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퇴직금 연금 전환 전에 꼭 알아야 할 4가지 핵심 질문!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퇴직금, 연금으로 받으면 뭐가 좋을까? 🤔

퇴직하면 시원섭섭하기도 하고, 앞으로 뭘 할지 걱정도 되잖아? 근데 퇴직금 받을 때 세금이나 이것저것 신경 쓸 게 많아서 머리 아플 때가 많지. 그래서 오늘은 퇴직금을 연금으로 받을 때 꼭 알아야 할 네 가지를 쉽게 알려줄게! 이걸 알면 돈 걱정을 확 줄일 수 있을 거야.

1. 연금으로 받으면 세금 깎아줘! 💰

퇴직금을 한 번에 받으면 세금을 많이 내야 할 수도 있어. 근데 이걸 연금으로 받으면 세금 혜택이 엄청 커!

  • 10년까지는 퇴직 소득세의 30%를 깎아줘. (예를 들어 세금이 100만 원이면 30만 원 할인!)
  • 10년 넘어서부터는 40%까지 깎아줘.
  • 20년 넘어서 받으면 50%까지 깎아주는 것도 검토 중이야. (아직 확정은 아니지만!)
  • 평생 연금으로 받으면 세금 3.3%만 내는 것도 검토 중이야.

예시: 퇴직금 1억 원을 연금으로 받고, 퇴직 소득세율이 10%라고 가정해 보자.

  • 1~10년: 연금으로 받으면 세금 7%만 내. (원래 10%인데 30% 깎아주니까!)
  • 10년 이후: 세금 6%만 내. (40% 깎아주니까!)

주의할 점: 퇴직금 원금을 받을 때는 이렇게 세금 혜택이 있지만, 퇴직금이 불어나서 생긴 운영 수익은 따로 세금이 붙어. 이건 나이대별로 3.3%에서 5.5% 정도의 연금 소득세가 붙는 거야.

2. 연금으로 받으려면 조건이 있어! 📜

그냥 돈을 나눠서 받는다고 다 연금이 아니야. 두 가지 조건을 꼭 지켜야 해.

  1. 퇴직금을 연금 계좌(IRP나 연금저축)에 넣고, 55세 이후에 연금 받기를 신청해야 해. 퇴직금을 바로 은행 계좌로 받으면 세금 혜택이 사라져.
  2. 정해진 연금 수령 한도 안에서만 돈을 인출해야 해.

3. 연금 수령 한도는 어떻게 계산할까? ➗

매년 얼마까지 연금으로 받을 수 있는지 정해진 한도가 있어. 이걸 계산하는 공식이 있는데, 좀 복잡해 보이지만 쉽게 설명해 줄게.

계산 공식: (연금 계좌에 있는 돈 ÷ (11 - 연금 받는 햇수)) × 1.2

  • 예시: 퇴직금 2억 원을 받았고, 첫 해에 연금을 받는다고 가정해 보자.
    • 2억 원 ÷ (11 - 1) = 2억 원 ÷ 10 = 2천만 원
    • 2천만 원 × 1.2 = 2,400만 원
    • 첫 해에는 최대 2,400만 원까지 연금으로 받을 수 있다는 뜻이야.

특별한 경우: 2013년 3월 이전에 퇴직 연금에 가입했다면, 연금 수령 한도가 두 배로 늘어나! 이건 연금 받는 햇수를 1년이 아니라 6년 차부터 계산하기 때문이야. 그래서 더 많은 돈을 연금으로 받을 수 있지.

4. 중간에 돈을 다 빼면 어떻게 될까? 💸

연금으로 받다가 갑자기 목돈이 필요해서 중간에 다 빼버리면 어떻게 될까?

  • 연금 수령 한도 안에서 빼는 건 괜찮아. 아까 말한 세금 혜택 그대로 받을 수 있어.
  • 하지만 연금 수령 한도를 넘어서 빼거나, 한 번에 다 빼버리면?
    • 초과 금액이나 일시금으로 빼는 금액은 세금 혜택 없이 퇴직 소득세 100%를 다 내야 해.
    • 운영 수익에 대해서는 연금 소득세가 아니라 기타 소득세 16.5%를 내야 해.

예시: 첫 해 연금 수령 한도가 2,400만 원인데, 3,000만 원을 인출했다고 해보자.

  • 2,400만 원까지는 세금 혜택을 받아서 7%의 세금을 내.
  • 나머지 600만 원은 세금 혜택 없이 10%의 세금을 그대로 내야 해.

정리하면:

  1. 퇴직금을 연금으로 받으면 세금 30~40%를 아낄 수 있어.
  2. 55세 이후에, 정해진 한도 안에서 나눠서 받아야 연금 혜택을 받을 수 있어.
  3. 연금 수령 한도는 매년 바뀌는데, 보통 연금 계좌에 있는 돈의 1/10 이하로 받는다고 생각하면 돼. (2013년 이전 가입자는 1/5 이하!)
  4. 중간에 다 빼면 세금 혜택은 사라지고, 초과 금액이나 운영 수익에 대해선 더 높은 세금을 내야 해.

이 네 가지만 잘 기억하면 퇴직금, 연금, 세금 문제에 대해선 걱정 없을 거야!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야.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