게 80%다 이런 얘기는 많이 들어보셨죠 근데 사실이 간에서 만드는 80%도 먹는 지방이이 간에서 만드는 걸 또 촉진하거든요 그래서 여기에도 시기적 요인이 있습니다 분명히 그래서 먹는 지방이 훨씬 더 중요하다 그런 얘기고요 근데 여기서 또 먼저 알고 넘어가야 될게이 음식으로 콜레스를 떨어뜨리는 것은 우리가 고혈압 당뇨 구절증 있잖아요이 세 개 중에서는 가장 어렵습니다 가장 자 그 어려운 이유가 첫 번째 우리가 살을 빼고 뭐 음식을 가리고 운동하고 이런 거는 콜레스테롤을 낮추려는 목적도 있지만 결국 이제 우리가 사실은 건강하려고 하는 거잖아요 근데 이게 건강한 수준까지 해가지고는 별로 안 떨어지는 거예요 자 그게 무슨 말인가 하면 자 예를 들어서 내가 새끼 다 피자를 매일매일 먹었다고 쳐요 그러면 비빔밥을 먹는다고 치면 우리의 건강해지겠죠 근데이 정도까지 해가지고는 콜레스를 한 3~40 밖에 안 떨어진다는 거예요 그래서 ldl 콜레스를 모든 것만큼 떨어뜨리려면 진짜 잡곡밥에 김치만 먹어야 되는 거예요 근데 이게 과연 건강하냐이 말이에요 우리가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고 다른 병원으로 빨리 죽으면 아무 소용이 없잖아요 그래서 우리가 뭐이 정도 지금 비만한 상태인데 제일 건강한 상태까지 딱 뺐다고 쳐요 그러면 이렇게까지만 해가지고는 고지혈증 환자는 혈압 당뇨하고 달리 한 30% 밖에 안 떨어진다는 거야 진짜 완전 진짜 3 40kg까지 빼야지 고지혈증도 좋아지는 거야 근데 엄밀하게 또 고지혈증에 그 lg의 콜레스를 혈증이 있고 그 중성지방혈증 있잖아요 그래서 다시 정확하게 나누면 그 중성지방혈증 환자는 건강한 상태로 생활습관 교정을 하면 거의 90%는 좋아집니다 그래서 같은 고지혈증이지만 콜레스를 낮추는게 여러 성인병 중에서 가장 어렵고 중성지방 낮추는게 가장 쉽다 극과 극이다 그런 얘기고요 자 세 번째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고지혈증 안에서도 뭐 중성지방 뭐 hd를 낮은 콜렛을 높은 거 다 통틀어서이 LDL 콜레스테롤 낮추는 방법만 나머지 좀 달라요 무슨 말이냐면요 두 병은요 병이랑 가까운게 아니라 오히려 당뇨랑 더 성질상 더 가까워요 자 우리가 음식을 먹는게 크게 두 가지의 길이 있습니다 그게 탄수화물질이 있고 지방 길이 있어요 탄산물이 이제 밥 그다음 설탕 뭐 과일도 굳이 분류하면 탄수화물을 볼 수 있겠죠 이런게 있고 지방에는 삼겹살 버터 견과류 이런 애들이라고 할 수 있어요 이렇게 두 가지 길이 예를 들어서 탄수화물 길이 고속도로 단백질이 국도 지방길이 지방이니까 지방도라고 치면 우리는 늘 살면서 고속도로도 가고 국도도 가고 지방도도 가고 항상 골고루 다닙니다 근데 이게 어느 한쪽으로만 계속 가면 탈이 나는 거예요 그게 탄수화물길은 당뇨 생기고 중성지방 오르고 HDL 떨어지고 이런 병들이 생기고 지방길은 이제 ldl이 오르죠 그래서 오늘 lg를 높아서이 영상 보고 계실테니까 여기를 정말 웬만하면 안 가야 됩니다 오늘이 영상 보시는 분 근데 또 그렇다고 해서 또 너무이 고속도로만 몰빵해서 가는 것도 좋지 않다 이제 그런 얘기를 오늘 하루종일 할 거예요 그런데 유튜브에서는 대부분 뭐 여기가 문제다 무조건 이걸 줄여라 이건 많이 먹어라 이걸 많이 먹어도 ldl이 안 오른다거나 아니면 이걸 많이 먹어서 오른 ldl은 큰 ldl이니까 상관없다든지 그런 얘기가 많아요 그런 거는 다 사실이 아닙니다 그래서 뭐 ldl이 높아도 괜찮다 이런 거는 뭐 거의 정신승리에 가까운 말도 안 되는 물론이라고 할 수 있지만 뭐 예를 들어서 ldl이 걱정이 돼서 못한 저지를 하면서 칼로리까지 높으면 실제로이 세 가지 병이 많이 생기는 건 맞거든요 그래서 내가 당연히 완전히 정상이고 건강검진에서 콜레스테롤만 높아서 오늘 영상을 보시는 건강한 분들이라 할지라도 약간 윗길도 조금 신경을 써 줘야 된다는 거예요 자 그래서 앞에서 정제 탄수화물만 줄이면 콜레스를 높은 사람은 괜찮다 뭐 그런 얘기가 틀린 얘기라고 제가 설명을 드렸는데 자 그게 제가 뭐 이거를 제 맘대로 이렇게 뭐 그려놓은게 아니고 실제로 지침에 그렇게 나와 있습니다 자 그 얘기가 여기 있죠 탄수화 LDL 콜레스테롤 수치에 미치는 영향이 중성적이다 무슨 말이냐면 올리지도 않고 내리지도 않는 말이에요 그래서 탄수화물은 콜레스테롤의 영향이 거의 없습니다 거의네 번째로 우리가 뭐 성인병 뭐 혈압 당뇨 고지혈증 있을 때 제일 먼저 하는 얘기는 뭡니까 뭐 금연 하세요 금주하세요 운동하세요 살 빼세요요 4가지 잖아요 근데요 신선한 생활습관 교정 4가지가 다른 성인병들에 비해서이 LDL 콜레스를 낮추는 고지혈증 환자한테 가장 효과가 떨어져요 그래서 아까 그 그림을 다시 보면 여기서 고탄 저지를 한다 하더라도 칼로리만 낮추면요 세 길은 웬만해선 거의 가지 않습니다 하지만 저탄고지를 하게 되면 칼로리를 정말 많이 낮춰도 내가 먹는 전체 칼로리 대비 지방 그 비율만 높아도 콜레스테롤은 거의 100% 올라갑니다 그래서요 길은 칼로리만 낮춰도 안 가는데 여기는 칼로리를 낮춰도 간다는 거예요 물론이 얘기가 콜렉션을 높은 사람들은 살필 필요 없다 이런 얘기는 절대 아닙니다 [음악] 근데 커피를 끊어야 된다고 생각하면 정말 너무 스트레스 받습니다 진짜 너무 스트레스 받아서 커피 한잔 마시고 시작해야 될 것 같아요 스트레스 받아 그래서 의사들이 어떤 승우 아빠의 마음으로 생활습관을 먼저 권하기보다는 스타팅부터 쉽게 쉽게 처방하는 그런 경향이 있긴 한데 그래도 그렇게 하면 안 돼요 환자분들도 물론 내가 반드시 약을 먹어야 되는 경우라면 먹기는 먹어야겠지만 그거는 지난 시간도 참조해 주시고요 약을 먹든 안 먹든 내가 오늘 이제부터 뒤에 설명드릴 생활습관 교정으로 약을 먹고 콜레스를 떨어뜨릴 수 있는 그 모든 방법을 필사적으로 최대한의 노력으로 전력을 다 하셔야 됩니다 자 콜레스를 떨치는게 쉽지 않아 보이죠 하지만 해야 됩니다 왜냐 자 우리가 지금 영상을 보시는 분들이 사제 분들이 성적이 잘 안 나왔다 그러면 공부해라 소리 안 하니까 하시죠 자 성적이 안 나온다고 공부를 안 하면 안 되듯이 음식으로 콜레스를 낮추는게 잘 안되더라도 반드시 해야 되는 거야 더군다나 이거는 공부하고 다르게 내 목숨이 달린 일이거든요 심근경색 증폭환자를 중환자실에서 한 번만 보시면 이게 정말 목숨이 달린 일이라는 걸 아시게 될 거예요 그리고 효과가 적다 적다시가 계속 생각합니다 올라가는데 그러면 포화지방이 많이 들어 있을 것 같은 음식을 언뜻 생각하면 이제 고기가 제일 먼저 떠오르잖아요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콜레스를 가장 높은 집단 바로 폐경기 여성분들은 고기를 거의 잘 안 먹거든요 [웃음] 그러면 정말로 이분들이 고기를 안 먹는가 그거를 좀 살펴볼게요 자 우리는 1970년대에 쌀을 1년에 130km를 먹고 고기는 5kg밖에 안 먹었어요 근데 이게 2022년에 역전을 했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주식은 고기라고 해도 이제는 틀린 말이 아닙니다 그래서 폐경기 여성분들이 젊은 여성이나 동일한 나이대 남성에 비해서는 고기를 적게 먹을지 몰라도 1970년대에 비하면 절대로 고기를 안 먹고 있는게 아니라는 거예요 그래서 잘 생각해보면 1970년대에는 비빔밥에 밥하고 나무라고 고추장만 넣어서 비볐어요 근데 지금은 은근히 고기가 들어가거든요 지방이 많이 들어가죠 자 제가 진료실에서 건강검진에 보니까 많이는 없습니다 약을 드셔야 될 것 같습니다 이렇게 말씀드리면 꼭 하시는 말씀이 표현하는 고기 안 먹어이 말 뭐 100% 나오고요 두 번째는 아 나는 기름진 거는 늦게 해가지고 먹으래도 못 먹는다 이렇게 말씀하시는 분들도 굉장히 많아요 자 그런데 정말 여러분들이 지방의 맛을 싫어하는지 제가 몇 가지 테스트를 해볼게요 나는 떡보다 빵을 좋아한다 나는 잔치국수보다 라면을 좋아한다 나는 비빔밥에 계란후라이와 참기름을 넣어야 맛있다 자 여기에 한 가지라도 해당되면 나는 지방의 맛을 좋아하는 거예요 사람은 단맛만큼 지방의 맛에 쉽게 중독이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생각보다 많은 현대인류가 지방의 맛에 당뇨처럼 중독이 되어 있고 근데 문제는 뭐냐면 이게 설탕과는 달리 지방은 그 맛을 이게 지방이 많이 들었다 적게 들었다 거의 구분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당류 중독보다 어떻게 보면 더 분리해요 그래서 우리가 1970년대부터 지방의 섭취량이 꾸준하게 쭉 상승했습니다 그에 따라서 고콜레스를 가장 유병률도 똑같이 쭉 올라가고 있어요 그래서요 그래프를 아까 그 그래프에 넣어보면 요런 모양이 되거든요 그래서요 지방 섭취가 늘어난 것과 비례해서 고퀄리티 환자도 늘어나는 거예요 그래서 지방이 콜레스를 늘리는 거에는 뭐 이견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래서 자 그 지방 중에서도 포화지방이 LDL 콜레스를 수치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식사 요인이 되겠습니다 그래서 식사와 관련해서 lg를 증가 원인을 순서대로 살펴보면 전체 먹는 포화지방의 양이 중요하구요 두 번째는 내가 먹는 칼로리 대비 포화지방의 비율이 중요합니다 세 번째는 포화지방 불포화지방 확진 전체 지방량이 또 중요하고요 그 다음에 탄수화물 단백질까지 합친 전체 칼로리 과잉이 또 어느 정도 영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아까 말했듯이 먹는 콜레스테롤은 지방이나 나머지 영양소들에 비해서는 영향이 크지 않다는 거 그래서 당뇨 음식으로 조절하는 영상에서 제가 탄수화물을 요렇게 돈의 비유해서 설명을 드린 적이 있는데 지방은 삐에로 보는 길다는 막대풍선에 제가 비유를 한번 했었어요 그래서 포화지방 불포화지방 크게요 두 가지로 나누고 그 다음에 이제 사이드로 트랜스 지방산 시계 콜레스를 요런 것도 있긴 한데 그래서 콜레스테롤이 풍선개라고 봤을 때 풍선개구나 그냥 [음악] 긴 막대풍선이에요 그래서 풍성기를 잡기가 쉽고 불파지방은 한번 꺾여 있기 때문에 요거를 풀어 가지고 접어야 되기 때문에 풍향계를 잡기가 어렵고 그리고 트랜스지방산은 풍성계를 거의 다 접어놓은 모양이라서 굉장히 콜렛을 잡기가 쉽다 그리고 우리가 풍성계를 직접 먹어서 또 피 속에 콜렉션 올라가는 것은 그렇게까지 영향이 크진 않다 이렇게 제가 비유를 해서 설명을 드렸었구요 자 이번 시간에는 좀 더 재밌는 비율을 제가 들어볼게요 우리가 실제로 하루에 먹는 실제 비율이 탄수화물 65% 단백질 13% 지방 22%입니다 그리고 칼로리는 없지만 또 식이섬유를 우리나라 사람이 평균 하루에 24g 정도 먹어요 그랬을 때요 지방이 아까 여러가지로 나뉘잖아요 그게 요렇게 나옵니다 자 여러 이제 많이 들어있는 음식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래서 하루에 우리가 포화지방을 평균 14.

2g 즉 3분의 1정도 먹고 불포화지방을 3분의 2정도 먹어요 그리고 이제 트랜스 지방과 콜레스테롤은 굉장히 미미하게 먹는다 이렇게 알고 계시면 돼요 자 요거를 다시 정리해보면 포화지방이 영양이 가장 크고 그 다음에 불포화 지방까지 합친 전체 지방이 또 그 다음 영향이 크고 그 다음에 단백질 탄수화물까지 합친 총 칼로리가 또 그 다음 영향이 크다고 했잖아요 그리고 트랜스지방은 굉장히 많이 올리고 콜레스를 조금 올리지만요 두개는 아주 소량 먹고 있다 그렇게 제가 설명을 드렸었는데 자 요거를 제가 온실가스의 비율을 한번 해 볼게요 자 온실가스의 비율을 하면 포화지방은 우리가 타고 다니는 승용차 자동차에 비유를 할 수가 있고요 불포화지방은 대중교통에 비유를 할 수가 있어요 그리고 트랜스지방은 화물처럼 콜레스테롤은 전기차 그 다음에 탄수화물 단백질은 나머지 공장이나 발전소 뭐 축산업 이런 것들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이제 식이섬유는 나무 신기의 비유를 이유가 있어요 그래서 이게 음식이 콜레스를 올리는게 요런 것들이 온실가스를 늘리는 것과 똑같습니다 자 무슨 말이냐면 자 우리가 공장이나 발전소 축산업에서 나오는 호시가스도 줄여야겠지만 우리가 실질적으로 제일 많이 낮출 수 있는 거는 타고 다니는 자동차죠 그래서 자동차가 이런 거에 비해서 양이 많지는 않지만 온실 가스를 올리는 그 기여도가 굉장히 큽니다 그래서 이거를 이제 대중교통을 타고 다니면 훨씬 더 온실가수가 줄어들죠 하지만이 대중교통도 얘네들이 온실가스를 마이너스 시키는 애들은 아니거든요 이해들도 온실가스가 나오죠 나오지만 자동차를 대중교통으로 대체했을 때 우리가 온실가스 감축하는 효과를 볼 수 있는 거예요 대중교통도 뭐 엄청나게 많이 늘어나면 온실가스 늘어나 똑같죠 뭐 그래서 불포화지방을 많이 먹어서 콜레스를 낮추는게 아니라 포화지방을 불포화지방으로 대체했을 때 콜레스를 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거예요 그리고 트랜스 지방 화물트럭은 엄청나게 포화지방보다 더 많이 온실가 하지만 이게 너무 양이 작죠 그리고 전기차 콜레스테롤 우리가 전기차를 타게 되면 온실가스가 전혀 안 나온다고 그렇게 잘못 알고 있는 것과는 달리 실제로 전기차도 전기를 화력발전을 통해서 생산을 하게 되면 온실가스 나오는 건 똑같거든요 그래서 이거는 온실가스를 올립니다 전기차도 그래서 그런 식으로 콜레스를도 우리가 먹어서 콜레스테롤이 올라가지 않는다고 잘못 알려져 있지만 대중들의 인식과는 달리 사실은 먹어서 콜레스를 올라갑니다 20%의 기여를 하기도 하고 그 전기차하고 똑같죠 그리고 마지막으로 우리가 모든 온실가스는 발생하는 걸 줄이는 방향으로 가야 돼요 근데 발생에 있는 온실가스를 포지바는 방법도 있긴 있죠 이게 주가 되어서는 안 되겠지만 그게 음식에서는 식이섬유고 온실가스에서는 나무 신기라는 거예요 그래서 우리가 콜레스테롤을 낮추기 위해서 포화지방 같은 걸 줄여서 콜레스를 생성을 줄이는 방향으로 가야 되지만 또 먹어 가지고 콜레스를 조금 낮추는 걸 기대하기도 하죠 그게 바로 식이섬유고 그게 나무 심는 거 똑같다는 거예요 자 우리 몸의 콜레스테롤이 올라가는거나 온실가스랑 똑같습니다 자 요거를 뒤에 계속이 비율을 써가지고 제가 설명드리도록 할게요 자 이제부터 다시 포화지방 본격적으로 살펴보면 자 포화지방이 콜레스를 제일 많이 올리고 그 다음에 뭐 전체 지방량 뭐 먹는 콜레스를 영향이 적다 하는데 그게 어느 정도냐 그 공식이 있습니다 그 공식이 있는데 뭐 이거 사실 아실 필요 없고요 포화지방은 전체 에너지의 7%를 초과하지 않아야 된다 자 이거는 그나마 간단하지만 요것도 어렵습니다 자 지난 당뇨 시간에서도 제가 설명드렸지만 이런 거 솔직히 저는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의사도 답답하고 환자도 답답해지는 거예요 그래서 오늘이 시간에 딱 그냥 외우시면 됩니다 포화지방은 하루에 15g 15g 이하로 먹어라 외우시면 돼요 공식입니다 그냥 자 그러면 포화지방 15g이 이게 또 어느 정도냐 자 이거 오늘 하루 종일 쭉 뒤에 설명드리겠지만 가장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게 믹스커피 믹스 커피 3잔이 포화지방 5g이다 요거를 간단하게 외우고 넘어가시면 됩니다 자 그래서 소화지방은 주로 동물성 지방에 많이 들어 있지만 식물성 지방이라 할지라도 안 들어 있는게 아니고 식물성 지방층에서 특히 팜유나 코카부터 코코넛 이후 3가지에는 동물성 지방보다 더 많은 포화지방이 들어 있다는 거 자 물론 포화지방이 많이 들어 있지만 실제로 LDL 클래스러를 또 그렇게까지 많이 안 올리는 소위 말해서 그나마 괜찮은 음식들이 몇 가지 있어요 자 그게 우유 초콜릿 계란입니다 포화지방이 많은데 그나마 괜찮은 음식이고 그나마 괜찮다는 의미를 잘 알아야 돼요 이게 안 올라간다는 얘기가 아닙니다 그래서 오늘 콜레스를 높아서 영상 보시는 분들은 우유도 저지방 우유나 무지방 우유를 먹는게 좋아요 초콜릿도 조심하셔야 됩니다 계란도 흰자만 먹는게 좋고 그나마 괜찮다는 의미를 잘 알아야 되고 자 하지만 포화지방이 많아도 콜레스를 많이 올라가지 않는다고 음모론자들이 늘 주장하는 코코넛 오일 코코넛 유는 아닙니다 이거는 많이 올라갑니다 코코넛 오일은 실제로 이제 콜레스를 많이 올리는 라우르산이 대부분 때문에 콜레스를 올라갑니다 요거는 다다음 시간에 또 자세히 설명드릴 거예요 그리고 우유도 또 한편을 할애해서 자세히 설명드리고요 그래서 신기한게이 우유는 포화지방이 많아도 콜레스를 그렇게 많이 올라가지 않는데 우유 안에서 유지방만 따로 빼서 만든 버터는 또 콜레스를 무지막지하게 올라갑니다 음식이라는게 뭐랄까 1+1=2 이런 식으로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는 건 아니에요 자 그래서 처음 영상에서 우리 몸의 ldl이 높은 주범이 고기가 맞냐 아니냐 이거에 대한 설명을 제가 해드리겠다고 했는데 우리가 포화지방을 어디서 제일 많이 섭취하는지가 하나가 있고 그 다음에 어떤 음식에 포화지방이 제일 많이 들어 있는지가 있어요 이런 두 가지가 있습니다 그래서 어떤 음식이 포화지방이 제일 많이 들어있나 한번 먹었을 때 치명적인거는 정답이 고기가 아닙니다 고기보다 콜레스테롤 훨씬 많이 올리는 음식은 따로 있어요 자 그게 바로 빵 과자 아이스크림입니다 그래서 내가 빵과자 아이스크림을 많이 먹는다 이러면 그 분들은 그 이 애들은 한번 먹었을 때는 고기보다는 훨씬 치명적이라는 거예요 자 그래서 빵 케이크부터 볼게요 빵하고 케이크에는 포화지방이 얼마나 들어있는가 들어 있습니다 이거 진짜 조사하다 충격 먹었는데 에그타르트 한 개에 4g 들어있어 4g 가장 많은 초코 치즈케이크에는 한 조각에 14g 이거 하나 먹으면 하루 종일 물만 먹어야 되는 거예요 자 빵 진짜 후덜덜 하죠 자 일반적으로 겉이 바삭한 겉바속촉에 빵들 크루아상 배출이 두 개가 포지방이 제일 많다고 알려져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버터가 통째로 들어간 앙버터라는 빵이 있어요 그래서 우리나라 시중에 베이커리를 쭉 돌아서 아주 정밀하게 분석한 실제 논문이 있어요 거기 보면 앙버터 빵이 포화지방 11.

6g으로 1등이고 크루아상이 9g으로 2등이에요 자 앙버터 하나를 먹으면 하루 포화지방 권장량을 거의 다 채우게 됩니다 자 참고로 최근에 우리나라에서 유행하고 있는 프랑스 빵 잠봉베르라고 있거든요 우리나라 삼봉베르에는 앙버터하고 마찬가지로 생버터가 통째로 들어갑니다 근데 저도 아프랑스 사람들 저렇게 먹는 건 이렇게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고 프랑스 사람들이 우리나라 삼봉배를 보고 경악을 금치 못한다고 합니다 그렇게 만드는 거 아니라고 해요 자 그러니까 전봉계를 절대로 그렇게 만드시면 안 됩니다 그러면 여기서 포화지방이 제일 적은 카스테라는 괜찮냐 실제로 카스테라는 대왕 카스테라가 아니라면 일반 카스테라는 카스테라 100g나 포화지방 1g 밖에 안들어 있다고 해요 하지만 카스테라는 또 반대로 당이 엄청나게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이거 당이 들어있는 순서를 보니까 거의 이거의 역순이더라구요 그래서 빵은 버터가 많거나 설탕이 많거나 둘 중에 하나입니다 그래서 카스테레가 설탕 함유량은 1등이었고요 그래서 아까 말씀드린대로 콜레스테롤이 걱정이 돼서 지방을 엄청나게 줄이고 탄수화물을 또 많이 먹게 되면 이쪽 길이 또 위험해질 수가 있거든요 그래서 카스텔을 고르는 것도 마냥 안전한 건 아니에요 자 그러면 식빵은 안전하지 않냐 식빵이 물론 포화지방이 비교적 적긴 합니다 근데 그럼 밥 210g 하고 비교하면 밥 210g에는 포지방 0.

5g 밖에 없는데 식빵 내장은 포화지방이 4g 이거든요 그러니까 같은 주식으로 봤을 때는 이게 포화지방이 8배 들어있는 거예요 8배 근데 또 이런 빵의 문제가 뭐냐면 고기보다 포화지방이 많은 것도 문제지만 그래도 고기는 불파지방도 많아요 그래서 어느 정도 밸런스가 좀 맞는 편인데 빵은 거의 포화지방만 들어있는 데다가 콜레스테롤도 들어있고 트랜스 지방도 많다는 거예요 그래서 제가 의학 유튜버를 지금 5년째 하고 있지 않습니까 근데 항상이 빵이 걸려요 자 이게 빵이 제대로인데요 자 콜레스를 측면에서 봐도 버터가 이만큼 들어와요 거기다가 달걀이 또 들어가죠 그리고 뭐 탈지긴 하지만 분유가 또 들어가고요 그래서 이거는 먹고 콜렉스를 안 올릴 수가 없어요 자 그럼 이거 당뇨 환자한테는 괜찮냐 탄수화물이 이만큼 들어가죠 설탕이 이만큼 들어가요 괜찮냐 소금이 이만큼 들어가요 자 그리고이 안에 또 탄산수소나트륨이 있거든요 나트륨도 들어가죠 그래서 나트륨도 많아 당도 많아 지방도 많아 심지어 트랜스 지방도 있어 참 그렇습니다 진짜 막 이런 무엇일까 근데 이게 또 맛있어요 뭐 방송에 보니까 탈북하신 분이 빵 때문에 탈북했다 이런 말도 봤는데 진짜 이거는 소위 말해서 탈북하는 맛 왜 이런 음식이 있을까 막 그런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 자 그래서 난 정말 방송이다 빵을 진짜 죽어도 못 끊겠다 하시는 분들은 제가 오늘 솔루션을 드리면 당뇨 위험이 전혀 없는 분의 한해서 식빵이나 카스테라나 떡이나 이런 것들을 칼로리를 생각해서 정말 못 견딜 것 같을 때 조금씩만 드시는 거를 추천드리고 당뇨염이 있는 분들이라면 빵은 그냥 완전히 끊어야 됩니다 자 그 다음에 빵보다 한 번 먹었을 때 더 치명적인게 있습니다 바로 디저트입니다 디저트는 뭔가 케익 도넛 머핀 쿠키 [음악] 너에게는 더 끼지 팝콘 푸딩 그 다음에 여러 커피 종류의 휘핑크림 올라간 것들 이런게 이제 콜레스를 많이 올라가는 디저트라고 할 수 있고 자 앞에서 빵에 들어있는 포화지방도 후덜덜한데 디저트는 정말 상상 초월입니다 자 스타벅스의 카페모카 한잔하고 미니스콘 3개를 시키면 포화지방을 한 번에 29g을 먹는 거예요 자 이게 어느 정도인가 후라이드 치킨 한 마리에 포화지방이 30g 들어있거든요 그러니까 우리가 커피숍 가서 가볍게 카페모카 한잔하고 미니스콘 조금 하는 거 세 조각 먹으면 후라이드 치킨 한 마리 먹은 것과 포화지방이 같고 이틀 동안은 물만 먹고 살아야 되는 거예요 자 빵에이어서 과자 볼게요 자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팔린 과자의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에 들어있는 포화지방을 한번 볼까요 자 꼬깔콘 70을 한 봉지에 포화된 8.

4g 자 프링글스 한 통에 15.

6g이 세상의 램프링글스 한 통을 한 번에 다 먹는 문과 다 못 먹는 분으로 나뉘는데 혹은 사면 한 달 동안 먹는 거 자 만약에 한 통을 다 먹게 되면 하루 권장량 15g을 넘습니다 자 에이스는 더 심해요 에이스 107g 한 봉지에 16.

4g 더 많습니다 자 제가 의외로 조사하면서 놀랬던게 맛동산 85원 한 봉지에 3G 밖에 안 들어있어요 하지만 믹스커피 두 잔에 해당하고 역시 이런 빵이나 과정 아이스크림 종류는 포화지방이 적은 걸 골라도 당이 많기 때문에 아까 말한 위기를 조심해야 돼요 그래서 콜레스테롤 높은 분들은 그냥 과자는 역시 완전히 끊는 것이 좋습니다 자 다음 아이스크림 볼까요 월드콘 한 개의 7g 자 요거 하나 먹으면 아침 점심은 물만 먹어야 되는 거예요 자 올 때 메로나 메로나 1개에 3.

2g 믹스커피 두 잔이죠 자 그러면 안전한 아이스크림은 없나 제가 베스킨라빈스 아이스크림을 포화지방을 쭉 보다 보니까 포화지방이 0이 아이스크림이 있더라구요 자 그게 뭔가 자 우리의 희망 블랙 소르베 즉 샤베트입니다 샤베트 이게 뭐 아주 따지면 이제 프랑스식 소르베만 지방이 전혀 없고 미국식 셔벗은 또 유제품이 들어간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팥빙수에 연휴가 들어가는 거랑 비슷한 개념이죠 그래서 정확히 따지면 프랑스식 소름에만 지방이 전혀 없는 거예요 그래서 얘는 당만 들어 있습니다 당만 자 그렇다고 그러면 이제 소로빈 안전하고 나서 소르베를 고르면 역시 또 윗길로 갈 수 있는 거예요 그래서 아이스크림 당연히 끊어야 되는데 나는 죽어도 아이스크림을 낮춰야 된다 그러면 당뇨 위험이 전혀 없는 사람만 죽을 것 같을 때 소르베를 최소한으로만 드시면 됩니다 자 빵과자 아이스크림 끝났고요 그 다음에 이제 굉장히 많이 궁금해하시는 과연 라면은 어떤가 자 면류 보도록 할게요 자 라면은 제가 뭐 종류별로 조사해봐도 거의 차이가 없더라고요 보통 7그램에서 9g이 사이였고 자 중국집에 짜장면 짬뽕은 이게 뭐 조리 방법에 따라 천차만별이겠죠 하지만 대략 8에서 12g 라면과 비슷하거나 조금 더 높았어요 그리고 파스타는 더더욱 천차만별했습니다 알리오 올리오 같은 오일소스 스파게티는 포화지방이 3.

99는 밖에 안 되고요 반면에 크림소스 스파게티는 포화지방이 26g으로 거의 폭탄 수준이었어요 참고로 이탈리아 현지에는 까르보나라에 크림이 전혀 들어가지 않는다고 해요 그래서 크림파스타는 근본이 없는 파스타입니다 아까 프랑스 잠봉대리랑 똑같죠 그 콜레스테롤도 안 좋으니까 먹지 마세요 그런 거 자 그리고 콩국수에 포화지방이 사이즈 5G 들어있지만 여기에는 불포화지방도 많고 단백질도 많기 때문에 영양적으로 콩국수는 그렇게 나쁘지 않습니다 그리고 면류는 다행히 굉장히 안전한 국수들이 많았어요 먼저 라면 건면 얘가 정말 포화지방이 같더라고요 맞나 싶을 정도로 그리고 뭐 잔치국수 냉면 쌀국수 김치말이국수 우동 쫄면 뭐 해물칼국수 이런 거 다 포화지방이 1에서 2G 그 다음에 냉모밀 막국수 이런 애들은 1g이야 그래서 면류 좋아하시는 분들은 굉장히 많죠 라면을 못 끊는다 이러면 칼로리만 조심하시면서 겉면을 가끔 라면 생각날 때 드시면 됩니다 그리고 뭐 냉면 뭐 쫄면 칼국수 냉모밀 막국수 이런 거 대부분 안전해요 자 다음 정말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커피믹스랑 초콜릿 자 믹스커피는 계속 설명드렸지만 하나의 1.

6g 세 잔에 5G 포화지방이 들어 있습니다이 포화지방은 대부분 코코넛 유라고 해요 아까 말씀드린 대로 코코넛 뉴는 먹었을 때 일대일이 올라갑니다 이거는 전혀 안전하지 않아요 하지만 초콜렛에 들어있는 포화지방은 스테아르산이라고 해서 콜레스테롤이 그렇게까지 많이 올라가지 않는 마지막이 되겠습니다 그래서 파스타 초콜릿 포도주 우유 이런 애들은 콜레스테롤에 엄청 좋다는 논문도 많고 엄청 안 좋다는 논문도 많아요 그래서 약간 중간이 없는 음식들인데이 애들은 제가 한편 한편의 영상으로 또 자세히 설명드리기로 할게요 하지만 오늘이 시간에 콜렛을 높아서이 영상 보시는 분들은 초콜렛이나 우유도 조심하셔야 되고 코코 누가 많이 들어간 믹스커피는 피하셔야 됩니다 코코넛 이유는 믹스커피의 크림에 좀 들어있고 의외로 우리나라에서 그렇게 많이 먹진 않지만 코코넛 육아 정말 많이 들어가 있는 음식이 바로 태국 음식이에요 뭐 콜렛을 높은 분들이 태국식점에 가서 아 이건 괜찮나 하면서 먹을 수 있잖아요 자 엄청나게 올라갑니다 그러니까 태국음식 중에서 코코넛 이유가 많이 들어간 똠양꿍 푸팟퐁커리 이런 것들은 피하셔야 됩니다 자 그 다음에 이제 대망의 육류 고기 드디어 나왔습니다 자 포지방을 한번 먹었을 때 많이 섭취하는 건 빵과자 아이스크림입니다 그럼 우리가 빵과자 아이스크림을 과연 많이 먹냐이 말이에요 정말로 많이 먹는 음식 중에서 포화지망이 제일 많이 들어가 있는 음식 즉 어떤 음식에서 주로 포화지방을 섭취하는가 콜레스테롤의 주범 정답 고기가 맞을까요 자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자 우리나라에서 포화지방을 가장 많이 섭취하는 음식은 고기가 맞습니다 돼지고기가 1등이에요 결국은 고기가 맞았죠 자 2등이 오이긴 하지만 우유는 아까 말한대로 포화지방이 많아도 그렇게 많이 올리지 않습니다 자 3등이 세고기 결국 1등 3등이 고기죠 고기가 맞아요 빵 과자 케이크는 그 다음 순이에요이 하나하나에는 포지방이 많지만 고기만큼 많이 먹진 않는다는 거예요 거기에서 우리는 포화지방을 제일 많이 섭취하는게 맞다 자 주범은 돼지고기가 맞았습니다 자 그렇다면 우리는 돼지고기를 먹지 않아야 되는가 주범이 고기인 건 맞지만 이게 고기를 먹지 말라는 얘기는 절대 아닙니다 자 요거 뒤에 굉장히 자세히 설명드리겠지만 우리가 고기에서 포화지방만 섭취하는게 아니거든요 거기서 단백질 돌파 지방도 엄청나게 많이 섭취하기 때문에 포화지방 줄이려고 돼지고기를 끊어버리면 안 됩니다 절대 자 요거를 정확히 잘 이해하셔야 됩니다 자 그러면 고기에는 포화지방이 얼마 들어있을까 자 웃음이 나올 정도로 후덜덜 합니다 자 삼겹살 1인분 200g에 포화 20에서 30g 들어 있습니다 자 삼겹살 1인분만 먹는 분이 얼마나 될지 모르겠는데 삼겹살을 1인분만 먹어도 포화지방 하루 권장량의 2배 자 치킨 한 마리 오븐에서 구운 굽네치킨 같은 경우에는 포화지방이 가장 적어서 한 15g 정도 들어있고 요리 방법에 따라서 40g까지 들어있는 치킨도 있어요 그래서 삼겹살 1인분을 먹든 치킨 한 마리를 먹든 이틀 동안 물만 먹고 살아야 되는 거예요 자 그럼 또 이런 얘기 많이 들어보셨죠 수익은 좀 그나마 괜찮다 이런 얘기가 있잖아요 자 수육은 안전할까요 자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그러니까 삶으면 수분만 빠지면 수분만 지방은 변화가 없어요 그래서 수육 뭐 300g이긴 하지만 1인분에 포화지방이 무려 37g 들어 있습니다 37g 자 고기를 삶아 먹으면 그나마 괜찮다는 거는 완전히 잘못된 말입니다 전혀 안전하지 않습니다 그러면 어차피 구워 먹거나 삶아 먹거나 지방이 똑같으면 구워 먹는게 맛있으니까 구워 먹어야지 이렇게 생각하시면 또 안 돼요 고기를 구우면 발암물질이 생깁니다 그거는 뭐 거 정확하게 밝혀져 있는 사실이기 때문에 삶아 먹는게 건강에 더 좋은 건 맞긴 맞아요 근데 지방을 줄이는 목적으로 삼는 거라면 그거는 효과가 미미하다는 거예요 그래서 돼지고기를 우리가 뭐 삼겹살만 먹는 줄 알지만 뭐 돼지갈비 곱창 감자탕 돈까스 불백 제육볶음 두루치기 불고기 만두산점 떡갈비 보쌈 족발 순대 탕수육 뭐 이런 음식들로 많이 먹고이 애들은 다 위험하다는 인식들이 있죠 그래서 그나마 안전한 수육을 먹으면 좀 괜찮지 않냐 이것도 딱히 전혀 안전하지 않다는 거예요 그래서 돼지고기에 어떤 조리 방법에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겁니다 돼지고기 중에 정말 안전하다고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거는 장조림 샤브샤브 이렇게 딱요 세 가지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소위 말하는 맛없는 부위 있잖아요 맛이 없기 때문에 이제 장조림이나 육회나 샤브샤브로 먹는데 얘들만 안전하다는 거예요 그래서 돼지고기는 부위가 중요하다는 거예요 자 그러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사랑하는 삼겹살은 이제 못 먹는 것인가 또는 내가 회사생활하면서 회식을 하면 무조건 삼겹살 집으로 가는데 어떻게 삼겹살을 안 먹고 살 수 있습니까 잉여 이렇게 또 물어보실 수 있잖아요 그래서 콜렛을 높은 분들이 삼겹살을 먹는 4가지 원칙을 설명드리도록 할게요 제가 딱 정해 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반드시 삼겹살은 채소와 함께 드세요 무조건 3사 드시고 안에 마늘 넣고 쌈무 넣고 그 다음 파절이 부산에서는 파조랙이 뭐 이렇게 엄마 발음으로 다 쓰이는데 어쨌든 파절이 꼭 넣어서 야채하고 같이 드세요 식이섬유가 지방과 콜레스를 흡수를 전혀 합니다 두 번째 원칙 절대 술과 같이 드시지 마세요 술과 고기를 같이 먹게 되면 술이 식욕 중추를 마비시키거든요 그래서 1인분만 먹을 수 있는 거를 술과 먹으면 무조건 2인분 3인분 먹게 됩니다 그래서 삼겹살과 술을 같이 먹으면 죽는다 이렇게 생각하세요 그냥 직장상사가 술과 삼겹살 강제로 먹인다 그러면 반드시 의사를 파세요 저를 파면 됩니다 직장 상사한테 저 콜레스를 너무 높아가지고 술하고 삼겹살 같이 먹으면 의사가 죽는다고 얘기했다 이렇게 얘기하세요 자 그랬을 때 어느 직장 상사가 그걸 뭐라고 하겠어요 여기서 죽는다 했는데 그래서 술과 삼겹살은 절대 같이 드시지 마시고 차라리 밥과 같이 드세요 밥과 삼겹살 같이 먹는 것도 뭐 엄청 권하는 건 아니지만 그래도 술보다는 훨씬 나아요 그래서 삼겹살 집에 회식을 하러 가면 밥부터 시키면 됩니다 그 정도는 의사를 팔고 충분히 당당하게 얘기할 수 있습니다 자 세 번째 원칙은 반드시 절대로 1인분을 넘기면 안 됩니다 아까 봤죠 삼겹살 1인분에 포화지방 30g이면 30g 삼겹살 만약에 못 먹었다 솔직히 삼겹살 거의 100g입니다 100g 이거는 그냥 이번 생에는 틀린 수준이거든요 그러니까 절대 1인분 넘기지 마세요 자네 번째 삼겹살 한번 먹었다 그러면 반드시 일주일은 강제로 삼겹살을 씌워야 됩니다 가능하면 안 먹는게 제일 좋고 일주일 이상 넘기자 요런 원칙들을 정해 놔야지 그나마 조금 덜 먹는 거예요 자 그래서 삼겹살은 어쩔 수 없이 먹는다 그러면요 4가지 원칙을 반드시 지켜서 드셔야 됩니다 [음악] 자 그래서 돼지뿐 아니라 고기는 결국은 조리 방법보다는 부위가 중요해요 그래서 고기에 어느 부위가 안전한지 지방 함량별로 살펴보면 소고기는 일단 소고기 자체가 위험합니다 자 소고기 부위 중에 육회 장조림 만드는 오둥살 사태 빼고는 안전한 부위가 없어요 구워 먹는 부위 중에 제일 낮은 안심도 닭다리살보다 2배나 많습니다 꽃등심 차돌박이 이런거는 진짜 후덜덜 합니다 요거 이제 포화지방은 아니고 전체 지방량이긴 하지만 살벌하죠 돼지고기는 이제 안심 등심 뒷다리살요 3가지가 안전합니다요 세 가지 구워 먹어도 되고 뭐 요리해서 먹어도 돼요 자 피해야 되는 부위는 역시 맛있는 부위 항정살 삼겹살 후덜덜 하죠 자 이런 애를 안녕히 가면 닭은 거의 다 안전합니다 닭가슴살 뭐 마를 것도 없고요 제일 많은 닭날개도 100g당 지방이 10g밖에 안 돼요 자 그래서 닭고기는 칩거 빼고는 전부 다 안전합니다 고기 부위 정리하면 소고기는 우둔살 사태살 돼지고기는 안심 등심 닭고기는 치과 빼고 대부분 안전합니다 치것만 빼고 드세요 자 그 다음에 가공육 햄 소시지 베이컨 자 이거 뭐 딱 봐도 많아 보이죠 포화지방 자 프랑크 소세지 하나에 포가 중 7g 자 스팸 200g 한 캔에 202g 자 뭐 솔직히 이거 한 캔도 먹을 수 있잖아요 자 햄버거 햄버거 자 빅맥이 11g인데 이것도 후달달한데 더블 커터 파운드 치즈 21g 한끼에 한 끼에 21g 삼겹살 2인분에만 먹죠 희한한 거는 감자튀김을 또 포하지만 그렇게 많지 않더라고요 물론 이게 뭐 트랜스 방이 있기 때문에 포화지방만 볼 순 없지만 어쨌든 햄버거에 비하면 손녀였어요 그래서 뭐 콜레스를 높은 사람이 맥도날드를 가진 않겠지만 만약에 정말 부득이하게 같다 그러면 차라리 햄버거를 최대한 조그만거 시키고 감자튀김 큰 걸 시켜서 드세요 그게 그나마 자 그 다음에 탕류는 어떤가 자 탕류는 한식이니까 그래도 포화지방이 좀 적지 않을까 그런 생각할 수 있는데 자 탕류도 무지막지한 놈들이 또 몇 가지 있어요 자 그게 부대찌개 갈비탕 감자탕입니다 얘들은 한 그릇에 한 끼에 일일 권장량의 육박합니다 13의 16g 포지방이 들어있고요 자 삼계탕이 좀 안전하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요것도 장난 아닙니다 10에서 11g 그러니까 정말 고기는 조리 방법이 중요한 건 아닌 것 같아요이 삼계탕이 돼지국밥보다 높아요 자 이게 저는 맞나 싶은데 어쨌든 삼계탕도 전혀 안전하지 않습니다 안전한 탕은 딱 두 가지 해물탕 추어탕이에요 요게 3G 이하입니다요 두개는 딱 생각해봐도 그냥 지방이 절 같잖아 창조하시는 분들은 요거 위주로 드시면 됩니다 자 굴국밥도 4g으로 포화지방만 봤을 때는 좀 안전하긴 한데 [음악] 시대에만 낮은 사람 ldl만 높은 사람 3명의 환자가 있다고 가정을 해요 그러면이 세 명 중에서 운동을 금연을 가장해야 되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누구긴 누구겠어요 자 [음악]
영상 정리

영상 정리

1. 콜레스테롤 낮추는 방법은 정제 탄수화물 끊기만이 아니에요.

2. 정제 탄수화물만 줄이면 효과 없어요.

3. 콜레스테롤은 주로 지방과 관련이 있어요.

4. 먹는 지방이 혈중 콜레스테롤을 더 올립니다.

5. 간에서 만드는 콜레스테롤은 80%이고, 먹는 건 20%예요.

6. 하지만 먹는 지방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어요.

7. 콜레스테롤 낮추기 위해선 생활습관 교정이 필수입니다.

8. 건강을 위해선 무리하게 체중 감량하는 것도 어려워요.

9. 중성지방은 생활습관 교정으로 90% 좋아질 수 있어요.

10. LDL 콜레스테롤 낮추는 게 가장 어렵고, 중성지방 낮추기는 쉽습니다.

11. 탄수화물과 지방은 각각 당뇨와 LDL에 영향을 줍니다.

12. 탄수화물은 콜레스테롤에 거의 영향 없어요.

13. 생활습관 교정은 혈압, 당뇨, 콜레스테롤 모두에 중요합니다.

14. 저탄고지보다 칼로리 낮추는 게 더 효과적입니다.

15. 포화지방이 콜레스테롤을 가장 많이 올립니다.

16. 하루 포화지방 권장량은 15g 이하입니다.

17. 믹스커피 3잔이 포화지방 5g이에요.

18. 포화지방이 많은 식품은 빵, 과자, 아이스크림입니다.

19. 케이크, 초콜릿, 아이스크림은 특히 조심해야 해요.

20. 치킨, 삼겹살도 포화지방이 높습니다.

21. 삼겹살 200g에 포화지방 20-30g이 들어 있어요.

22. 수육도 포화지방이 많아 절대 안전하지 않아요.

23. 돼지고기 부위별로 안전한 것도 있어요.

24. 안전한 부위는 안심, 등심, 뒷다리살입니다.

25. 고기 조리법보다 부위가 더 중요해요.

26.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부위별로 위험도가 달라요.

27. 가공육은 포화지방이 매우 높습니다.

28. 햄, 소시지, 베이컨은 피하는 게 좋아요.

29. 라면, 파스타도 포화지방이 높을 수 있어요.

30. 크림소스 파스타는 특히 위험합니다.

31. 면류는 포화지방이 적은 것도 많아요.

32. 콩국수, 냉면은 안전한 선택입니다.

33. 커피믹스, 초콜릿은 포화지방 조심하세요.

34. 믹스커피는 특히 코코넛유가 들어가서 위험해요.

35. 아이스크림은 포화지방이 많아 조심해야 합니다.

36. 샤베트는 지방이 없어서 안전합니다.

37. 콜레스테롤 높은 분은 빵, 과자, 아이스크림을 피하세요.

38. 라면, 냉면, 쫄면은 비교적 안전한 편입니다.

39. 조리 방법보다 부위와 지방 함량이 더 중요해요.

40.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부위별로 안전한 것도 있어요.

41. 가공육은 포화지방이 매우 높아 피하는 게 좋아요.

42. 삼겹살, 치킨은 조리 방법과 부위 선택이 중요합니다.

43. 술과 고기 같이 먹지 말고, 채소와 함께 드세요.

44. 1인분 넘기지 말고, 일주일 간격을 두세요.

45. 고기 먹을 때 채소, 마늘, 쌈무 꼭 곁들이세요.

46. 고기와 술은 절대 함께 먹지 마세요.

47. 삼겹살은 밥과 함께, 술과는 따로 드세요.

48. 고기 부위별로 안전한 것과 위험한 것이 있어요.

49. 돼지고기 중 안전한 부위는 장조림, 샤브샤브입니다.

50. 고기를 구우면 발암물질도 생기니 조리법도 고려하세요.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