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성공의 필수조건! 이 핵심을 모르면 반드시 실패합니다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사업 잘하고 있는지 점검하는 법 & 지속 가능한 매출 올리는 비법
사업하다 보면 열심히 하는데도 변화가 없고 '내가 제대로 하고 있나?' 싶을 때가 있지? 오늘은 사업 잘하고 있는지 점검하고, 매출 올리는 꿀팁을 알려줄게. B2B 마케팅 에이전시 '코어'의 최준호 대표님이 나와서 직접 알려주신대!
1. 잘 안 되는 회사는 이것이 없다!
- 인터넷에 안 나온다: 네이버나 구글에 우리 회사나 서비스를 검색했을 때 아무것도 안 나오면 끝이야. 고객들은 3만원짜리 로션 하나 살 때도 이것저것 찾아보는데, 비싼 서비스는 오죽하겠어?
- 차별성이 없다: A, B, C 업체 다 똑같은 제안서, 똑같은 서비스면 결국 가격으로 승부해야 해. 요즘은 정보가 넘쳐나서 가격 경쟁하다 보면 회사가 힘들어져.
- 해결책: 펜션 예약 사이트만 200개 만든 전문 업체처럼, 타겟을 좁혀서 전문성을 보여주는 게 중요해. 김치찌개 먹고 싶으면 김치찌개 전문점으로 가는 것처럼 말이야.
- 실행이 느리고 작은 비용에 연연한다: 싼 거래처만 찾다가 출시 시점이나 타이밍을 놓치면 아무 소용 없어. 사업 잘하는 사람들은 필요할 때 과감하게 투자하고 빠르게 움직여.
2. 지속 가능한 매출을 내는 법
- 콘텐츠 마케팅은 필수: 광고는 돈 쓰면 매출이 나오지만, 광고 끊으면 매출도 끊겨. 하지만 콘텐츠는 꾸준히 쌓이면 자산이 돼.
- 핵심: 전문가 포지셔닝을 해야 해. 남들보다 더 많이 알고 있다는 걸 보여주고, 유용한 정보를 꾸준히 제공해야 해.
- 예시: 인테리어 업체라면 '구축 빌라 인테리어 팁'이나 '신축 매장 인테리어 실패 사례' 같은 콘텐츠를 올리는 거지.
- 약속, 보증, 증거: 고객에게 명확한 약속을 하고, 만족할 때까지 도와주겠다는 보증을 걸어. 그리고 가장 중요한 건 '증거'야.
- 증거: 포트폴리오, 레퍼런스, 고객 후기 등이 될 수 있어. 이게 많으면 보증은 자연스럽게 따라와.
- 홈페이지/제안서: 여기에 약속, 보증, 증거를 담아서 고객에게 신뢰를 줘야 해.
- 고객 데이터 관리 (CRM): 누가 언제 연락했고, 뭘 구매했고, 만족도는 어땠는지 기록하고 관리해야 해.
- 왜 중요할까? 고객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나중에 다시 연락하거나 새로운 서비스를 제안할 기회를 만들 수 있어.
- 농사처럼: 새로운 고객만 찾지 말고, 기존 고객에게도 꾸준히 정보를 제공하고 관계를 유지해야 해.
- 웨비나/세미나 활용: 잠재 고객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직접 만나서 관계를 쌓는 좋은 방법이야. 여기서 1:1 컨설팅까지 연결하면 계약 성공률이 높아져.
3. 내가 사업을 잘하고 있는지 점검하는 법 (체크리스트)
- 타겟 고객이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는가? (예: '20대 여성'이 아니라 '월 매출 500~5000만원 사이의 B2B 사업자, 직원 1~9명, 마케팅 팀 없는 곳')
- 우리만의 차별화된 제안(경쟁력)이 있는가? (예: '펜션 웹사이트 전문', '인스타 포스팅 4~8개 무료 제공')
- 인터넷 검색 시 우리 회사가 나오는가? (홈페이지, 블로그, SNS 등)
- 꾸준하게 콘텐츠를 올리고 나를 알릴 마케팅 채널이 있는가? (인스타, 유튜브, 블로그 등)
- 고객이 궁금해할 만한 내용을 미리 웹사이트에 올려두었는가? (FAQ, 가격 정보, 서비스 내용 등)
- 꿀팁: VSL(비디오 세일즈 레터)을 만들어 홈페이지에 올려두면 효과적이야.
- 유입, 전환, 재구매율 등 수치를 꾸준히 분석하고 있는가? (구글 애널리틱스, CRM 툴 활용)
- 고객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는가? (상담 일지, 고객 히스토리 등)
4. 대표가 몸빵 뛰는 게 아니라 시스템을 만드는 법
- 매뉴얼화 & 프로세스화: 하는 일을 명확하게 정리해서 매뉴얼과 프로세스를 만들어야 해. 그래야 다른 사람에게 일을 맡길 수 있어.
- 과감하게 위임: 직원 고용, 아웃소싱, 전문 업체 활용, AI 활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일을 위임해야 해.
- 믿되, 확인하라: 위임한 사람을 믿되, 정기적으로 진행 상황을 확인하는 프로세스를 만들어야 해.
5. 사업가로서의 고민 & 조언
- 고민: 고객의 성과가 바로 나오지 않을 때, 고객과 함께 조바심을 느끼는 것.
- 조언: 사업은 '농사'와 같아. 씨앗을 뿌리고 꾸준히 가꿔야 결실을 볼 수 있어.
- 가장 중요한 것: 장사꾼이 아닌 '전문가'로 포지셔닝해야 해. 꾸준한 콘텐츠와 정보 제공으로 고객에게 신뢰를 얻는 것이 중요해.
6. 왜 일하는가?
- 생존을 위해서
- 일하는 재미를 느껴서
- 고객의 성과를 보며 뿌듯함을 느껴서
7. 마지막 질문
- 이전 출연자 질문: "지치고 힘든 시기를 어떻게 극복하십니까?"
- 대표님 답변: 미래에 대한 낙관적인 생각과 끊임없는 시도를 통해 극복한다.
이 내용을 잘 기억하고 사업에 적용해서 꼭 성공하길 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