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요약 제목

자본주의 해설과 돈의 비밀: 부자가 되는 방법 정리

원본 제목

누적 조회수 2500만 이상! 10년 연속 경제 서적 부문 베스트 셀러 1위!┃부자가 되는 법은 이 한편에 모두 담겨있다┃레전드명작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한방에 몰아보기┃#골라듄다큐

EBSDocumentary (EBS 다큐)

조회수 조회수 1.7M 좋아요 좋아요 48.2K 게시일 게시일

설명

00:00 1부 돈은 빚이다 58:54 2부 소비는 감정이다 1:53:12 3부 금융지능은 있는가 2:49:40 4부 세상을 바꾼 위대한 철학자들 3:42:23 5부 국가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이 영상은 2012년 9월 24일부터 10월 2일까지 방송된 <다큐프라임 - 자본주의 1부~5부>의 일부입니다. 시대를 앞서간 경제 다큐의 명작, 다큐프라임 - 자본주의 누적 조회수 약 22,500,000뷰! (EBS다큐 공식 채널 기준) 국내 경제 서적 베스트셀러 부문 10년 연속 1위! 경제 다큐계의 전설로 떠오른 명작 다큐프라임 자본주의를 연속으로 감상할 수 있는 기회 “당신이 가난한 이유는 자본주의를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가난의 문을 탈출 할 열쇠, 당신에게 쥐어드립니다. 자본주의에 대한 근본적인 탐구로 시작해, 자본주의 역사에 대한 고찰, 그리고 세계 석학들의 다양한 견해를 모아, 현재 금융위기에 대해 진단하고, 자본주의의 새로운 미래에 대해 조망해본다. ■ 다큐프라임 - 자본주의 1부 돈은 빚이다 (2012.09.25) - 아무도 말해주지 않는 자본주의의 진실을 담았다. 나 자신을 위해, 내 자신을 위해 꼭 알아야만 하는 돈의 흐름, 이것을 모르고 살면 자본주의의 먹잇감이 된다. 아무도 말해주지 않는 자본주의의 진실을 담았다 나 자신을 위해, 내 자식을 위해 꼭 알아야만 하는 돈의 흐름 이것을 모르고 살면 자본주의의 먹잇감이 된다 우리는 늘 궁금했다. 왜 물가는 오르기만 하는 것인지, 왜 내 빚은 갚아도, 갚아도 사라지지 않는 것인지? 뉴스에서 늘 말하는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도대체 무엇인지? 막연히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전혀 몰랐던 사실들, 하지만 꼭 알아야 할 진실들. 그런데 왜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 것일까? 나는 과연 자본주의 세상에서 조정당하며 살고 있는 사람인가, 아니면 제대로 살고 있는 사람인가? 우리는 자본주의의 진실을 알아야만 한다. 진실을 아는 자만이 살아남을 수 있다. 자본주의라는 끝없는 바다를 항해하며 사는 우리! 헤매지 않고 제대로 된 길을 찾게 해 주는 등대와 나침반은 진정 어디에 있는가? 이제 자본주의 시대에서 진실을 보는 방법, 새로운 돈의 원리가 지배하는 세계로 입문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돈이 돌고 도는 원리 인생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돈. 우리는 끊임없이 돈을 쫓으며 살고 있다. 그런데 그렇게 중요한 돈에 대해서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아니 얼마만큼 알아야 할까? 1만원의 가치는? 이 한 장의 종이가 1만원의 가치를 갖는 이유는? 그것은 바로 믿음 때문이다. 그렇다면 왜 우리는 그 가치를 믿는가? 돈에 숨겨진 은행의 마술 같은 속임수. 은행에는 이자가 없다? 은행에 보관되는 있는 돈은 우리가 맡긴 돈의 고작 10%. 그럼 우리가 맡기는 돈은 다 어디로 흘러가고 있는 것일까? ■ 다큐프라임 - 자본주의 2부 소비는 감정이다 (2012.09.24) - 나도 모르게 쓰게되는 쇼핑의 불편한 진실. 나는 쇼핑중독일까? 나의 소비는 알맞은 것인가? 표준 소비를 제시한다. 뇌 과학으로 밝히는 소비 심리학. 나도 모르게 쓰게 되는 쇼핑의 불편한 진실  나는 쇼핑중독일까? 나의 소비는 알맞은 것인가? 표준 소비를 제시한다. 뇌 과학으로 밝히는 소비 심리학 자본주의가 낳은 최대의 쾌락. 똑바로 앉을 수 있을 때부터 시작된다는 소비. 우리는 끊임없이 소비하고 또 소비한다. # 왜 우리는 끊임없이 소비할까? 아기는 한 살이 넘으면 무려 100개의 브랜드를 기억한다고 한다. 그때부터 시작되는 마케팅의 유혹. 아기를 겨냥한 키즈 마케팅에서부터, 소비의 가장 큰 주체인 여성을 겨냥한 여성마케팅까지. 또 말초신경을 자극하는 오감 마케팅, 머릿속까지 파헤치는 뉴로 마케팅, 그리고 우리 마음을 속속들이 파헤치는 심리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쉴 새 없이 퍼붓는 마케팅의 공격을 온 몸으로 맞으며 살고 있다. 어떻게 그들은 우리를 이토록 잘 알고 있는 것일까? 속수무책 당하고 있으면서도 당하고 있는 것조차 인식하지 못했던 어리석은 우리. 우리는 그들의 공격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 파코 언더힐이 고백한다. “우리는 이렇게 고객을 유혹했다” 부산 해운대 대형 쇼핑몰 S백화점의 설계자인 파코 언더힐. 세계 대부분의 쇼핑몰은 20년 전에 그가 기획한 공간 마케팅의 산물이다. 세계 최고의 쇼핑 마케터인 그가 마케팅에 관한 진실을 고백한다. 우리가 늘 가던 마트나 백화점에 숨겨진 마케팅의 계략, 우리의 잠재된 무의식까지 공격해 나의 소비를 부추기는 놀라운 계략들을 낱낱이 파헤친다. # 나는 적정 소비자인가, 아니면 과소비자인가? 소비 유형 체크로 정확하게 알아본다. ‘나는 어떤 소비자일까?’ 또한 물건을 사는 순간, 그것이 과소비인지, 아닌지를 구별하는 간단하고도 정확한 방법을 가르쳐 준다. # 끊임없이 소비하는 나. 하지만 행복하지 않다. 왜 그럴까? 우리는 행복하기 위해 소비한다. 하지만 소비로 얻은 행복은 오래 가지 않는다. 왜일까? 과연 어떤 소비가 나를 행복하게 만들어 줄까? 심리학적 통찰과 실험적 접근을 통해 내 안의 무엇이 소비를 부추기는지, 왜 나는 자꾸 무너질 수밖에 없는지 그 원인과, 나를 지키며 행복하게 소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본다. 다큐프라임 - 자본주의 3부 금융지능은 있는가? (2012.09.25) 가장 쉽게 말하는 금융마케팅의 진실. 펀드, 보험이라면 나 몰라라 하는 사람들이 꼭 알아야 한다. 금융 IQ는 측정될 수 있는가? KDI 금융교육팀과 공동연구로 최초로 밝힌다. ‘금융상품’이라면 골치 아픈 사람들을 위해 가장 쉽게 말하는 금융마케팅의 진실 펀드, 보험이라면 나 몰라라 하는 사람들이 꼭 알아야 한다 금융IQ는 측정될 수 있는가? KDI(한국개발연구원) 금융교육팀과 공동연구로 금융IQ를 최초로 밝힌다! 우리는 자본주의라는 한 마을에 살고 있다. 그 마을의 사람들은 누구나 부자가 되고 싶다. 하지만 아무나 부자가 될 수는 없다. 그토록 갈망하는 돈은 왜 나한테만 오지 않는 것일까? 도대체 내가 모르고 있는 비밀은 무엇일까? 이제 한 은행원의 진솔한 고백을 통해 우리가 모르는 비밀을 파헤친다. 과연 은행은 우리의 이웃일까? 저축은행과 일반은행의 차이점은? 은행원도 모르는 수많은 금융상품들의 비밀은 무엇일까? 보험을 재테크라고 생각하는 우리들, 과연 보험은 올바른 재테크 수단일까? 어떤 보험이 나에게 이득이 되는 보험일까? 펀드, 펀드 하는데, 우리는 펀드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을까? 펀드의 수익률, 수수료, 회전률에 대한 오해와 진실은 무엇일까? 실제 피해사례 통해 펀드와 금융상품에 대한 진실과 거짓을 파헤치고, 넘쳐나는 금융상품들 속에서 썩은 사과를 골라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돈 잘 버는 아이큐, 금융지능이라는 게 있을까? 부자는 뭐가 달라서 부자일까? 돈 잘 버는 아이큐가 있을까? 있다. 바로 금융지능이다. 금융지능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초등금융지능 테스트를 통해 금융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제안한다. 또한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해서는 어떠한 사회적 장치가 필요한지 논의해 본다. ■ 다큐프라임 - 자본주의 4부 세상을 바꾼 위대한 철학들 (2012.10.01) - 처음 만나는 아담스미스와 칼마르크스의 생애. 칼마르크스의 자본론, 이보다 더 쉬울 수 없다. 세계적인 석학들이 말하는, 시대를 초월한 국부론과 자본론의 통찰과 지혜 처음 만나는 아담 스미스와 칼 마르크스의 생애 칼 마르크스의 자본론, 이보다 더 쉬울 수 없다 세계적인 석학들이 말하는, 시대를 초월한 국부론과 자본론의 통찰과 지혜 아담 스미스는 정말 부자들만의 편일까? 칼 마르크스는 왜 비참한 가난과 싸우면서도 자본론을 썼을까? 자본주의의 역사는 끊임없이 번영과 위기의 파도를 넘어왔다. 그리고 위기의 순간에 나타나 새로운 아이디어로 세상을 구하고자 했던 위대한 경제학자, 아담 스미스와 칼 마르크스가 있다. 그런데 과연 그들이 주장한 자본주의의 본질과 모순에 대해 우리는 제대로 알고 있었던 것일까? 아담 스미스와 칼 마르크스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파헤친다. 그들이 진정 꿈꾸던 세상은 지금의 세상일까? 아담 스미스와 칼 마르크스, 그들의 업적과 삶에 대한 이야기를 생생한 드라마로 그려낸다. 그리고 그들의 위대한 사상을 다양한 시각으로 재조명하고, 현재의 금융위기를 극복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는다. ■ 다큐프라임 - 자본주의 5부 국가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2012.10.02) - 100년의 논쟁, 케인즈와 하이에크가 벌이는 "세기의 논쟁"을 랩뮤직비디오로 만난다. 경제위기는 현재 진행중. 나와 우리 가족은 어떻게 살아야 할까? 미래의 대한민국은 전진할 것인가, 아니면 이대로 멈출 것인가? 100년의 논쟁 시장이냐 정부냐 케인스와 하이에크가 벌이는 “세기의 논쟁”을 랩뮤직 비디오로 만난다. 신자유주의의 기세가 물러나고 현실로 남겨진 FTA 진단 경제위기는 현재 진행 중. 나와 우리 가족은 어떻게 살아야 할까? 미래의 대한민국은 전진할 것인가, 아니면 이대로 멈출 것인가? 1930년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시작된 국가냐, 시장이냐에 대한 논쟁은 2012년 현재도 계속되고 있다. 거시경제학의 창시자 케인즈, 신자유주의의 거두 하이에크. 100년 논쟁의 승자는 과연 누구인가? 새로운 발상으로 경제학 이론을 랩으로 만들었다. 이 최초의 시도는 가장 어려운 현대경제이론을 가장 쉽게 보여줄 것이다. 또한 케인즈와 하이에크의 논쟁을 통해 금융자본주의의 부산물인 불평등, 양극화, 빈부격차, 그리고 금융위기로 불거진 금융권의 탐욕을 해소할 명답을 찾아본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가 발효되고, 우리나라는 지금 불 꺼진 터널에 갇힌 상황으로 묘사된다. 우리나라가 한치 앞을 볼 수 없는 불 꺼진 터널에서 나오는 방법을 모색해본다. 과연 국가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경제 #경제다큐 #부자되는법 #부자되는방법 #가난탈출 #주식 #금융 #다큐명작 #다큐프라임자본주의다시보기 #저축 #티끌모아태산 #대출 #돈버는법 #보험 #채권 #금융자산 #금융자본주의 #고금리시대 #물가안정
자막

자막

전체 자막 보기
[음악] capital capital capital l [음악] Oh my God Oh my goodness I don't know the success formic the capit Thank you [음악] 자본주의 솔직히 말만 들어도 어렵습니다 하지만 자본주의가 뭔지도 모르고 어떻게 자본주의 시대를 살겠습니까 우리는 자본주의에 대해 제대로 알기 위해 세계적인 석학들을 만났습니다 [음악] capal free maret [음악] sy Finance is integral part human Civilization money is what they call a veil a [음악] curtain You must Pull away to look at the real workings of the economy B money in [음악] econom B money in econom com central Banks pie of paper central [음악] bank central bank is the bank for bankers central [음악] B central b [음악] 자 그럼 제일 먼저 무엇부터 알아야 할까요 현대는 금융자본주의 세상입니다 금융 즉 돈이 지배하는 세상이라는 뜻이죠 돈이 태어나는 근본 원리를 아는 것은 여러분들에게 불편한 진실이 될 것입니다 그럼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진실의 세계로 [음악] 가볼까요 money money money must be fny in the rich world money money money in the world Ah all the things i [음악] do world [음악] 자본주의 세상에서 돈 없이는 한 순간도 살 수 없습니다 우리는 때로 돈을 사랑합니다 돈을 사아하는 것이 비난받을 일일까요 아니면 돈을 무시하는 것이 어리석은 짓일까요 아니면 돈을 모르는 것이 문제일까요 금융자본주의 시스템은 우리나라에서 만든 시스템이 아닙니다 영국에서 시작돼서 미국에서 발전된 시스템입니다 만 아니라 전세계 금융시스템은 합니다 우리는 오늘 때로는 미국이나 영국 얘기를 때로는 한국 이야기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이들은 서로 다르지 않습니다 돈이 도는 근본 원리는 다 똑같기 때문입니다 돈이란 도대체 무엇일까요 역시 어려운 질문입니다 그래서 쉽게 물가 얘기부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어렸을 때는 짜장면 한거리 시면은 정말 최고의 외식 거리였습니다 그때 돈으로 15원 그런데 요즘 짜장면 한글은 먹으려면 보통 4,500원을 내야 합니다 50년 동안에 무려 300개 자 뭐 짜장면 뿐이겠습니까 오늘 물가 다르고 내일 물가 다르다는 말이 소가 아니죠 시장만 갔다 오면 나날이 홀쭉해지는 장바구니에 한숨이 절로 나오죠 도대체 물가는 왜 자꾸만 오르기만 하는 걸까요 물론 가격에 대해 학교에서 배우긴 했습니다 바로 수요 공급 법칙 수요곡선과 공급 곡선이 만나는 곳이 가격을 결정한다는 거죠 그러니 가격이 오르는 것은 공급이 부족하거나 수요가 늘어나기 때문이라는 뜻 맞는 말입니다 근데 물가가 오르는 것이 정말 그 이유 뿐일까요 1억짜리 아파트 가격이 1년도 안돼서 2억이 드는 것도 공급이 부족하거나 갑자기 수요가 늘어서일까요 혹시 물가가 오르 데는 수요와 공급의 법칙 말고 또 이유가 있는 건 혹시 아닐까요 그렇습니다 물가가 계속 오를 수밖에 없었던 또 다른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돈의 양이 많아졌기 [음악] 때문입니다 시중에 돌아다니는 돈 즉 통화량이 많아졌다는 뜻입니다 돈의 양이 많아지다 무슨 황당한 소리냐고요 이제부터 잘 보십시오 지난 50년간 어떻게 돈의 양이 늘어났는지 왜 물가는 오르기만 했는지 확실히 보여드리겠습니다 돈의 최고의 가치를 갖는 금융자본주의 사회에서 어떻게 돈이 돌고 도는지 분명하게 가르쳐드리겠습니다 [음악] 시도도 없이 신에 내리는 통화 뭐 이런 말들이 무슨 뜻인지 이젠 아시게 될 겁니다 이제부터 여러분은 금융 자본주의라는 숲을 보시게 될 겁니다 자 그럼 돈이 어디에서 나오는지 어떻게 돌고 도는지 알아볼까요 맞습니다 우리는 대부분 돈은 조폐공사에서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정말 그럴까요 물론 조폐공사에서 돈을 찍어내는 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건 시중에 돌아다니는 돈 중에서 히 일부분입니다 [음악] 이해가 안되시죠 그럼 나머지 돈는 어디서 나오냐고요 그걸 알려면 일단이 서에서 돈이 어떻게 지부터 생각해봐야 합니다 간단하게 말해보겠습니다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조폐공사에서 100원을 찍어서 시중은행에습니다 그러자 중소기업 사장가 그 100원을 대출받아서 기계도 사고 직원들 월급도 줍니다 다행히 이익이 나서 은행에 대출받은 것에 원금과 이자로 50원을 갚았습니다 그은 원장에 대해는 그 돈으로 학원 운영비도 쓰고 선생님들 월급도 줍니다다는 기죠 아마 여러분은 이렇게 은행에 다른 누군가가 지금을 하거나 갚은 돈을 나에게 대출해준다 이렇게 생각하셨을 겁니다 이제 우리가 [음악] 있니까요 은행에 대해서 너무도 모르기 때문에 하는 [음악] 이야기입니다 예금으로 대출해 주는게 아니다 그럼 대체 무슨 돈으로 대출을 해주는 걸까요 생각해 보십시오 만약 방금 얘기했던 것처럼 돈이 돈다면 시중에 있는 돈은 딱 100원뿐입니다 말도 안 됩니다 조금 전에 분명히 조폐공사에서 찍은 돈보다 훨씬 더 많은 돈이 시중에 돌아다닌다 이렇게 말씀을 드렸죠 시중에 있는 돈은 당연히 원보다 훨씬 많습니다 그럼 어떻게 내지도 않은 돈이 돌아다닐 수 있는 [음악] 걸까요 내가 100원을 벌어서 그대로 금고에 넣어두면 돈은 계속 100원뿐입니다 은행도 마찬가지죠 내가 예금한 100원을 그대로 두면 돈은 계속 100원뿐입니다 그런데 은행은 이걸 그냥 넣어두지 않습니다 은행은 그중에서 10원만 남겨두면 나머지 0원을 대출해줄 수 있습니다 그 가 대출했는데 이상하지 않습니까 내 통장에는 분명히 100원이 찍혀 있는데가 대출한 금액은 90원 이제 나와 a 두 사람이 마음대로 꺼냈을 수 있는 돈은 190원이 되습니다 100원이 어떻게 190원이 된 걸까요 알송달송 아지 수학 방정식에 집어넣어 봐도 전혀 맞지 않는 계산입니다 [음악] 뭐 듣고 보니 궁금하지 않으십니까 어떻게 갑자기 90원이 생겼을까요 그리고 왜 은행은 100원을 다 대출해 주지 않고 10원을 [음악] 남겼을까요 약속 때문입니다 정부랑 은행이랑 약속한 겁니다 100원이 들어오면 은행은 10원을 남기고 나머지 990은 대출해 주어도 된다고 청부가 허락해준 것입니다 그래서 업던 돈 0원이 갑자기 생기게 된 겁니다 못 믿으시겠다고요 보세요 분명히 경제학 교재에도 쓰여 [음악] 있습니다 그리고이 원리를 그대로 적용한 것이 바로 193년 미국 연방준비은행 frb 만든 업무매뉴얼 현대금융 원리입니다이 문서는 돈의 탄생 원리에 대해서 정확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 규정에 따르면 10% 부분 지급 준비율 갖고 있게 되 있습니다 [음악] 지급비율 해서 은행이 쌓아두어야 하는 돈의 비율을 말하는 것이죠 이제부터는 간단히 지급 비율이라 [음악] 말씀드리겠습니다 한마디로 은행은 은행에 들어온 돈 100원 중 10% 즉 10원만 남겨 놓으면 나머지 0원은 대출해 줄 수 있다는 뜻입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하냐고요 사실 지급준비율은 아오 [음악] 명한 경자 경제학에서이기를 자세하게고 있습니다이 이야기는 [음악] 16세기 금이 돈이었습니다 근데 금은 무거웠지 금세공업자 금을 휴대하기 편리하게 금화로 [음악]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그걸 보관하기 위해 금고를 마련했죠 사람들은 자신이 소유한 귀중한 금을 보관하기 위해서 금세공업자 금고를 빌렸습니다 그럼 금자는 보관증을 써죠 면 든을 내겠다는니다 물론 보관도 받습니다 얼마간에 시간이 지나자 사람들 사이에서는 금화 대신 보관이 돌아다녔습니다 화보다 훨씬 가고 언제든 금세 공자에게 가서 주면 다시 금화로 바꿀 수 있기 때문이었죠 그것을 본 금자는 았습니다 [음악] 금세 공자는 치를 발휘합니다 사람들이 맡겨둔 마를 빌려주고 이자를 받기로 하죠 출이 잘 갚지는 한 아무도 눈치챌 수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음악] 금세공업자 고객의 금화를 돈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대출해 줬습니다 그리고 대출하면서 받은 이자로 많은 이익을 남기게습니다 사람들은 금세공 업자가 갑자기 많은 돈을 버는 것을 수상하게 여겼습니다 하지만 자신들 금로 대출을 해주고 이자를 받는다는 사실을 알게 [음악] 람들은 금자에게 가서 했습니다 [음악] 그러자 금세공업자 제안을 합니다 당신의 금으로 대출을 해서 이자를 받으면 그걸 나눠주겠다 사람들은 괜찮은 거래라고 생각합니다 가만히 앉아서 돈을 벌 수 있으니까요 그럼 세공 업자도 걱정이 없습니다 대출 이자가 항상 예금 이자보다 많았으니까요 [음악] 하지만 금자는 더 욕심이 생겼습니다 다시 머리를 [음악] 죠는 금지 은빌 사람들은 금세공업자 없는 돈을 만든다는 사실을 꿈에도 몰랐죠 어떻게 그걸 상상이나 했겠습니까 그렇게지도 않은화에 이수지 벌어보니 어새 금자는 엄청난를 축한 은행업자 변신을 게됩니다 사람들은 금자를 의심하기 [음악] 시작했죠 유한 예들이 은행에 타서 금화를 내라 했지만 이미 늦은 일이었죠 이지도는까지 빌려 주었으니까요 바로 뱅이 일어난 [박수] 것입니다 은행에 돈을 맡긴 사람들이 한꺼번에 돈을 인출하는 현상 뱅크론 현대에도 아무리 건전한 행일지라도 뱅크런이 일어나면 망하게 되 있습니다 은행이 가장 두려워하는 일이죠 그러나 바로 그때 영국 왕실은 오랜 전쟁으로 금화가 많이 [음악] 필요해졌습니다 그래서은 업자에게 가상의 돈을 만들어서 대출영업을 할 수 있도록 특별히 허락해 [음악] 주었습니다 은행의 이름에 들어 [음악] 있는는 바로 면허받은 공인된이라는 뜻입 입니다 약 300년 전쯤의 일입니다 당시 영국 왕실은 포유에 약 세배까지 대출할 수 있도록 [음악] 허가해습니다 war [음악] 이런 과정을 통해서 은행이 설립되고 은행은 급 준비를 이용해서 돈을 마음대로 릴 수 있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이 약속은 현대 은행에도 그대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음악] 자 그러면은 지주인 비율이 10% 경우에 돈이 얼마나 불어나지 계산해보겠습니다 [음악] 자 이번에는 돈을 좀 늘려보겠습니다 은행에 100억이 들어오면 은행은 그중 10% 10억을 지급 준 비율로 놔두고 나머지 90억을 대출해 줍니다 이렇게 난대없이 생긴 90억을 신용 통화 이렇게 얘기합니다 이제 실제 시장에서 도는 돈 즉 통화량은 모두 190이 된 셈이죠 9억은 지급비율 10%고 있는 돈 81억 만듭니다 81억원 72억 만들고 72억원 65억을 만들고 마치 수화 교과서에 나오는 무한 등비 급수의 합처 이렇게 계속 돈이 불어나는데이 과정을 신용 창조 이렇게 얘기합니다 그럼 이렇게 빌려줄 수 있는 최대까지 빌려 준다면 얼마까지 만들 수 있겠습니까 원래 있던 100억을 더해 최대 천억 대출할 때마다 새돈이 생기는 겁니다 바로 이것이 우리 사가 구하는 사 입니다 하루에도 몇 번씩 대출 문자가 날아오고 여기저기 은행에서 대출 안내문을 보내는 이유인 것입니다 고객이 대출을 해가야 은행은 새돈이 생기기 [음악] 때문입니다 급 비율이 적을수록 은행은 더은 면 [음악] 됩니다 돈을 더 많이 불릴 수 있다 하는 그런 뜻이죠 우리나라는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정합니다 우리나라의 현재 지급 준비율 평균 3.

5% 내외 자 그럼 평균 지급준비율을 3.

5% 이렇게 가정하고 돈이 얼마나 불어나는 볼까요 한국은행이 애플 은행에 5천억 원을 대출로 공급합니다 그럼 애플 행은이 돈을 대기업사장 남자 1호에게 대출해 주죠 남자 1호는 그 돈을에게 재료값으로 줍니다는 그중에서 5% 정도인 250억원을 회사 금고에 현찰로 넣어놓고 쓰고지 4750 원은 은행장 예금 정이 돈은 오렌지 은행의 a 예금 계좌로 들어가게 됩니다 그럼 오렌지 은행은가 예금한 돈의 3.

5% 166억 3천만 원을 지급 준비금으로 놓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483억 8천만 원을 남자 이호에게 대해 이호는 5% 정도만 현찰로 두고 나머지 금액은 바나나 은행에 예합 이런 식으로 계속 반복되죠 그럼 얼마로 늘어날까요 대출할 수 있을 때까지 다 대출한 경우에 모두 6조 60억 원이 됩니다 5천억이 6조 60억이 되다니 신기할 따름이죠 여하튼 새 돈이 생기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음악] Boney andri onen so they doic they saying We necess have the money but When you come get the money get quick so they Can you in advance 새돈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뚜껑을 열마다 짝 인이는 러시아 인형과 같습니다 돈은 은행에 들어갈 때마다 계속 불어나게 되 있습니다 [음악] 이제는 시중에 돌고 있는 돈이 조폐공사에서 찍어낸 돈보다 훨씬 많다는 사실을 믿으시겠습니까이 그래프는 지난 50년간 우리나라의 통화량 그래프입니다 그리고이 그래프는 지난 50년간 우리나라의 물가 그래프입니다 그런데 두 그래프를 비교해 보면 기울기가 비슷하지 않습니까 통화량이 늘어난만큼 물가가 올랐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금값을 보면 물가가 얼마나 올랐는지 더 확실하게 알 수 있습니다 1970년 1000달러를 가지면 금 28 온스를 살 수 있었습니다 [박수] 그런데 2012년 2월 1일 금시세는 1온스당 138달러 1,000달러를 가지면 겨우 0.

58 온수의 금을 살 수 있을뿐입니다 가격이 무려 48배나 올랐습니다 물가가 계속 오르는 가장 큰 이유는 돈이 많아졌기 때문입니다 돈이 많아지면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건 당연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통화량이 증가해서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가 오르는 현상할 통화팽창 인플레이션이라고 [음악] [박수] [음악] 말합니다 자 이쯤 되면 머리가 지끈거리고 왜 내가 이걸 알아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드실 겁니다면 모르면니다이 알아야 중요한 이야기를 이해하실 수 [음악] [음악] 있습니다 자 그럼 다시 보 시중은행이 대출을 해서 돈을 리는데 그 원금은 누가 준다고 했죠 그렇습니다 중앙은행이 준다고 했습니다 그런데이 중앙은행도 돈을립니다 그게 무슨 말이냐고요 먼저 중앙은행이 어떤 일을 하는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중앙은행은 시중 통화는을 [음악] 이자를 통할 수 있는 권 그리고 화폐를 어낼 수 있는 권리입니다 [음악] 기금 금리를 3.

5% 0.

2% 의 반응은 과거와는 다르게 나타났습니다 한국행이 금리를 인상했다 그나 동결했다는 뉴스를 자주 보셨을 겁니다 그럴 때마다 여기저기서 들썩들썩 합니다 대출받을 것을 갚아야 할지 아니면 더 대출을 해야 할지 요즘 장보기가 두렵다는 주부가 많습니다 배출 가격은 한 포기에 6,000원이 넘었고 생갈치 한 마리는 예년보다 25% 가까이 올랐습니다 물가는 어떻게 될지 이는 이자를 이용해 시중의 통화량을 조절하려는 것입니다 보통 침체에 있는 내수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즉 경기 부양을 위해서 많이 쓰는 방법입니다 중앙은행은 바로 이렇게이 자유를 조절해서 시중의 통화량을 조절하지 그런데 시중의 통화량을 조절하는 또 한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화폐를 찍어내는 일이죠 뉴스나 신문에서 소위 양적 완화라는 표현 많이 들어보셨죠 금융 위기 이후 거의 매일 듣는 말이었을 겁니다 한마디로 중앙은행이 기준 금리를 내려도 효과가 없을 때 직접 돈을 푸는 방법을 말합니다 그런데 중앙은행이 이렇게 자꾸 돈을 찍어야만 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사실 따로 [음악] 있 을통해 제시한 이론을 간단한 그림으로 표현해봤습니다 섬이 하나 있습니다이 섬은 외부와 전혀 소통하지 않는 단일한 통화 체제를 갖고 있다고 가해 보겠습니다이 섬에는 중앙은행 a 시민 B 시민 C 세 사람이 삽니다 중앙은행 a 발행한 돈은 딱 만 원이 돈을 시민 bga 연율 5% 빌렸습니다 그러니까 1년 뒤에이자 500원을 더해 10 500원으로 갚기로 한는 것이죠는 빌린 만 원을 주고에게서 배를 한적 삽니다 비는 열심히 고기를 잡아 돈을 봅니다 자 그럼 비는 과연 1년 뒤에 10000원을 갚을 수 [음악] 있을까요 답은 갚을 수 없다입니다 왜냐하면 섬에 있는 돈은 딱 만 원이자 500원은 어디에도 없기 때문입니다 은행 시스템에는 애초에 이자가 없습니다 그럼 어떻게 할까요 이자를 갚으려면 방법은 딱 하나 다시 돈을 찍어낼 수밖에 없습니다 입니다 중앙은행 a 500원을 더 발행하고 그걸 누군가 대출하는 겁니다 이제 섬에 있는 돈은 모두 10500원 만약 비가 열심히 일해서 섬에 있는 돈을 모조리 벌면 빌린 돈과 이자를 다 갚을 수 있게 되죠 근데 가만 그럼가 빌린 500원의 원금과 이자는 또 어떻게 될까요 또 만들어야 하고 또 누군가 빌려야 합니다 결론은 이자가 없기 때문에 중앙은행은 계속 돈을 찍어낼 수밖에 없는 [음악] 것입니다 take 은행이 대출을 통해 돈을 불리는 경우뿐만 아니라 중앙은행이 화폐를 찍어 돈을 불리는 경우에도 인플레이션이 발생합니다 사실 인플레이션은 누구나 다 좋아합니다 일단 돈이 많이 도니까 흥청망청 쓸 수 있는 것이죠 집도 사고 차도 사고 잘 사는 거 같습니다 [음악] [박수] 아무도 나중에 어떻게 될지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 잘 모르는 것이죠 영이 모두 14개 이것은 100조 달러입니다 아프리카 대륙에 위치한 짐바브웨에서 2008년에 실제로 사용했던 바우의 달러입니다 이때 짐바브웨는 한해 최고 2억 31만라는 상상 초월의 물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바로 하이퍼인플레이션 [음악] 상태 40여년을 통치한 무가 대통령의 무제한 정책이 바로 그 [음악] 원인이었습니다 극심한 실리를 극복하고 외를 상하기 위해 너무나 많은 화폐를 찍어서 국고로 썼기 [음악] [음악] 때문이었습니다 지금까지 중앙이 왜 돈을 불리는지 그리고 과도한 경우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그런데 우리의 통화 시스템에는 항상 이자가 없다는 사실은 또 다른 끔찍한 상황을 만듭니다 비는 대출한 돈 만 원과이자 500원을 갚기 위해 열심히 일했습니다 그래서 섬에 있는 10000원을 다 벌어 빚을 갚았습니다 그럼 뒤는 은행에서 빌린 500원을 어떻게 갚을까요 당연히 못 갚습니다 파산하게 되는 거죠 즉 내가 이자를 갚으려면 누군가의 대출금을 가져와야 합니다 그래서 현대 금융 시스템에서 빚을 갚는 건 개인한테는 좋은 일이지만 또다른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돈이 적게 돌면 결국 누군가는 이자를 갚을 수 없게 되고 그은 밖에 없기 [음악] 때이죠 그리고 당연히 수입이 적고 빚은 많고 경제 사정에 어두운 사람이 제일 먼저 피해자가 [음악] 되겠죠이 세상에는 여러 보전의 법칙이 있습니다 에너지 보존법칙 보 등 현대 금융 시스템은 바로 보전 법칙이 지배하는 시스템이죠 누군가 빚을 갚으면 누군가는 파산하게 됩니다 모든 돈이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자본주의서는 경쟁이 필연적입니다이자 시스템이 존재하는 한 다른 이의 돈을 뺏기 위해 경쟁할 수밖에 없게 되 있습니다 우리는 저마다 살아남기 위해 싸웁니다 바로 이것이 우리가 매일 돈 돈 돈하고 사는 [음악] 이유죠 자본주의 세상에서 돈이 전부라는 말이 여기에서 나온 것입니다 우리의 경쟁이 여기에서 시작된 것이죠 o [음악] [박수] [음악] e [음악] 근데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이런 일이 연속으로 벌어지면 시중의 돈의 양이 줄어들게 됩니다 [음악] 돈이 부족하니 돈을 못 갚는 사람들이 더 급격하게 늘어납니다 대량 부도 사태가 속출하고 파산하게 됩니다 통화량도 계속 줄어듭니다 팽창이 멈추는 순간 우리는 순식간에 추락할 수밖에 없습니다 바로 디플레이션이 시작된 것입니다 디플레이션이 일어나면 돈이 돌지 않기 때문에 여기저기서 거품이 터지기 시작합니다 일단 돈이 없으니까 기업이 위축됩니다 생산과 투자를 줄이게 되죠 직원을 새로 뽑기는 커녕 일하던 사람들도 내보냅니다 일자리가 부족해집니다 돈을 벌기가 힘들죠 여기저기서 돈 없다는 소리가 들립니다 그래서 디플레이션은 누구나 싫어합니다 [음악] I think around the world credit has collapsed It's still in a deflationary phase There's not enough money you can see that in the EU all those countries are in de who are they in to because There's not enough mone 이렇게 인플레이션 후에 디플레이션이 오는 것은 숙명과도 같은 일입니다 왜냐하면 호황이 진정한 돈이 아닌 빚으로 쌓아 올린 것이기 때문입니다 상품을 만들어 본 돈이 아니라 인플레이션으로 만든 돈 일해서 본 돈이 아니라 빌린 돈이기 때문입니다 경제에도 사계절이 있는 겁니다 여름이 지나면 가을 겨울이 오는 법이죠 그럼 궁금해집니다 겨울이 온다는 걸 미리 알 수는 없는 일일까요 [음악] [음악] very difficult to predict exact when Earth is to occur it is not hard to know when a System is in danger of Having a Crash just AS we know From from the Theory of geology of seismology Which areas are likely to have earthquakes [음악] 1925년 러시아의 경제학자 니콜라이 콘드라티예프 자본주의 경제 환경에서는 장기 순한 주기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그리고 그 주기가 48년에 60년 정도 된다는 결론을 내렸죠 금세기의 대표적인 경제학자 가운데 한 명 페터 역시 자본주의 경제는 물결처럼 상승 하강을 반복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리고이를 콘드라 TF 파동 이렇게 이름을 붙였습니다 자 그럼 이제 우리가 어디에 와 있는지 볼까요 미국의 콘드라 TF 주기의 겨울은 2000년부터 이미 시작됐습니다 2007년부터 시작한 급격한 이자율 하락은 디플레이션의 절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음악] 금융 회사들은 빚을 갚을 능력이 없는 사람들에게까지 돈을 대출해 준 것입니다 바로 모기지 그것으로 그들은 집을 사고 차를 샀습니다 빌릴 수 있는 사람은 다 빌렸고 빌려서는 안되는 사람까지도 다 빌렸습니다 그런데 부동산 가격이 추락하 빚을 갚지 못하는 사람들이 속출했습니다 금융 위기가 시작된 것입니다 우리나라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우리의 아버지들은 집값은 항상 오르는 것으로 알았습니다 하지만 그건 콘드라 TF 주기에 여름에 사셨기 때문입니다 이제 우리는 부동산 가격이 계속 떨어지는 것을 두으로 목 있 이제 왜 금융 위기가 일어났는지 왜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지 왜 부동산 가격이처럼 오르지 않는지 왜 젊은 사람들이 취직을 못하는지 아시겠습니까 [음악] 카파도 카파도 없어지지 않는 빛 우리는 코 갚을 수 없는 부사에 묶여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의 희생자는 언제나 힘없는 우리들 중에 굽니다 [음악] h [음악] 영국의 시사주간지 이코노스 위를 어버린 년과 비교했습니다 뉴스와 신문은 연일 미국의 frb 무엇을 했는지 미국의 경제 상황이 어떤지 그래서 우리나라의 전망은 어떤지를 분석하는 기사를 쏟아냈습니다 하지만 전 세계는 아직도 불황의 터널에 있습니다 물론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왜 이렇게 미국 미국 하느냐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아 미국이 뭘 하든 어찌 됐든 내 지갑 속의 돈과 무슨 상관인가 하실 겁니다 생각해 보십시오 우리나라는 자원이 거의 없습니다 석유도 철광석 나무도 거의 다 수입하지 그런데 그런 걸 사려면 달러가 필요합니다 세계 수많은 돈 중에서 가장 의미 있는 돈은 달러뿐입니다 달러가 기축 화기 때문이죠 자 그럼 달러는 어떻게 세계 기축 통화가 [음악] [박수] 됐을까요 1944년 7월 미국 뉴햄프셔 주의 브레튼 우주에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44개 연합국 대표가 모였습니다 그들은 외환 금융시장을 안정시키고 무역을 활성화한다 하는 그런 목적으로 브레튼 우주 협정을 맺었습니다 35달러를 내면 금 이수를 내주겠다고 각국의 통화를 달러에 고정시킨 것입니다 미국의 달러가 세계 기축 통화가 되는 순간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들의 욕심은 거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베트남 전쟁으로로 가 하락하자 금으로 바꿔 달라 하는 요구가 많아졌습니다 그러자 금 보유고가 크게 떨어지고 돈을 찍어 내려면 금이 더 필요했지만 금을 확보하기 힘들어졌습니다 그러자 다른 나라들이 달러 가치를 의심하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미국의 닉슨 대통령은 일방적으로 금태 환제를 철폐하겠다고 결정했습니다 [음악] 위의 달러는 1971년 이전의 달러입니다 아래의 달러는 1971년 이후의 달러입니다 무슨 차이점이 있는지 아십니까 1971년 이전에 달러는 은행에 가면 언제든지 금으로 바꿔주겠다 이렇게 쓰여 있습니다 그러나 71년 이후의 달러는 금과 무관합니다 종이 돈일뿐입니다 1971년 달러가 금으로부터 자유로워진 역사적인 순간이었습니다 이제 미국이 원하기만 하면 마음대로 돈을 만들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자 그럼 여기서 잠깐 상식 테스트 한번 해 보겠습니다 달러는 누가 찍어 낼까요 1번 미국정부 2번 민간은행 답은 뭐겠습니까 2번 민간 은행입니다 달러는 미국 연방준비은행 즉 더럴 뱅 히 frb 이렇게 부르죠 바로이 frb 찍어냅니다 우리나라의 한국은행과 같은 은행이 그런 좀은 관입니다 하지만 frb 페럴이 정말 연방 정부라는 뜻일까요 그건 미국의 전화번호 부만 찾아봐도 금방할 수 있습니다 먼저 연방을 [음악] 찾아보겠습니다 연방 란에는 없습니다 자 그럼 민간 기업으로 가보겠습니다 더럴 리브 에 있네요 민간 기업에 있습니다 frb 정부기관이 아닙니다 미국 금융 시스템에서 막강한 힘을 사하는 몇몇 민간 은행들의 법인일뿐입니다 그런데도가 달러를 발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바로 그 달러가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것입니다 몇몇 금융 자본들이 세계를 쥐락 락하고 있는 것입니다 [음악] 결국 전 세계는 미국금융 운명을 맡기고 있습니다는 어 [음악] 의을려면 미국의 정책을 알아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나의 지갑이 세계 경제와 그리고 미국 경제와 연결되 있는 [음악] 이유입니다 이제 자본주의 세상이 좀 보이십니까 큰 거림에서 돈의 흐름을 봐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제자리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가해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우리가 잃어버린 돈은 우연이 아닙니다 시작부터 잘못된 통화정책과 탐욕스러운 금융 자본의 그 첫 번째 책임이 있습니다 물론 빚으로 만든 돈을 흥청망청 쓴 우리의 잘못도 큽니다 하지만 확실한 건 돈이 돌아가는 원리를 모르면 희생자가 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입니다 돈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금융자본주의 세상에서 빚은 돈입니다 돈은 빚입니다 이자가 없는 세상에서 우리는 언제 의자를 뺏길지 모릅니다 그래서 우리는 돈의 노예 빚의 노예일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무가 아닌 숲을 는이 필요 어떻게 돌아가고 그래서 우리나라의 정책은 어떻게 변할 것인지 생각할 수 있어야 합니다 지금이 디플레이션의 시대인 것도 아셨을 겁니다 그러니 지금 당장 빚을 내라고 흥청망청 쓰라고 유혹하는 목소리가 들릴지라도 스스로 중심을 잡고 판단하셔야 [음악] 되겠습니다 나와 내 가족을 지켜야 합니다 그래도 참 다행입니다 추운 겨울을 잘 지내면 따뜻한 봄이 올 테니까요 자본주의 250년 끊임없이 쏟아져 나오는 생산품 현대사회에서 소비는 덕일까요 왜 소비를 멈출 수가 없을까요 브랜드는 어떻게 우리를 유혹할 소비로 드러나는 우리의 감춰진 모습 그 비밀스 이야기를 듣기 위해 우리는 최고의 권위자들을 만났습니다 do things so If you think about it the world around US is tempting US to do things Now to consume now to spend money Now to spend time now that we Needed to go further into our mind and That was actually the moment I realized that we Now need to work with science [음악] and toine neuroscience with marketing Now called neur I want them to be able to see certain things I want them to be able to hear certain things the sound [음악] music I want to be able to t certain things I want them to have physical 소비는 불안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우리 인간은 그러한 소비에 그냥 끌려가는 노예라고 [음악] [박수] [음악] 쇼핑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어을 때부터 시작됩니다 수 쏟는 품들 어린이 프로그램이나 TV 광고 등을 끊임없이 반복해 보는 우리 아이들은 매일 뭔가를 손에 주어야 합니다 이렇게 시작된 쇼핑은 아이들에게 아주 특별한 기억을 갖게 하죠 이러한 기억은 나도 모르게 그 상품을 좋아하게 만들어 특정한 상품을 선호하는 취향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미 객으로 길 되는 것이죠 [음악] 마케터는 내가 어렸을 때부터 먹던 과자를 어른이된 지금도 집게 합니다 그리고 그걸 내 아이에게도 먹이게 합니다 소비의 대물림이 어렸을 때 습관이 된 소비는 어른이 된 이후에도 똑같이 반복됩니다 [음악] [음악] 동장들을를 그럴까요 일 우리는 [음악] 음이가 그럼 이왕이면 그 장에서 자동차를 구입하지 않겠습니까뿐만 아니라 아이들은 뭔가를 갖고 싶으면 임없이 되고니다 결 부모는 못고 사주게 되죠 그래서 즈 마케팅은 놀라운 속도로 그을 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성인들은 어떨까요 성인 마케팅의 가장 중요한 공격 대상은 바로 [음악] 여성입니다 여성 마케팅은 마케팅의 꽃이라 불립니다 그만큼 여성들이 쉽게 사고 많이 산다는 말이죠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남성과는 다른 여성의 어떤 점이 더 많이 사게 하는 걸요 어느 날게 말했다 난 당신을 위해 태어났어요 당신의 삶은 달라질 거예요 자 잘생긴 연예인이 하는 달콤한 말이 꼭 내게 하는 말로 느껴지나요 하루한 맛있게 먹기만해도 지금 바로 살을 빼라는 말에 바르기만 하면 좋아질 거라는 말에 금방 마음이 흔들리죠 좋은 건 빨리 시작하세요 성은 판매자와의 감정적 교류도 상당히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내가 필요로 하는 것을 판매자가 먼저 알아차리고 동조해 주길 바라죠 더 큰 소비인구 사는 문제도 여성들의 의견이 [음악] 결정적이지 남성들의 전유물이라고 생각했던 프로야구 이제 프로야구지명 [음악] [박수] women AR just buying food and clothing they are buying Electronics they buying uh cars they're buying the entire range of products and that one of the ironies being is that We've always Said I sold these kinds of things to men and these kinds of things to women It's just 여성은 지금 쇼핑 현장에지도 않은 사람 즉 남편이나 아이 다른 가족의 물까지도 산다는 것이죠 여성이 가정내 소비에 있어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니 여성이 마케터들에게 중요해졌죠 여성은 집안에 쇼핑 가장입니다 여성은 언제나 마케팅에 표적이 됩니다 매장에 들어서면 판매자는 나를 면밀하게 분석합니다 내가 누구와 함께 왔고 어떤 상품을 유심히 보는지 오늘의 기분은 어떤지 그뿐만이 아닙니다 나의 나의 직업 내 수입까지 [음악] 분석합니다 물론 우리는 전혀 눈치 챌 수가 없죠 기분 나쁘신 하지만 이건 아무것도 [음악] 아닙니다 보안을 위해 설치된 CCTV 또 다른 목적으로도 이용됩니다 마케터가 CCTV 통해 내모습을 고스란히 분석하고 있다는 사실 정말 충격적이죠 하지만 진실입니다 그리고 그것을 이용해 고도의 마케팅 기법을 만들어 우리를 조종하고 있는 것이죠 I'm there to watch Please remember I have a staff globally of 140 People who spend their weeks and their weekends on the floors of stores malls airports and train stations observing How people move And how people interact we use a variety of different types of techn the just [음악] [박수] [음악] looking 걸 [음악] [박수] [음악] 왜 우리는 마케터들의 술수를 눈치채지 못했을까요 아니 솔직히 어려운 풋이 알고 있었는지도 모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매번 넘어갑니다 왜일까요 왜 우리는 자꾸 소비하게 되는 것일까요 그 원인을 밝히기 위해 우리는 최고의 심리학자와 중독을 연구하고 있는 정신의학 전문가를 [음악] 만났습니다 그들과 함께 소비를 불러일으키는 우리 안내 감정에 대해 심층분석 첫 번째 놀라운 사실은 바로 우리의 무의식에 관한 겁니다 무의식이란 이런 겁니다 머리 안경을 얹고 있으면서도 의식을 [음악] 못합니다 전화를 하면서도 만한 장애물은 어 척 피하죠 바로 우리의 행동 중 많은 부분을 무의식이 이끌고 있기 때문입니다 쇼핑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처음엔 이것저것 골라 보지만 결국 같은 스타일을 사지 않나요 우리가 쇼핑할 때 합리적으로 의식적인 상태에서 하기보다 어떤 뇌의 배타 상태에서 하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거의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 우리의 행동 중에서 무의식은 얼마나 차지할까요 무의식 있니다 의식입니다 사실은 빙산에 수면에 있는 거보다 더 적어요 더 적어요 예 뭐 질 요만큼도 안 될 거요 요만큼도 요것도 안 될 정도 예요 정도 예 95% 이상이 무의식이라고 합니다 무의식이 대부분 다 결정하죠 의식 결정하는 건 거의 없어요 우리는 상품을 보고 만져보고 냄새 맡으면서 유혹입니다 기분이 좋아지죠 그럼 바로 무의식적으로 사고 싶다는 강한 유혹을 느끼게 됩니다 우리의 말초신경 하나하나를 자극하는 오감 자극 마케팅이 전문용어로 매니지먼트라고 합니다 사람들이 빨리 반응하도록 만든다는 뜻이죠 [음악] 광고를 볼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저 모델이 정말 멋지다 날씬하다고 느끼게 되면 나도 모르게 무의식적으로 사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무의식의 세계로 되돌아가 볼까요 나도 모르게 옛날에 먹었던 과자를 집고 있고 그 물건을 사면 나도 모르게 살을 빠질 것 같고 마트에 가면 나도 모르게 좌회전하고 있고 일단 한번 먹어보면 나도 모르게 사일 되고 그래서 아 저거는 내가 필요한 거야 내가 지금 가지고 있는 물건 보는 망가졌고 새로운 거가 필요한 거야 저기에 있으면 나는 훨씬 더 일을 잘랐어 있어 여러 가지 합리화가 일어나면서 내 의식이 내 무의식이 하 하고자 하는 소비를 점차적으로 합리화를 시켜 주죠 한마디로 소비는 무의식으로 사고 의식으로 합리화하는 행동입니다 바로 이와 같이 많은 부분들이 무의식적으로 작동하는 거를 바로 겨냥한 거가 우리가 소비하게 하는 쇼핑하게 하고자 하는 그러한 마케팅 요즘 우리는 홈쇼핑이나 인터넷 sms 통신의 발달로 거의 24시간 마케팅의 자극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자꾸 보니 자꾸 사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죠 현대 사회는 소비를 부추키는 사회죠 견물생심이라 것도 나타나기 때문에 소비를 할 수밖에 없는 그런 사회적인 배경 속에 그 소비자가 놓여 있다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이제 마케터는 우리 머릿속까지 들어와 속속들이 분석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우리를 시킵니다 fur into need science and neuroscience with marketing now neuromarketing [음악] 마케팅의 꿈은 소비자의 무의식을 점령하고 조정하는 것 그 꿈의 정점이 뭔지 아십니까 바로 브랜드가 되는 것입니다 브랜드 브랜드가 어떻게 우리를 조정하는지 남녀의 만남으로 표현했습니다 먼저 마케팅은 직접 자신을 알리는 것입니다 [음악] 나는 돈이 [음악] 많아은 다른 사람을 통해 자신을 알리는 [음악] 것이죠 친구가 얘기합니다 그는 돈이 많다고 광고는 지속적으로 자신에 대해서 떠드는 것입니다 귀에 못이 [음악] 히더 그러나 브랜드는 말하지 않아도 상대방이 먼저 자신을 알아보는 것이죠 당신은 돈이 많은 것 [음악] 같아요 브랜드를 살 때면 우리 뇌에서는 아주 특별한 변화가 일어납니다 [음악] [음악] [음악] 브랜드만 보면 무조건 지름신이 내렸고 사하는 사람들 그이를 아나요는 에 세상에 내가 누구인지 어떤 사람인지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사람들이 좋아하는 브랜드가 되는 건 쉽지 않죠 브랜드는 뇌의 깊숙한 부분 즉 도라는 뇌 부위에 저장됩니다 편도는 감정을 관할 하는데 강력한 브랜드가 되려면 우리 뇌의 깊숙한 부분인 감정 영역의 자리를 잡아야 한다는 뜻이죠 바로이 편도가 반짝반짝할 때 지름신이 옵니다 편도의 자리잡은 브랜드를 보면 우리내는 자동 모드로 전환되지 그럼 무의식적으로 구매 열정을 내리게 됩니다 어 쇼핑은 사실은 감정이에요 우리가 그걸 이성적인 판단을 한다고 우리가 착각하고 있는 것이지 결국 지배하는 것은 감정이죠 사람들의 감정을 살아 잡아 가지고 물건 파는 감정 마케팅 사실은 굉장히 무서운 거죠 감정 자본주의의 공격에 우린 나약해질 수밖에 없어 [음악] 마케터들은 매일 묘안을 리하고 전략을 세웁니다 폭풍우 같은 마케팅의 공격을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감당하고 이겨내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이제 좀 더 차분하게 생각해 보겠습니다 우리가 하고 있는 소비는 어떤 비일 소비에는 살아남기 위한 생존 소비가 있고 그리고 일상 생활을 하기 위한 생활 소비가 있겠죠 근데 이러한 것들을 넘어서면서 과소비가 일어날 거고이 과소비가 지나쳐갈 때는 중독 소비가 생긴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 우리는 3단계 과소비와 4단계 중독 소비만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다시 또 궁금해집니다 나는 알맞게 지출하고 있는 것일까 우리 집은 제대로 쓰고 있는 것일까 바로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과소비 치수 월평균 수입에서 월평균 저축을 뺀 값을 다시 월평균 수입으로 나누면 됩니다 100만 원을 벌어서 다 쓰고 저축이 없다면 과소비지수 1 제정적 파탄 상태 100만 원을 벌어서 30만 원을 저축하면 과소비 지수 0.

7 과소비 [음악] 상태 40만 원을 저축하면 과소비 지수 0.

6 정 소비 50만 원 이상을 저축하면 과소비지수 0.

5 조금 지나친 근검 절약형 구두라는 뜻이죠 당신은 어디에 속하시나요 [음악] 인지 아닌지 알아보는 간단한 방법도 있습니다 물건을 살 때 바로 적용해 볼 수 있는 방법이죠네 물건을 살 때는 사람들이네 가지 유형에 의해서 물건을 구입하게 [음악] 됩니다 첫 번째는 그 물건이 없어서 [음악] [박수] 두 번째는 그 물건이 [음악] 망가져서 세 번째는 갖고 있지만 더 좋아 보여서네 번째는 그냥 이러한 물건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가 이걸 가지게 되면은 훨씬더 내가 멋있어질 거라든지 또는 조금 새로운 거기 때문에 내가 사 봐야 되겠다던 이러한 유형과 마지막 단계 그냥 비슷한 거를 또 사고 또 사고 하는 그러한 경우에는 바로 과업이라고 할 수 있겠죠 왜 우리는 자꾸 과소비를 하게 될까요 마케팅의 공격 때문에 맞습니다 소비는 무의식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맞습니다 소비는 감정이기 때문에 맞습니다 그럼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도대체 우리 안에 어떤 감정들이 우리를 자극해 자꾸 소비하게 되는지 이제부터 바로 그 감정들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런던 대학교의 펀 햄 교수에 의하면 인간이 어떤 소비를 할 때는 첫 번째가 불안할 때든지 두 번째 우울할 때 그리고 세 번째 화가 났을 때라고 얘기를 하고 있습니다처럼이 퍼지는게 너무 는 지금 홈쇼핑 채널을 보고 있습니다 기분 꿀꿀할 때는 돈 쓰는게 최고죠 그죠 와께 데이트하면 좋으실 것 같아요 예쁜 쇼 호스트가 멋진 가방을 들고 말합니다 당장 사라고 절대 하지 않을거라 하지만 당신은 좀 망설이기 해 팔릴 것 같은 마음에 안절부 이제 더 이상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실제로 이렇게 불안을 자극할 때마다 판매량은 수직 상승합니다 브라운은 매진됐습니다 어떡하나 사실 수 있으려나 모르겠다라는 생각이 드는데네 카드번호 알려 드릴게요네 그런데 알고 계십니까 다 팔리지 않았는데도 우리의 불한 감정을 극해 판매을 올리려는 마케팅입니다 아무래도이 좀 충동적으로 소비를 하게 되는게 사람의 심리이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서 많이 좀 어필할 수 있는 감성적인 멘트들을 많이 연구하는 편이에요 학원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른 애들은 다 한다니 불안해서 안시킬 수 없는 부모의 마음 바로 그런 부모의 불안함을 적극 이용하는 것이 바로 학원 마케팅입니다 [음악] 학원을 다녀야지 그나마 부모가 조금 안심이 되니까 안 보내면 예 더 불안이 있어 필요 없는 소비에 이거 알아요 엄마도 결국 교육의 과소비 사교육의 과소비는 다른 사람과 비교해 내가 못하는 건 아닐까 하는 불안한 감정에서 오는 것입니다 비를는 인 축구부 아이들입니다 한 초등학교에 다니고 1년 이상 같이 축구를 한 아이들이죠 모두 13명이 아이들에게 특별한 실험을 해봤습니다 오늘 오후에 있을 시합에는 명만 참여할 수 있는데 같이 하기 싫은 친구들을 직접 뽑으라고 했죠 아이들은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요 [음악] 아보 내가 어 자신만만 하군요 많이 적었을 것 같아요 떨어질 것 같아요 제가 그다 인기가 많은 편이 아니면서 어 이인기 많은 편이 아니야 축구도 그 잘 못해요 은근히 걱정하는 친구도 있죠 한시간 후 제작진은 투표 결과와 상관없이 친구들이 너를 제외시켰다고 거짓 결과를 말해주어 이상하어요 누 살았어요지 친구들이 날 선택했구나 그래서 앞으로 내 돌 잘못했는데고 고쳐야겠다고 생각하고 그냥 다왔어요 기분이 안 좋았죠 친구들한테 서운한가 응 그냥 빨리 그냥 안 비하 그냥 빨리 돌아갔으면 좋겠다는 생각 애써 태어난 척하지만 모두 적자니 실망한 표정입니다 [음악] 잠시 후 진실을 알려줬습니다 우리가 실수를 했다고 친구들과 같이 할 수 있게 됐다고 금방 표정이 밝아지는 [음악] 아 당 기분이 어떤지 물었습니다 저음 말로 표현할 수없어 안전 줄알 속상했다가 다시 기뻐요 아 기뻤죠 기뻤어요 좀 놀라기도 했고 많이 기뻤어요 아이들의 절절한 마음이 그대로 느껴지시죠 우리 모두 주변 사람들로부터 배척 당하는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사회적인 배척은 우리 감정에 큰 상처를 줍니다 이와 관련된 유명한 실험이 있습니다 실험 제목은 돈의 상징적인 힘 대학생들에게 5분 간을 서로를 토론을 시켰습니다 그리고 나서 다음 토론에 누구와 같이 하게 될 건지를 적게 했습니다 그들 중 일부를 무작위로 뽑아 모두가 당신과 토론하기 싫어한다고 말했습니다 다음은 그들에게 동전을 그려보라고 했죠 그 결과 저마다 동전의 크기가 다른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아무도 나하고 토론을 다음번에 하지 않으려고 한다라는 말을 들었던 사람들의 동전이 훨씬 더 크게 그려졌다는 겁니다 돈에 대한 욕구 한들이 커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이는 소비도 관련이 있습니다 사회적으로 배척을 당했을 때는이를 보완하고 싶은 욕구가 생깁니다 다른 사람에게 나는 이런 사람이다라고 드러내고 싶은 마음이 서비를 부추기게 되는 것이죠 이러한 소속의 욕구는 청소년기에 특히 더 강하게 작용합니다 그래서의 문화를 형성하고 소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죠 또래 문화를 확인하기 위해 우리는 아이들에게 사탕 실험을 했습니다 여섯 종류의 사탕이 있습니다 먼저 아이들에게 좋아하는 사탕 여섯 개를 고르라고 [음악] 했습니다 다음은 옆 친구에게 쓴 걸 보여주고 친구가 뭘 좋아하는지 알 있죠 그리고 여섯개의 사탕을 고르라고 했습니다 과연 선택이 [음악] 달라졌을까요 먼저 성환이 준성이의 경우를 보겠습니다 성이는 일차 선택시 네모 사탕과 동그라미 사탕을 위주로 렸습니다 또 준성이는 네모와 별 나무 사탕을 각각 두 개씩 올랐군요 그럼 2차 선택에서는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성이는 자신의 선택을 버리고 준성이의 선택을 그대로 따랐습니다 그건 준이도 마찬가지였죠 왜 그랬을까요이 제 마음에도 맞고 준성이 마음에도 맞는 걸 [음악] [박수] 선택하려고 서와 승현이도 자신의 선택을 친구의 선택으로 완전히 바꿨습니다 승혜가 3번 승혜가 그 맛 없대요 그냥 정서가 한번 먹어라 맛있다고 해서요 효와 윤이도 역시 마찬가지였습니다 일곱 팀 중 세팀이 친구의 선택을 그대로 랐습니다 현은 짝꿍인 상의 선택을 그대로 랐습니다 나머지 아이들도 전부 동주 현상을 [음악] 보였습니다 바로 또래 집단의 선호도가 나의 선택에 엄청난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이죠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느끼는 거가 외로움입니다이 매 외로움을 메꿔 줄 수 있는 곳이 바로 또래 집단이죠 또래가 가지고 있는 물건을 나도 가짐으로 인해서 같은 소속감을 가지게 됩니다 친구들이 한 명 두 명 사면 나도 사야 된다라는 거 그래서 대표적인 예로 그 특정 브랜드의 패딩 점퍼가 처음에는 한두 명만 입었었는데 이제는 중고등학교에 뭐 제의 교복이라고 불리울 정도로이 수가 많아졌잖아요 그리고 그런 것을 다 다른 친구들 다 하는데 안 하는 친구들을 뭐 왕따시킨다 그가 그리고 어 그런 그 패딩 점포라 이런 것을 얻기 위해서 뭐 뺏는다는 돈을 훔친다 다음은 카드입니다 소비를 부추기는 우리 안의 감정이 카드와 무슨 상관이 있냐고요 카드를 쓸 때 우리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가 바로 그 해답입니다 [음악] 내가 직접 차를 내거나 이럴 필요도 없고요 이런 소비를 과소비 하게 될 때에 생기는이 뇌의 고통 중추가 전혀 마비된 [음악] 상태에서 내 사진을 찍어보면 돈으로 낼 때보다 카드로 낼 때 우리 뇌의 고통이 훨씬 덜하다고 합니다 뇌가 착각하는 이유는 우리가 카드라는 물건을 냈다가 계산 후 다시 돌려받게 되니 손실로 여기지 않는다는 겁니다 결국 그만큼 죄책감도 덜해서 자꾸 쓰게 되는 것입니다 [음악] 이제 마지막 소비를 부추기는 또 하나의 감정은 바로 슬픔입니다 하버드 대학 의사 결정 과학 연구소에서는 감정과 의사 결정에 관한 이론을 연구하고 [음악] 있습니다 특히 제니퍼 러너 교수는 아주 재밌는 실험을 [음악] 했죠 사람들을 두 그룹으로 나눈 다음 한 그룹은 평화로운 풍경의 비디오를 다른 그룹은 슬픈 내용의 비디오를 보여 주었습니다 슬픈 감정을 느끼게 한 거죠 그 후 플라스틱 물통을 보여주고 그것을 얼마에 사겠냐고 물었습니다 평화로운 풍경을 본 사람들은 평균 2.

5 달러를 슬픈 영화를 본 사람들은 평균 10달러를 내겠다고 했 슬픈 영화를 본 사람들은 왜 배나 많은 돈을 내겠다고 [음악] 했을까요 사람들에게 당신이 슬픔을 느껴 물통을 더 비싸게 샀다고 기하자 대부분은 아주 불쾌하게 생각했다는 겁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과소비를 부추기는 내 안에 여러가지 감정들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우리는 불안이나 소감 때문에 친구 때문에가 때문에 그리고 슬픈 감정 때문에 자꾸자꾸 과소비를 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쯤되면 다시 궁금해집니다 똑같이 정 공격을 받아도 왜 누구는 과소비를 하고 누구는 안 하는 것인지 나쁜지 알면서도 자꾸 과소비를 하게 되는 내 안에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인지 먼저 아이 때로 돌아가 보겠습니다 나는 괜찮은 아이라는 긍정적인 생각 넘어져도 다시 일어나게 해주는 의지 그것은 어디서 오는 걸까요 바로 어렸을 때부터 내 안에서 형성되는 존 자존감은 자기 존재에 대한 평가를 이야기합니다 나는 가치 있는 사람이 있다라는 것과 같이 자기 존재에 대해서 가치 있게 생각하는 긍정적인 부분을 말합니다 자존감은 외모나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자존감이 높으면 외모에 대한 만족도가 높습니다 람 관 한족도 높죠 반대로 자존감이 낮으면 내자신이 별볼일 없다는 생각이 들게 되고 그러면 나를 멋지게 해주고 나의 가치를 높여줄 물건을 구하게 됩니다 if AG 14 does this lipstick turn into anybody other Than I was to out and will that Korean PO any if he sees this lipstick AS opp 청소년기는 인간의 일생중 자존감이 가장 낮은 시기입니다 청소년 자녀를 둔 집에서 흔히 일어나는 일입니다 [음악] 누구세요네 김남 씨 택배왔습니다 이렇게 우리 아이들은 자신의 부족한 자존감을 채우기 위해 물건을 사고 택배를 기다리며 멋진 자신을 꿈꾸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일순간의 [음악] 행복이죠 내 안으로 더 들어가 보겠습니다 내 안에는 현실의 나와 이상적인 나의 모습이 있습니다 현실의 나는 이상적인 나의 모습을 따라가려 하죠 하지만 사이에는 언제나 거리가 존재합니다 우기 위한 행위가 바로 소입니다 자존감이 낮을수록 현실 자보다 이상자가 높고 그만큼 차이가 크지 그래서 자존감이 낮을수록 더 큰 간격을 메우기 위해 더 많이 소비하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소비로 그 간극을 매울 수 있을까요 낮아진 자존감을 회복하기 위해서 소비를 하게 되고요 또이 소비로 인해서 잠시의 자존감은 회복이 되지만 결국은 시 낮아진 자존감 때문에 더 많은 소비를 하게 되고 결국은 낮은 자존감이 과소비를 불러온다 [음악] [음악] 반복되는 과소비는 점차 중독 소비로 갈 가능성을 충분히 갖고 있다는 것입니다 [음악] and inter we const AS 자존과 상관이 있을 텐데요 그니까 부정적인 정가 있게 되면은 어 쇼핑 중독을 할이 있어요 그래서 이게 그어 때 님하고 관 을 못받는 경우도 있고요 현재 본인이 사랑 받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 그다음에 본인의 어떤 성격적인 것 때문에 타인화 관계에서 적절한 대접을 못 받는 사람들 이런 그 어떤 애정적인 부분의 불균형 이런 경우가 제일 많은 쇼핑 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어요 h [음악] 우리들의 집으로 가봅니다 가득 채워진 옷장과 벽장 어떻게 하면 과소비나 쇼핑 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요 아니 그 전에 내가 정말 쇼핑 중독인지 아닌지부터 확실하게 체크해 볼까요 원래 250 문항이 것을 줄여 간단하게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한번 체크해 보시죠 1관 스스로 통제하지 못한다 3 쇼핑할 때 드는 돈과 시간이 점점 늘어나지만 별다른 느낌이 없다 오 쇼핑은 긴장이나 불안감을 풀어주는 취미 [음악] 생활이다 최 쇼핑을 한뒤 사용하자 물론이 집안에 가득하다 그 얼마나 쇼핑을 많이 하는지 알면 다른 사람이 기절할 정도다 5번과 6번 10번에 해당되는 당신 [음악] 기 2번 3번 4번 7번 9번에 해당되면 좀 많이 쓰시네요 1번 8번은 쇼핑 중독입니다 그러나 자세한 것은 전문가와 충분히 상담하셔야 [음악] 합니다 이제 한 여성을 만나보겠습니다 저희가 제시한 간략한 체크리스트를 통해 심각한 쇼핑 중독 상태로 판단된 한지입니다 한 카드 값이 막 500씩 나오고 지금 좀 많이 힘든 상황인 거 같아요 카드 한도가 2천만 원이 넘어요 월 그냥 쓰는 거예요 그냥 그야말로 그리고 카드 한도는 계속계속 늘어나는 거예요 500이 있던 카드 한도가 700 900 1300 1700이 계속 늘어나요 카드 되는 거죠 그냥 생각해 한 두 벌 사자 또 막 점원들이 또 막 어 이쁘다 막 이러잖아요 그럼 막 한 열 벌이 돼 버리는 거예요 그냥 진짜 지름신이란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닌 거 같아요 뭐가 와요 제 눈빛이 변해요 마음에 들잖아요 그럼 똑같은 디자인이지아요 이런 거 이런 거 다 막 사는 거야 그냥 색감 다르게 이런 것들 다 지금 안 입으 게요 뜯지도 않고 그냥 200만 짜리인데 한 번도 안든 거야 지금 여기 처박혀 있는 거야 이러고 사놓고 들지도 않아요 정말 엄청나게 샀군요 왜 이렇게 자꾸 사는 걸까요 살 때의 기분은 어떤지 왜 자고 사는지 솔직한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음악] 내가 또 또 이렇게 비즈니스를 했구나 하면서 합리화를 또 하죠 난 필요했어 그니까 이게 정말 필요에 위해서라기보다 그냥 그냥 그 카드를 긋고 그냥 그 사는 그 느낌이 약간 좋은 건 있는 거 같아요 그냥 한 번이 됐든 두 번이 됐든 의사랑이 관련된 토픽으로 좀 치해 보고 싶었어요 뭐가 문젠지 우리는 함께 정신과 전문의를 찾아갔습니다 그대 지혜는 자신이 어렸을 때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아니요 전혀 없으셨어 전 초등 사황 때 이후로 돈을 받아본 적이 한 번도 없어요 지서 어 그럼 어떻게 학교를 다녔어요 힘들게 다녔죠 걸어서 다니고 막 일곱 정보장 맨날 걸어 다니고 신발 떨어져도 안 서서 그냥 구멍고 신고 다니고 그 그 고등학교 때 이럴 등록은 이제 학교에서 좀 못사는 애들 도와주는 그런 걸로 도움받고 선생님들이 많이 챙겨줬어요 부모의 이혼 후 함께 사는 아버지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전혀 받지 못한 상황 가족으로부터 충분히 사랑받지 못했던 환경 이로 인해 형성된 낮은 자존감 바로 그것이 그녀가 쇼핑 중독에 빠진 이유였습니다 그 모든 중독이 똑같지만요 제일 중요한 거는 나는 쇼핑 중독에 무력하다는 걸 선언하는 거예요 저기 굉장히 불행이 예 굉장히 불행이고 솔직히 얘기하면 개인적인 불행이 아니라 가족의 불행위에 가족이 다 그것 때문에 그 빚을지게 되니까 가족들이 다 어 경제적으로 떨어지게 되고 가족 관이 와야 되고 예를 들어서 쇼핑 채널 하는 사람 같으면 tvl 보지 말고요 인터넷을 하는 사람 같으면 인터넷 쓰지 않고 혼자 수기 때문에 가족들한테 내 나를 내가 혼자 못 하니까 선언하고 도움 받고요 [음악] 피가 와도 우산이 있으면 덜 좋습니다 폭풍우처럼 쏟아지는 마케팅의 공격에서 나를 지키는 방법은 바로 자존감의 우산을 펴는 것 여러분들에게 묻습니다 우리는 소비하면 할수록 더 행복해 소비하면 행복해지기 때문에 소비의 양을 계속해서 늘리면 더욱더 행복해질 것인가라는 이제 질문할 수가 있는데 그건 그렇지 않다라고 일단 그렇다면 어떤 소비가 행복한 소까 우리는 서울대 심리학과 곽금주 교수팀과 공동으로 소비와 행복간의 상관 관계에 대해서 조사했습니다 먼저 초등학생 110명에게 행복 를했습니다 그중 평균 점수를 받은 아이들 12명을 뽑았습니다 여섯 명씩 두 팀으로 나누었습니다 이제 우리는 똑같은 예산으로 다른 소비를 하게 할 것입니다 두 팀에게 주어진 돈은 똑같이 한 명당 5만 원 먼저 a 팀은 5만 원으로 사고 싶은 물건을 사겠습니다 정말 좋아하는군요 무엇을 사는지 [음악] 볼까요 4,950원 아이들은 5만 원으로 사고 싶은 걸 마음껏 [음악] 샀습니다 한편 강화도로 여행을 간 B 팀은 무엇을 했을까요 같은 돈 5만 원으로 아주 다양한 체험을 했군요 이제 두 팀의 아이들에게 똑같이 물었습니다 자이 기분이 언제까지 갈 것 같으냐고 일주일 한달 많이 평생 더 기억에 남을 거 같아요 이걸 다 잃어버릴 때까지 기본 좋을 거 같은데요 오래 갈 거 같은데음 한 음 두 달쯤 갈 거 같아요 세 달 정도 죽을 때까지 반응이 비슷하군요 이제 3주후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아이들을 다시 불러 행복도와 만족도를 [음악] 측정했습니다 먼저 행복도를 비교해봐 더 강화도로 갔던 팀의 행복도가 더 높아 심리학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음악] 나왔습니다 만족도 역시 팀이 더 높게 나왔습니다 이와 같이 물질에 대해서 우리가 돈을 쓰는 소비보다는 내 삶을 풍요롭게 하는 어떤 삶의 경험에 투자하는 거가 훨씬 더 오래 기억을 가고 훨씬 더 그 행복감도 지속된다는 우리가 인생을 살면서 꼭 갖고 싶어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아마 많은 사람들이 행복이라고 할 것입니다 하지만 행복은 상당히 주관적이며 측정하기도 어렵습니다 그럼 이렇게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폴 세스는 행복은 소비를 욕망으로 나눈 것이라는 행복지수 공식을 만들었습니다 언뜻보면 소비를 무한히 늘리면 행복해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죠 그러나 소비는 유합 욕망이 가득차면 행복이 자리할 수 없습니다 [음악] 욕을 슨의 행복지수는 우리가 이제껏 소비도 행복하지 않았던 이유에 대한 놀라운를 [음악] 보여줍니다 우리는 자본주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넘치도록 쏟아져 나오는 상품에 24시간 시도 때도 없이 우리를 유혹하는 마케팅의 공격에 는너 쉽게 무너져 는 것이 자랑이라 [음악] 생각해왔습니다 하지만이 시간 우리는 소비의 모습을 통해 내 안에 감춰져 있던 여러가지 감정들과 만났습니다 드러내고 싶지 않아 화려한 물건으로 포장했던 아픈 [음악] 감정들 그러나 이제 그대로 버려 없 이제 소비가 아닌 진정한 나를 찾기 위한 새로운 노력이 필요합니다 think first cons do you are and 행복은 오게 돼 있어요 그니까 행복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나와 똑같은 다른 존재하고 관계고 즉 그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나 자체가 정말로 다른 인간한테 필요한 존재라는 것 그것만 알게 되면은 인간은 행복해질 수 있어요 [박수] [음악] 돈이 최고의 가치를 가지는 자본주의 세상 그래서 우리 모두는 부자가 되고 싶 하지만 모두 부자가 될 수는 없습니다 오히려 서이 덤다 하루 아침에 거리에 기 상입니다 [음악] [음악] [음악] could 부모님들은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 [음악] 청소년들을 즉 자식들에게 많은 것들을 지출을 하고 어 다른 아이들하고 부럽지 않게끔 해주기 위해서 많은 어떠한 투자를 하고 있다하는 겁니다 금융 예이 없으면 생존을 할 수 없다고 성전에 뭐가 되다고 얘기를하고 [음악] 있거든요 궁금하지 않으십니까 부자들은 우리랑 뭐가 다른 걸까요 특별히 돈 버는 머리가 있는 건 아닐까요 아니면은 우리가 모르는 무언가를 알고 있는 건 아닐까요 금융자본주의 세상에서 부자로 살려면 도대체 무엇을 알아야 하는 [음악] [음악] 걸까요 자 그럼 30년 전으로 돌아가 제 얘기부터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30년 전 저는 꿈의 직장 은행에 취직했습니다 처음 고객과 만나는 순간 얼마나 긴장을 했는지 지금도 잊혀지지가 [음악] 않습니다 첫 손님을 아직도 기억하고 있습니다 [음악] 고맙습니다 예 감사합니다 돈 3,000원과 통장 그때는 그랬습니다 우리들 대부분은 티끌모아 태산 저 충만이 살길이라는 생각으로 [음악] 살았습니다 안 먹고 안 쓰고 모으면 언젠가는 잘 살 날이 올 거라 이렇게 믿었죠 허기 그때는 한 푼 두 푼이자 붙는 재미가 꽤 쏠쏠했습니다 고급리 시대였으니까요 그렇게 열심히 일하고 모아서 산업을 일으키고 열심히 수출한 결과 90년대에는 세계 시장에서 우리 경제의 비중이 크게 [음악] 확대되었습니다 자 금융시장 개방에 대한 압력도 거세져서 1992년 금융 자율화 및 개방 시행 계획이 발표되고 금융시장이 급속도로 [음악] 개방됐습니다 물밀듯이 밀려 들어오는 외국 자본과 선진금융 회사들의 휘향찬란한 금융 상품을 보면서 저는 깨달았습니다 그래 저 충만이 살길이 [음악] 아니구나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통화량 오르락 내리락 하는 환율 그때마다 심하게 요동치는 주가 금융자본주의 세상은 너무도 급박하게 변화무쌍하게 돌아가고 [음악] 있었습니다 2002년 저는 20년 차 은행원이 됐습니다 솔직히 고백하건데 저도 남들처럼 잘 살고 싶은 평범한 [음악] 직장인이었고 만년 과장이라는 별명이 붙었지만 그래도 IMF 때 안 잘리고 버틴 것만도 참 다행이다 싶었죠 [음악] 운이 아주 좋은 날입니다 [음악] 15년 가까이 유지되던 금산분리의 장이 결국 풀렸습니다 금융 이렇게 은행에서 펀 보을 팔 신카드 발급까지 할 수 있 은에 정된 금융지주회사법 덕 이법은 한전인 1999년 미국에서 정된 금융서비스 법에 을받은 것니다 금융 지주 회사가 은행 외에 증권 회사 즉 투자 회사를 둘 수 있게 한 것이었습니다 등급 조정에 따른 불안감이 이미 주가에 반영됐다는 [음악] 것입니다이를 두고 세계 금융의 황제라 불리는 아제로스는 유조선의 칸 마귀가 열린 것과 같다 이렇게 말했습니다 [음악] 그래서 우리나라도 금융업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하는 명목으로 금융지주 사법을 적한 것입니다 은행들은 기다렸다는 듯이 저마다 투자 은행을 설립했습니다 그리고 고객들에게 저축보다 투자를 하라 이렇게 설득하기 시작했습니다 비은행 지회는 물론 2002년 이후로 시작된 저금리 시대도 한목 단단히 했습니다 예금이나 적금으로 받을 수 있는 이자가 물가 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하니 투자가 최고라는 말이 사람들의 귀를 솔깃하게 만든 [음악] 것이죠 후 다시 5년이 흘렀습니다 새로 나온 중국 펀드를 팔라는 명령이 떨어졌습니다 판매 수수료가 특히 많은 [음악] 상품 우리 앞집에 사시는 김영감 님이시여 [음악] [음악] 나는 그날 꽃 30년을 넘게 모은 김영감 님의 예금을 허러 중국 펀드를 사드렸습니다 요즘 제일 잘나가는 펀드라 이렇게 말씀드리면서 근데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던 중국 번들은 순식간에 건두 박질 치기 시작했습니다 할아버지는 평생 몽은 재산을 거의 다 잃었습니다 얼마 뒤에 할아버지가 자살했다는 소식이 들렸습니다 도대체 내가 무슨 짓을 한 것인지 그저 은행에서 시킨대로 한 것뿐이라고 먹고 살려니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고 변명하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이건 아니다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쩌면 부자가 되기에 우리는 너무도 순한지 모릅니다 은행에 어떤 비밀이 감춰져 있는지 너무도 모르고 있습니다 이제 어떻게하면 살뜰 모은 소중한 자산을 지킬 수 있는지 어떻게 하면은 남들처럼 돈 좀 벌었다 하는 그런 소리를들을 수 있는지 게을러서 순진해서 또 어려워서 몰랐던 비밀들을 가르쳐 드리겠습니다 자 그럼 먼저 은행의 비밀입니다 자 먼저 생각해 보십시오 우리는 은행을 이웃이라 생각합니다 행복이 있다 사람에서 [음악] 사람 참많은 대한민국 행원의 친절에 감동하며 가족같이 돌봐준다는 은행의 광고를 철석같이 믿지 2012년에도 당신의 기쁨을 하나하나 키워가겠습니다 펀드 투자자들에게 주거 금융기관을 주 [음악] 금융이라는를지 하지만 내가 기대하 은행원은 정말 나의 돈을 지켜주기 위해 항상 최선을 해줄까요 그건 은행에 대해 은행원에 대해 너무 몰라하는 말입니다 [음악] 면을는 뭔가 다른 이유가 있기 때문입니다 뭐 직원들이 추천할 이유는 딱 하나죠 본사에서 프로모션이 나온 거죠이 상품을 판매하라고 그렇기 때문에 판매하는 것이지 직원들이이 상품에 아무런 본인한테 인센티브가 없다고 하면 판매할 이유가 없지 않겠습니까 사실은 당연한 일입니다 은행은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기업입니다 그런데 어떻게 고객의 이익만을 우선으로 하겠습니까 나를 위해서 추 추천해 주는구나 생각하시기 전에 아 지금 은행이나 증권사에서 아이 상품을 많이 팔려고 하는구나 그래서 그 내가 원하는 상품인지 아닌지를 일단 판매를 아 그 판단을 해 보시고 원하는 상품일 때만 가입하시는게 자신의 돈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음악] 은행원이 다 알고 있다 이렇게 생각하는 것도 큰 오산입니다 상품 종류가 너무 많아서 사실 다 알려고 해도 알 수가 없는 것입니다 금융투자 협회 발표에 따르면 7월 12일 현재 국내 펀드 수는 만개 세계 1위 수준입니다 융 전문가들도 모르는 상품이 판매가 되고 있는데 지점에서 판매하는 직원들이 그 상품을 안다는 건 불가능하죠 금융기관의 본사에서 내려준 공문 가지고 판매하고 있다고 봐야겠죠 어 삼성전자와 국민은행에 투자하는 것으로 이렇게 설명을 하고 년 수익률은 12%이 정도로만 설명을 했는데 나중에 어 2년후 리브라더스 사태가 생기니까 이상품이 삼성전자에 투자한게 아니고 로스에 투자한거다 모든 상품은 장단점이 있게 마련입니다 그러니 그 상품의 수익성 아니라 얼마나 위험한 상품인지 대한 설명도 반드시 들어야 합니다 내가 가입한 상품에 대해서 정게 이해를 하고서 그을 경우에 완전 판매입니다 다 알고서 가입을 하는 거죠 좋은 점 나쁜 점을 이런 것들을 모르고 가입하는 경우가 이제 불완전 판매라고 보시면 될 겁니다 근데 대부분의 경우에는 안 좋은 점은 대충 넘어가고 좋은 점만 얘기를 하거든요 금 인출 사태가 확산되면서 추가로 문을 닫는 저축은행이 대표적인가 바로 저축은행 사태입니다 [음악] 저축은 그리고 결 거기에 따른 손해는 투자자 혼자 온전히 떠드는 것입니다 불법대출과 비자금 조속 문제로 은행장 아니고 정권 핵심인물들이 속 이는 2001년 상호신용 금고가 저축 은행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면서 시작된 미옥의 결합니다 하루 아침에 상호형 금고가 저축은행으로 환골 탈퇴한 [음악] 것이죠 물론 저축은행으로 표기함으로써 국민들이 제일 금융권의 은행과 착하기 쉽다는 우려가 있었습니다 법인 보호장치로 마련된 것이 간 축 뛰어서 하고 은행이라고 쓰면 안 된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솔직히 무지한 우리는 똑같은 은행인 줄 알았습니다 원래는 이제 신용 금고아 쉽게 말하면 이제 사금고 그니까 새마을 금고와 같은 작은 금융 회사에 불과한 건데 은행이란 이름을 붙여 주니까 사람들이 은행하고 혼동을 많이 일으켜서 많은 돈을 맡겨도 큰 문제가 없을 거다라고 착각을 많 했던 거 같습니다 아 게다가 이자도 많이 준다는데 누가 마다하겠습니까 [음악] 특히 문제가 됐던 것은 후순위 채권이 그럼 도대체 후순위 채권이란 [음악] 무엇일까요 저축은행이 파산했을 경우에 예금자 보호법에 의하면 예금은 최고 5천만 원까지 원금을 보장해 주게 되 [음악] 있습니다 그러나 후순위 채권은 말 그대로 후순위 즉 모든 부채를 다 갚은 다음에나 주겠다는 말입니다 [음악] 그렇다면 저축은행이 후순위 채권을 파는 이유는 [음악] 뭘까요 바로 BIS 때문입니다 BIS 은행의 자산이 얼마나 건전한지 즉 믿을만 한지를 나타내는 대적인 지입니다 리라는 b 면 감독관으로부터 개선 권고나 요구 명령을 받게 됩니다 그런데 예금을서 후순위 채권으로 돌리면 부채가 줄어들게 됩니다 그럼가 높아지 자산이 건전하다 하는 인정을 받을 수 있는 것이죠 은행의 BIS 비율을 높기 위해서 후순위채권을 발행합니다 같으면 은행측에서 보면은 어 빛이죠 그분한테 돌려 줘야 되니까 그래서 그 부채로 잡히는데 채권은 부처를 잡히지가 않습니다 항상 조 그 금융 소비자들이 아셔야 될 거는 그 높은 이자를 많이 주면 거기에 그 뒤에 숨어 있는 위험이 있다라는 거죠 결국은 우리는 너무 몰라서 너무 믿어서 너무 순진해서 실패한 겁니다 그러니 은행원의 좋다는 말에 컥 투자하지 말아야 합니다 은행원이 제대로 알고 설명하고 있는지 내게 정말 맞는 상품인지 꼼꼼하게 따져봐야 하는 것입니다 소의 모을 쓴 마크 인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은행은 맑은 날에는 우산을 빌려줬다가 피가 오면 우산을니다 [음악] 비 오는 날 우산을 뺏지 않겠다 은행장이 바뀔 때마다 의대 하는 말입니다 그러나 과연 믿을 수 [음악] 있을까요 나를 가족처럼 생각해 준다는 은행의 거짓말 이제 무조건 믿으시면 절대 안 됩니다 이제 두 번째 금색이 최고의 투자 방법이라는 펀드 그 비밀을 파헤쳐 볼까요 펀드란 다수의 사람으로부터 자금을 끌어모아서 주식이나 채권 등에 투자한 뒤에 수익을 누는 금융상품을 말합니다 은 펀드를 산 사람들의 돈이 합쳐져서 수탁 회사로 갑니다 수탁 회사는 돈을 보관하고 있습니다 그럼 자산운용사의 펀드 매니저가 투자를 결정하게 됩니다 이제 수탁회사는 가지고 있던 돈을 투자합니다 그리고 거기서 이익이 오면 자한 비율대로 주는 것 그러나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은 펀드는 저축이 아니라 투자라는 겁니다 투자라는 말은 한마디로 다 날릴 수도 있다는 뜻 펀드는 어디에 투자하는지 따라서 주식형 채권형 혼합형으로 나뉘어집니다 주식형은 고수익이 가능한만큼 위험이 큰 고위험 상품 입니다 그렇다면 수익이 높고 위험은 낮은 상품은 없는 것일까요 고수익과 저 위험은이 완전히 배치되는 개념인 거 같습니다 그래서 그런 상품이 있다고 하면 제가 먼저 투자해야 될 것 같고 제가 아는 바에는 그런 상품은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펀드를 고를 때는 자신의 목적과 투자 스타일에 맞는 것을 골라야 하는 것입니다 방금 보셨지만 내가 은행에서 펀드를 샀다고 해서 은행에서 펀드를 운용하는게 아닙니다 은행은 그저 펀드를 파는 판매자와 돈을 맡아두는 수탁자의 역할을 할 뿐이죠 실제 펀드를 운용하는 것은 자산 운영 회사에서 하는 것입니다 내 돈을 이렇게 많은 전문가들이 운영해 준다니 고마운 마음이 드시나요 하지만 알고 있지 않습니까 세상에 공짜는 없는 법입니다 자 일단 판매 회사인 은행이나 증권사는 나한테 펀드를 팔면서 수수료를 챙깁니다 팔때 받는 경우를 선취 나중에 받으면 후취 또 90일 이전에 다시 팔고 싶으면 수익금의 70% 환매 수수료로 내야 하는 것입니다 펀드 투자를 하면 내 돈을 내가 10만 원을 냈는데 펀 통장에 찍히다 보면은 9만 9천원이 찍혀 있단 말이죠 1,000원이 뭐지라고 궁금해 하시는 분들도 있고 아예 그것도 모르시는 분들이 있으세요 그러면 이제 10만 원을 넣는데 내 통장에 원금에서 9만 9천원이 찍히는 이유는 선치 수수료로 1,000원이 빠져 나갔다는 의미가 되는 거거든요 그뿐이 아닙니다 수탁 회사와 투자 운영 회사에는 매년 보수를 주어야 합니다 펀드가 잘 나가서 50% 이상의 이익을 낼 때는 그래도 괜찮습니다 거기서 1.

9분을 떼어주면 되는 것이니까요 하지만 수익을 못 냈다고 보수를 안 주는게 절대 아닙니다 미안하다 이렇게 깎아 주지도 않습니다 결국 원금에서 주어야 되는 것입니다 수수료를 뭐 100만 원 200만 원씩 이렇게에 수수료를 계산하고 하더라고요 예 그 서류를 보니까 근데 그것은 수술에 대해서는 사전에 설명 없이 일방적으로 수수료를 이제 그 계산했고 또 그 상한 길이 됐을 때에 어 그 원금과 이자를 줄 때에는 어 자네들이 일방적으로 그 회사 자체에 이익금을 먼저 다 챙기고 어 이익이 없으면은 그 고객의 그 원금에서 일방적으로 삭감한다 하는 것을 제가 나중에 알았습니다 보통 판매 보수가 1% 높을수록 투자자의 수익률은 0.

31% 낮아진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1% 뭐 그리 대단하냐 이렇게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매월 40만 원씩 투자한다고 했을 때 99% 투자비용과 딱 1% 차이나는 10% 투자 비용을 계산해 보면 이렇게 큰 차이가납니다 그러니 수수료는 0.

1% 바뀌어야 되는 것입니다 [음악]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수수료와 보수는 그저 보이는 비용일 뿐이고 보이지 않는 비용이 또 있습니다 주식을 한번 사할 때마다 증권사에내는 수수료가 있습니다 펀드를 운영하는 펀드 매니저들이 사할 때마다 나는 모르지만 거 숨어 있는 그 비용들이 계속 발생을 하거든요 바로 주식 매매 수술 주식을 매할 때마다 지불해야 되는 비용입니다 그런데 거래가 마 번 환제를 말할 때는 매매 회전율이라는 말을 씁니다 매매 회전율이란 고객의 돈으로 주식을 샀다가 다시 돈으로 판매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한 바퀴 도는 것을 회전율 100% 아고 합니다 자산운영 회사가 우리가 모아준 100억 펀드로 주식을 다 샀다가 그대로 다 팔면 매매 회전율은 100% 미국은 평균 100% 그럼 두바퀴를 돌리면 200% 뭐 미국에서는이 정도만 돼도 깜짝 놀란다고 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경우 대형 펀드 중 1400% 10000% 것이 허다합니다 심지어 600% 것도 있었습니다 [음악] 매매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는데 이렇게 회전율 높으니 크게 수수료 또한 만만치 않습니다 그러니까 펀드를 살 때는 꼭 매매 회전율을 확인해야 되는 [음악] 것입니다 주식이나 채권을 사고할 때 비용 거래 비용이 발생을 하는데 많이 회전율이 높다라는 건 많이 사고 팔았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모르고 있지만 지불해야 되는 비용들은 많아진다는 거거든요 자 그럼 이쯤해서 궁금해집니다 도대체 어떤 펀드를 골라야 할까요 우리의 목표는 손실은 최소로 줄이고 이익은 최대로 키우는 것 종류도 많고 이름도 하도 길고 복잡해서 모르겠다고요 다행히 펀드의 이름은 일정한 형식이 있습니다 자 그럼 어떻게 읽어야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제일 앞에는 자산 운용사가 나오고 그다음은 투자 전략이 나옵니다 다음은 주로 어디에 투자하는지 쓰여지고 그다음엔 시리즈 번호를 씁니다 4라고 쓰면 네번째 시리즈 1이라고 쓰면 첫 번째 시리즈를 뜻합니다 시리즈 번호가 높다는 것은 나름 잘 나가는 펀드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수수료 체계를 하는는 선취 B 후는 둘 다 없는 경우입니다 정말 길고 복잡하죠 그래도 펀드에 가입할 땐 먼저 이름을 보십시오 어디에 운용하고 무엇에 투자되고 또 수수료는 어떻게내는 것인지 다 확인해 봐야 합니다 주의해 할 것은 또 있습니다 바로 수인인데 펀드 가입할 때 판매자가 제시하는 수익률은 다 과거에 데이터입니다 앞으로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지금 제일 잘 나가는 펀드라는 건 이미 꼭대기에 와 있다는 것 그러므로 수익률만 보고 판단하는 건 위험한 일입니다 고수익 상품은 고위험 상품임을 잊지 마셔야 합니다 또 수익률이 좋다고이 펀드 저 펀드 펀드에 투자해서 안 됩니다 자산을 부동산 예금 펀드 등 각각의 특성을 고려해서 분산해서 투자해야 합니다 내가 그 수익을 좀 추구하는 스타일인지 아니면 수익은 좀 낫더라도 안정적인 그 그 수익을 기대하는 성향인지 파악을 하신 다음에 성격이 전혀 다른 상태 들 즉 펀드 예금 채권 뭐 이런 식으로 이제 부동산 전혀 다른 상품들을 그 잘 섞는게 진정한 의미의 분산 투자라고 생각을 합니다 다음은 보험입니다 보험이란 위험 관리를 위한 비용입니다이는 저축이나 펀드와 같은 재테크 수단 이 결코 아니라는 뜻이죠 한참 인기 있었던 변핵 보험의 경우에 한 달에 20만 원의 보험료을 내면 그중 위험 보험료을 떼고 사업비 수수료 등의 부가 보험료를 뗀 다음에 나머지를 88에서 95% 저축 보험료로 따로 떼서 펀드에 투자하는 것 그리고 수익이 나면 그것을 연금 형태로 돌려주는 보험입니다 근데 지난 4월 K 컨슈머 리포트는 우리나라 변핵 연금 상품 60개를 비교한 결과 대부분의 상품의 실효 수익률이 지난 10년 동안의 물가 상승률 3.

19% 미치지 못한다 이렇게 발표했습니다 그 후에 변핵 연금보험의 가입률이 뚝 떨어졌다는데 보험을 갖다가 저축 저축이란 생각을 하시면서 보장성 보험에 가입을 하게 되면 굉장히 금전적으로 손실도 많이 가고 또 내가 원하는 저축 효과도 별로 없습니다 한마디로 보험은 펀드 같은 투자 상품이 아니라는 겁니다 그러니까 차라리 보험금이 낮은 보장성 보험에 가입하고 나머지 돈은 투자로 불리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이다 이렇게 말씀 [박수] 보험에 가입할 때 또한가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바로 수수료와 사업입니다 변핵 보험의 경우 평균 10% 정도입니다 행복은 족 그런데 그중 상당한 비용이 대형 보험 대리점에 집기를 사주는 비용이나 과다한 광고비 등으로 낭비 그 좋은 상품이 있어라고 가입을 하는데 실질적으로는 그 굉장히 그 그 치명적인 비용에 대한 얘기는 안 하고 넘어간다는 거죠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은 좋은 보험을 고를 수 있을까요 목표는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보장을 받는 [음악] 것 물론 나의 모든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완벽한 상품은 없습니다 그러니 먼저 내 목적에 맞는 상품인지 아닌지 꼼꼼히 따져야 합니다 보험은 크게 정액 보장 성품과 실선 보장 성품이 있습니다 정액 보장 성품은 중복 보상이 되고 실선 보장 성품은 비 보상이 되는 것입니다 무슨 말인지 모르시겠죠 깊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정액 보장 상품으로 1억짜리 암보험을 세개든 뒤에 암에 걸렸다면 중복 보상이 되기 때문에 각각 1억씩 3억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손 보장 상품은 말 그대로 실제 일어난 손실에 비례해서 보상해 주는 상품 보험을 세에 들어서도 손을 나누어서 취급하기 때문에 내가 받을 수 있는 돈은 딱 1억 분입니다 자 그러니까 간단합니다 생명보험 회사에서 들든 손해 보험 회사에서 들든 아무 상관없습니다 일단 정액 보장 상품인지 실선 보장 상품인지 확인해 보십시오 그리고 실선 보장 상품은 중복 보장이 안 되니까 하나만 들면 됩니다 여러분 같은 분들도 건강 검진이나 심도 따지지도 않는다는 품은 심 100원짜리 하나는 말도 흔 오늘 엄마에게 명품 부모님 보험을 선물해 또 광고와 약관의 보장 내용이 크게 다른 것도 많기 때문에 정말 주의해야 합니다 보험 상품의 경우에는 판매할 때는 뭐 조금만 문제가 있으면 보험금 지급할 것처럼 그렇게 판매하지만 실제 보험사고 발생을 하면 굉장히 복잡한 약간을 들고 와서 여기 때문에 안 된다 이것 때문에 안 된다 이렇게 해서 거부하는 것이 문제입니다 그러니 보험에 가입할 때는 꼭 약관을 확인해야 하는 것입니다 자 이제 마지막 파생 상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파생 상품이란 과연 무엇일까요 이건 사과입니다 그런데이 사과로 새로운 물건을 만들어내 그게 바로 파생 상품인 것입니다 파생 상품의 종류는 선도 계약 선물 옵션 수압이 있습니다 하도 어려워서 다 설명할 수도 설명해도 알아들을 수도 없습니다 그래서 우선 가장 쉬운 선물만 설명해 보겠습니다 농구가 사과 농사를 짓는데 사실 농부도 농사가 잘될지 어떨지 잘 모릅니다 그런데 한 업자가 개당 100원을 보장해 준다 이렇게 제안합니다 100원이 넘으면 농부가 손해를 보고 100원이 안 되면 업자가 손해를 보죠 예측할 수 없는 행운을 기대한다는 면에서는 도박이랑 [음악] 비슷합니다 파생상품은 실제로 지난 2008년에 발생한 미국금융위기 주범으로 꼽히고 있는 것입니다 어떻게든 일일까요 대출자는 주택을 담보로 해서 대출해준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에 돈을 받을 관리를 증권으로 만들어서 투자은행에 팔았습니다 투자은행은 모기지론 파생된 성품 심어 모기지론을지 못했을 때를 한품 전세계 팔았습니다 그러나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고 빚을 갚지 못하는 사람들이 늘자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부실해지고 말았습니다 파생 상품에 원재료가 부실해졌다 일 살아남기 위해 이른바 적과의 침도 마다하지 않고이를 직접 판매하고 투자하는 베어스턴스 리먼 브러더스가 손실을 감당하지 못하고 은 만 아니라이 부실 파생상품과 연된 또다른 파생 상품들이 전세계 투자자들에게 려나 상황 전세계 금융시장이 동시에 마비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된 이러한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작년 리라 [음악] 파생상품거래 27% 차지하면서 3년 연속 세계 1위를 달리고 [음악] 있습니다 파생 상품은 썩은 사과를 성한 사과와 석하는 것과 똑같습니다 그러니 일학 천구의 망상은 지금 당장 버려야 합니다 자 어떻습니까 왜 이제건 몰랐나 싶으시죠 금쪽 같은 내돈을 어떻게 그렇게 아무 생각 없이 맡겼나 후회도 되실 겁니다 그런데 들을수록 머리는 더 아파지고 돈벌 자신이 더 없어진다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이쯤 되면은 정말 돈 잘 버는 사람들은 특별한 재주가 있는 건 아닐까하는 생 겁니다 잘는 한 있는 [음악] 일요 있습니다 fq 바로 금융 지능입니다 처음 듣는 말이죠 금융 지능이란 도대체 [음악] 뭘까요 우리는 금융 지능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해온 한국 개발 연구원의 천규승 박사님을 만났습니다 [음악] 금융 생활을 어 좀 더 어 효율적으로 어 또 합리적으로 이루어서 어 좀 더 나은 풍요로운 세상을 살기 위해서 필요한 개개인에게 필요한 어떤 자질 즉 금융 지능이란 금융에 대한 이해력을 말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성인의 금융 이해력 지수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 해서 초등학생의 금융 이해력 지수를 측정해보기 했습니다 그 사람의 금융 경향은 그대로 이제 굳어지게 되거든요 그래서 이제 그 우리 국민 전체의 어떤 금융 복지를 위해서음 어떤 방향으로 어이 금융 교육을 이끌어 나가야 될지 이런 건 이런 걸 이제 이해하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금융 이해력 데스가 굉장히 필요했던 거죠 조사는 전국 초등학교 고학년 656명 대상으로 실시도 했습니다 [음악] 그 결과 영역별로 보면은 관리와 호 영역의 점수가 제일 높게 나왔고 신용과 부채관리 영역의 점수가 제일 낮게 나왔습니다 신용관리가 중요하다는 건 알고 있어요 근데 실질적으로 신용카드를 어떻게 써야 되는지 뭐 빚은 어떻게 갚아야 되는지 여기에 대해지 [음악] 했습니다 금능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용돈을 정기적으로 주고 그리고 용돈 관리를 하는 아이들은 이해도가 굉장히 높습니다 그 이제 돈에 대해서 스스로 접촉하게 되니까 그 돈에 대한 관리 능력도 생기게 되고 부모님과 돈 쓰에 대해서 대화하는 횟수와 금융 지능의 차이를 분석한과는 의외로가 한달 2회 정 화한다는 학생들의 점수가 모든 영역에서 높았습니다 오히려 자주 대화한다는 경우가 더 낮은 점수를 받은 것은 가정에서의 돈쓰기 교육이 잔소리에 치고 있다는 뜻입니다 부모들 교육이 안 되 있기 때문에 가정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거죠 부모들이 우리 아이들한테 뭘 교육해야 되는지 어떤 이야기를 하면 안되는지의 부모님들은 아들에게 기는을 피하게 여기셨습니다 없어도 없는 척 안 하고 있어도 있는 척 안 하셨죠 그렇다면 우리는 어떨까요 우리의 아이들에게 제대로 교육하고 있는 걸까요 우리는 과연 우리의 자녀들이 가정의 경제적인 상황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아 그래서 서울대학교 심학과 곽금주 교수팀과 함께 부모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경제 인식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먼저 가정의 총소득을 물어보는 질문에서는 각 항목마다 청소년과 부모의 비율이 눈에 띄는 차이를 보였습니다 실제 부모가 얘기한 소득과 청소년들이 우리 가게에 대한 소득을 보면은 청소년들이 훨씬 더 높게 인식을 하고 있었다 하는 겁니다 그만큼 청소년들은 실은 우리 가정이 풍부하다고 생각을 가지고 있는 거죠 한마디로 가정형편을 잘 모른다는 뜻이 되겠습니다 10단계 사다리로 현재 가족의 사회적 위치를 물어본 질문에서도 역시 자녀가 부모보다 자신의 위치를 높게 평가하고 [음악] 있었습니다 가정의 성활 수준을 주변과 비교했을 때도 결과는 마찬가지였습니다 자녀가 부모보다 훨씬 풍족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음악] 부모님들은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 청소년들을 즉 자식들에게 많은 것들을 지출을 하고 어 다른 아이들하고 부럽지 않게끔 해주기 위해서 많은 어떠한 투자를 하고 있다는 겁니다 옛날 부모님이 소 팔고 논밭을 팔아서 우리를 [음악] 지원 상을 묻는 질문입니다 자녀들은 내가 어느 정도 투자를 받고 있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고요 그리고 앞으로도 이렇게 해 줄 거다라는 생각을 더 가지고 있다라는 [음악] 거죠 이러한 막연한 기대감은 청소년의 돈에 대한 자립심을 떨어뜨려서 결국 나이가 들어도 계속 부모에게 금전적으로 독립하지 못하는 상황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제 아이들 기 죽일까 봐 숨길 일이 아닙니다 제대로 알려주는 것이 바로 금융 교육의 첫걸음이 [음악] 되겠습니다이 프레임 자체가 바뀌었다는 걸 인정을 하고 OECD 그래도 금융 이해력이란게 더 이상 상식이 아니라 그냥 뭐 알면 좋고 몰라도 그만인 그런 상식이 아니라 금융 예약이 없으면 생존을 할 수 없다고 생존의 도구가 돼 있다고 얘기를 하고 있거든요 그니까 돈에 대해서 그 터부시 하지 말고 돈 밝히면 안 돼 공부 공부만 해야 되고 너는 돈에 대해서 나중에 알아도 돼라고 하시지 마시고 그 돈이라는 거는 나쁜게 아니고 행복하게 살기 위한 수단이라는 거 그렇기 위해서 금융을 알아야 되고 개인이나 가게 금융 의사 결정은 개개인이 지닌 금융 이해력에 의해 좌우되는 [음악] 것입니다이는 청소년기의 학교와 가정 사회에서 이루어지는 금융교육의 깊에 비례하게 되 있습니다 이제 금융에 관한 지식과 활용 능력이 빈부 격자의 차이를 가져오게 될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그러므로 금융 이해력은 우리가 갖춰야 할 필수 능력입니다 선진국이라 불리는 미국의 금융 교육은 어떨까요 지난 2002년 미국은 금융 교육을 활성화시킨다는 연방정부의 정책에 따라서 재무부에 금융 교육국을 새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국민을 위한 금융 교육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음악] 시작했습니다 또 각계 젊은들이 모여서 만든 점프스타트 소비자금융 교을 이해서 금융교육 체계를 잡았습니다 자 그러면은 미국의 금융 교육은 우리와 어떻게 다를까요 머니 세이버는 카고 재무부에서 말하는 금융교육 프로그램으로마다 학교를 선정해서 특별 활동으로 하는 금융 수업입니다 시카고에 위치한 웨스트리지 초등학교는 지난해 금융교육 니 세이브를 실시한 학교입니다 저 충만이 아닌 소비하고 기부하고 투자하는 방법과 습관을 어렸을 때부터 교육시킨다 거 저 충만을 강조했던 이제까지의 우리의 교육과는 많이 다른 접근법입니다 think schuss as I said are know and So we do to but we 학교와 집이 함께하는 교육 그리고 변화된 금융 시장에 적응할 수 있도록 새롭게 개발된 학습 과정이 상당히 [음악] 인상적입니다 다행히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새롭게 변화된 금융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교육을 목표로 해서 초중고 금융 교육 표준안을 마련했습니다 그리고 현재 그 내용을 반영한 교과서가 개발 보급되고 있습니다 이제 더 실이고 계적인 교육이 해지는 것입니다 그러나 과연 학교에서만 배운다고까요 이미 학교를 졸업한 우리는 또 어떻게 할까요 세계적인 경제학자인 라구람 라자는 성인미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think need reation think think 실제 투자할 나이가 되면은 재교육이 필요하다는 말입니다 또한 투자의 위험성에 대한 교육도 강조합니다 unfor in financial FR people think There are very easy ways of making money because they hear it from the hairdresser they hear from the store keeper you know just put some money in this and you double your money That's when you have to start being very scared You Went into a factory without knowing what not to touch you soon be without fingers without without arms so you have to Be careful 자 그러나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금융시장과 매일 쏟아져 나오는 상품들을 분석하는 것은 만만치 않은 일입니다 또 그랬다 하더라도 투자에는 언제나 위험이 도사리고 있습니다 자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나의 수입과 지출을 고려해서 내 인생 전반에 걸친 맞춤형 상담을 해주고 금융상품의 장점을 분석해서 심해 전문가가 있으면 좋지 [음악] 않을까요 물론 우리나라도 금융 자문을 하는 사람들은 많이 있습니다 보험 상품 판매원이나 은행에 소속된 금융 자들이죠 그런데 정말 그들이 나를 위한 조언을 해 줄 수 있을까요 여러 가지 그 금융상품 추천에 있어서 본인들이 고객의 최선의 이익을 위 한다기보다는 아무래도 판매 보수가 높은 그런 쪽에 어떤 자문이 이루어지는 그러한 불공정 거래의 우려가 굉장히 큽니다 그래서 금융 회사에 소속되지 않은 독립적인 상담사가 필요합니다 바로 독립 재무 상담사 [음악] 말입니다 현재 미국과 영국에서는 이미 독립재무상담사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고합니다 [음악] in relation to me ifas um are salesmen but they're also meant to be advisers so they're meant to be in a client relationship with the expert um you could argue that they're similar in a way to lawyers advis will have to be paid by fee they can longer be pa by commission 바로이 점이 다른 점인데요 수수료가 아니고 자문료를 받는 것은 상담가들이 금융 회사로부터 독립적이 되기 위한 기본 요건입니다 물론 전문성을 입할 수 있는 자격증 제도와 상담가들이 자신의 의무를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규제 장치가 꼭 필요한 것입니다 few number providers again the custer canice 물론 우리가 금융교육을 통해 알고 있는 지식들은 독립 재정 상담사를 고르고 또 그가 자신의 일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해줄 것입니다 금융자본주의 세상에서 이제 우리는 투자자가 아니라 소비자라고 불립니다 금도 일반 상품처럼 국민 대다수가 이용하는 상품이 됐다 하는 얘기죠 지금은 일반인들이 가까운 금융기관 지점에 가서 언제든지 금융상품을 구할 수 있는 이런 분들을 그대로 그냥 투자자 개념으로 두면 이분들 보호할 수가 없기 때문에 그 금융 소비자라는 개념을 사용을 해서 보호할 대상으로 보아야 한다 정부는 지난 7월에 금융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 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습니다이 법률은 모든 금융상품 판매에 관해서 6대 판매행위 제원과 금융을 한다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금융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서 금융상품 자문업게 독립성 요건 일정 부분 부과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자문업은 보험 은행 증권 등이 각각 개별적으로 규제되는 이제이를 금융상품 자문업 통합하겠다는 것이 요지입니다 그 미흡한 점은 시장 전체에 있어서 가장 좋은 금융투자 상품 내지는 금융 상품을 고객에게 추천할 의무가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아직까지 그 정도 수준에 그 선관 의무를 자문 업자에게 부여하고 있지 않습니다 쉴틈없이 변화하는 금융 시스템과 매일같이 홍수처럼 쏟아져 나오는 금융 상품 속에서 소비자로서 제대로 보호기는 아직 먼 이야기라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우리는 아직도 너무 으고 순진하고 무니다 지난 1년 동안 금융범죄 사만 모아도 온 벽을 가득 매울 정도입니다 물론 그 피는 고스란히 우리가 짊어지고 있죠 그런데 몰랐다는 이유만으로 그저 내 타시오 하는게 잘하는 짓일까요 우리가 아파서 의사를 찾아가면 의사는 우리에게 우리의 병과 치료 방법을 설명해 줘야 합니다 그것은 의사로서의 의무입니다 fin people fundal and focused exclusively on making money by any means possible the hra Which doctors take very have financial Counter and the fact 그러므로 당당히 요구하셔도 됩니다 제대로 설명해 달라고 모르겠으니 다시 설명해 달라고이 상품이 얼마나 위험한 상품인지 확실하게 말해 [음악] 달라 불량 식품만 사람을 죽이는게 결코 아닙니다 금융상품은 은 온 가족의 삶을 파괴하는 가정 파괴범이자 사회악입니다 음식을 먹을 때 불량 식품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먹는 것처럼 무자비한 금융 시스템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우리 스스로 자신을 지켜야 합니다 [음악] [음악] [음악] 2008년 시작된 미국발 금융위기는 금 진정될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우리는 위기의 상에 있습니다 [음악] 자본주의는 지난 250여년 동안 끊임없이 위기의 파도를 [음악] 넘어왔습니다 그리고 다행히 그때마다 경제학의 새러운 아이디어는 위기의 파도를 헤쳐나갈 나침반이 돼주었습니다 그럼 어떻게 하면이 위기를 벗어날 수 있을까요 이번에도 새로운 아이디어가 과연 나올까요 우리는 위기의 순간에 나타나 세상을 구한 위대한 경제학자들을 만나보려고 합니다 아시아의 한 작은 나라에 사는 우리가 유럽과 미국의 경제학자들을 알아야 하는 것은 아 스미스의 론에 묘사된 것과 질적으로 같은 경제 제도에서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는 그의를대이 있었을까요 can't paint him AS being inor of the rich or whatever if he was anything He was in of of the [음악] poorest and that is actually why he believed in in Open markets mar War no doubt and I think everyone would accept this even his opponents very very [음악] bril i mean he he certainly believed That capitalism was the best [음악] system I think he would actually resist the claim that We're living in a kind of liberal capitalist order Which many of his critics make [음악] 자 그렇다면 어쩌면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세상을 구할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요 It's [음악] surpris 그저 경제의 자주 아버지는 아담 [음악] 스미스부대 글래스고 대학 스코틀랜드에서 가장 먼저 세워진 자유롭고 진실적인 분위기의이 대학에 한 유명한 도덕 철학 교수가 있었습니다 [음악] 이상한 걸음거리 말로도 유명했지만 그의 강의는 학생들에게 아주 인기가 있었죠 man [음악] 그시기 스미스는 사람들의 본성과 행동을 꾸준히 연구했습니다 그리고 그 생각들을 모아서 도독 감정론이라는 책을 [음악] 냈죠 그의 책은 아주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인간은 이기적인 존재 그런데 어떻게 인간이 이기심을 누르고 도덕적인 판단을 할 수 있을까 그리고 그것이 가능한 것은 마음속에 우리의 행동을 지켜보고 있는 공명정대한 관찰자가 있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그 관자가 이기심을 잘 조절해서 도덕적으로 행하게 해준다는 거죠 이러한 주장은 폭넓은 관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그는 순식간에 유명인이 됐고 그 유명세 덕분에 아주 특별한 행운이 [음악] 찾아왔습니다 찰스 타운센드 공작이 그의 양아들 헨리 스커트의 대륙 여행에 동행하며 정교사를 맡아달라고 한 것입니다 당시 귀족에서 유행하던 자녀 교육 방법 중 하나였죠 스미스는 수락했습니다 여행은 3년 동안 계속됐습니다 그는 리 루즈 바을 다니면서 당시에 쟁한 사상가들과 만났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스미스에게 많은 영감을 주었습니다 18세기는 변화의 시대였습니다 적가 무너지고 근데 자본주의가 막 시작되는 시기였죠 [음악] 생산품이 폭으로 늘어났습니다 그러자 물건을 팔 수 있는 더 넓은 시장이 필요해졌고 자유무역이 [음악] 활발해졌습니다 그 시기에는 국가의 부를 금과 은의 축적으로 보는 중상주의 사상이 지배하고 있었죠 그러던 중 스미스는 프랑스에서 만난 네로부터 아주적인 아이디어를 얻게됩니다 네는 원래 루 15세 [음악] 치었습니다를 경험을 탕으로 해서 사회를 하나의 육체로습니다 그리고 사회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조권에 대해 연구했죠 그는 깨달았습니다 사람이 식량을 먹어야 살 수 있듯이 사회도 마찬가지라는 거죠 인간이 노동을 해서 식량과 원료를 얻고 상품을 유통시켜 사회가 성장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사회는 세 계급으로 구성되 있고는 급사를면서 생산을 공급한다는 것이죠 마치처럼 또한 그는 지만이 부 원천이라는 주의를 주장했습니다 이한의 사상은 스미스에게 큰 영감을 주었습니다 국부 즉 국가의 부는 상주에서 주장하듯 금과은 축적이 아라는 것죠 스미스는 부를 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기로 결심했습니다 그리고 3년간에 긴 여행을 마치고 홀의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사촌 자과 그의 어머니는 그가 평생을 의지한 사람들이었습니다 스미스는 그들 덕분에 연구와 집필에만 열중할 수 [음악] 있었죠 집에 돌아온 스미스는 여행에서 얻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국부론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이전에 글래스고 대학에 있을 때 직접 본 것들도 소중한 자료가 되죠 flish eic 크고 작은 공장에서 부가 매일 생되는 것을 보면서 자유시장의 위력을 느낄 수 있었던 것이죠 아 그는 국부론 지필 완전히 빠져들었습니다 그래서 가끔 아주 황당한 일이 벌어지기도 했죠 [음악] [음악] about phy and he put and Butter into the inad of where again He was thinking He was Writing the wealth of nations He was thinking about some subject set off on a walk to think about this anded when he heard the church Bell walkes to the next 과 자주 [웃음] 만났습니다 but me i'm not getting any older either and David when Not at the mercy the Baker the butcher the bru wife Sympathy gave US bread wine meat egoism of each yes i do remember you showing me that in a book One Time Yes and I do believe egoism and economy fun together the invisible hand empty your pocket talking about the division of labor The Value of labor and the way for Nation to become wealthy It is just like you to say these ridiculous things like lies that I am sick contrib of 많은 사람들과 귀지는 않지만 당대를 대표하는 학자들과 지속적인 을가 [음악] 그들은 매주 저녁을 함께 하면서 많은 얘기를 나누었죠 [음악] [음악] 그리고 1776년 3월 드디어 성일의 가장 중요한 책이라려는 국론이 탄생되었습니다 아덤 스미스가 국부론을 통해 밝히고자 했던 것은 바로 국부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이었습니다 그는 어디서든 노동이 이루어지면 부가 생산 줄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국부를 모든 국민이 해마다 소비하는 생활 필수품과 편의품 양이라고 새롭게 정의했습니다 그렇다면 무엇이 국부를 만들어 낼까요 의 주의는 오직 농원이 부를 만들어낸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스미스는 노동이라고 말했습니다 모든 가치는 노동에 의해 긴다는 것이죠 그는 국론을 통해 당시 세상을 지배하고 있던 중상주의의 사상을 정면으로 [음악] 반했습니다 또치 교환 가치는 그것을 생산하 들어간 노동으로 정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그 유명한 보이지 않는 손은 무슨 뜻일까요 스미스는 우리가 빵을 먹을 수 있는 것은 빵집 주인의 자비심 때문이 아니라 돈을 벌고 싶은 이기심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결국 가격을 결정하는 보이지 않는 손이 있어서 시장 경제를 잘 돌아가게 한다는 것이죠 즉 자유로운 시장만이 개인과 국가를 부자로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주장했습니다 보이지 않는 손은 국부론에서 딱 한번밖에 나오지 않습니다 하지만 스미스는이 한 문장으로 그가 꿈꾸는 완전한 자유시장 체제라는 이상적인 세상을 [음악] 설명했습니다는 6개월만에 천부가 모려 는 라이죠 스미스는 당대 최고의 상가라는 명예를 얻었습니다 하지만 놀라운 것은 그뿐이 아닙니다 국론의 첫장은 우리가 현대 경제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여러 개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ITC 초로 자유시장 체제를 성한 기본입니다 지금도 자본주의가 작동하는 기본 원리를 가장 정확하게 설명하고 있는 명인 것입니다 하지만 국론이 출된 후 정부의 개입이나를 못마땅하게 생하는 사람들은 아 스미스를 도없이 습니다 그리고 그로 인해 스미스의 사상은 많은 오해를 받게됩니다 think know that believed free trade that governs [음악] that and 자유로운 개인의 이익 추구 스미스에 대해 가장 오해를 많이는 부분이 바로이 구절입니다지만 그는 인의 경제적 이기심은 사회 도덕적 한계 내에서만 허용된다고 말했습니다 즉 아 스미스는 인간의 끝없는 이기심을 허용한습니다이는 그 이쓴 의장과 정확히 일치하는 [음악] 것입니다 moral beings economy is mor frame the wealth of Nation takes place framework SM believes ispr for deciding How people to behave you theal of Nation without reading other because in in the Theory moral sentiments reappears in the wealth of nations in his attitude to the PO sympathetic adam Smith believed that the best way to help ordinary working people was to have a fre maret [음악] 이기적입니다 하지만 아 스미스는 우리의 마음속에는 서로에 대한 존중과 배려가 있다고 그래서 이기적인 행동도 공공의 이익으로 전할 수 있을 거라고 믿었던 것입니다 1790년 7월 17일 그에게 마지막 순간이 다가왔습니다 [음악] 그는 완벽하지 않은 원고를 세상에 남기고 싶어하지 않았습니다 [음악] [음악] 우리는 아담 스미스를 자본주의의 아버지라 부릅니다 하지만 그는 자본주의라는 표현을 단 한번도 쓰지 [음악] 않았습니다 그대신 인간의 덕적 범위에서 자유로운 시장 체제라는 이상을 떠올렸죠 만약 그가 살아 있다면 지금의 불평과 위기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요 [음악] 론의 원는 션이 아니라 복수입니다 즉 특정 국가나 국민이 아니라러 국가와 국민이 함께 잘는 것을 연구한 책이라는죠 그므 그가 꿈꿨던 세상 1% % [음악] 는 상이었습니다 아덤 스미스의 자유로운 시장 체제는 19세기를 거치며 차 자본주의의 모습을 갖추 왔습니다지만 자본가에 의해 희생된 노동자들의 고통은 점점 더 커져 [음악] 만죠 처럼 인간에 대해 깊은 애정을 가진 한 위대한 경제학자를 탄생시킵니다 독일의 철학자 칼 마르크스 2008년 영국의 BBC 지난 년 가장 위대한 철학자를 뽑는 설문을 했습니다 그 결과 1위는 바로 칼마르크스 물론 어떤 분은 이해가 안가실 수도 있을 겁니다 라스를 이야기하면 그의 혁명적인 투쟁이나 공산주의를 생각하게 되니까요지만 그는 최초로 왜 가난한 사람은 항상 가난할까 자본주의는 정말 이상적인 일까라는 새로운 의을 던 학자였습니다 그리고 산업혁명으로 인해 기계 부품처럼 버린 노자의을 고주가 어떻게을 밝혀내고 [음악] 싶어했습니다 사실 청년시절 마라는 해결의 변증법에 푹 빠져 있었습니다 세상의 모든 것 인간도 자연도 사회도 그 어떤 것도 고정 불변이 아니라 정반합의 법칙으로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철학이 하지만 이렇게 세상을 변화 발전시키는 주체가 세계 밖에 존재하는 절대 정신이라는 회개를 주장에는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포여 바하가 주장한 물질이 세계를 구성하고 지배하며 이끌어간다는 유물론을 받아들였죠 그리고 마침내 해의 변증법에 바흐의 유물론을 더해서 유물론적 변증법이라는 세상을 바라보는 자신만의 관점과 철학을 갖게 됐습니다 과연 그는 자신이 던진 의문을 어떻게 풀어 [음악] 나갔을까요 에터 very busy right now Don't you remember How much farmers suffer last we collect data 1843년에 마스는 급진적 반정부 신문인 라인 신문의 편집장이었습니다 그러나 shut up and It seemed that Marx did want to have a Career as a University professor but this wasn't possible for someone who was an atheist and a radical so he then turned to journalism to earn his living as a journalist And this is when he got interested in radical politics because as a journalist he had to study the conditions of the real world Which he found very shocking in some cases I decided something those Bird headed prussian censors how dare they supress our newspaper Anyway This is for those sensing out every line of our newspaper tomorrow the last line covered in our blood It will not be touched but It will be published moving parity [음악] 그리고 거기서 그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를 만나게 되죠 바로 하나는 공산주의 다른 하나는 앵스 Thank you I'm mar the 8000 PR to escape to paris for freed ang thought mar was most brilliant thinker so ang was really a patron of socialism patron of communism he wanted mar to way him and Vol ENG R his cotton in Manchester and s mar lot of money in Manchester t factor even this small has to work and hours [음악] [음악] 람은 많을 완전히 일치한다는 것을 느꼈습니다은 평생의 동지가 됐습니다 Once said that mar was by far the greater thinker than ang but If you had to go out with one of them for aning be much better compan mar and mar was very self-centered very full of his own ideas not very interested in other people opinions from say They were wrong 또한 마르크스는 리에서 비참한 노동자들의 삶을습니다 그고 공산주 조과 만나면서 노동운동 관심을게죠 그는 혁명적인 공산주의자로 바게 됩니다 그는 겔스 함께 계급없는 세상을 만들겠다는으로 혁을 준비합니다 [음악] the get up [음악] 결국 마르크스는 1845년 2월 르셀로 가서 프로이센 국적을 포기했습니다 르셀 비밀동맹 접촉한 마르크스와 겔스 그들은 그곳에서도 혁명을 [음악] [음악] 원했습니다 18 람은 을 밝는을 쓰게 됩니다 [음악] nothing to L but Yes working all countries UN um but by the time mar and ang were collaborating and soon put together the very famous communist manifesto They were looking at the conditions of working people and How they might be improved and why It was that capitalist system was something that could improve their their lives but Which would also 그들의 선이 출판된 1848년 유럽은 혁명의 폭풍과 때였습니다 마르크스는 르리 지로 가서 혁명에 참가했죠이기로 마르크스는 붉은라인 [음악] 성을 시에 얻게 [음악] [음악] 됩니다 하지만 그에게는 이따라 추방령이 내려졌습니다 [음악] [음악] 그리고 결국 혁명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죠 1849년 마르크스는 영국으로 돌아올 수 없는 길을 떠납니다 [음악] [음악] MA How much longer can youit for an sitting at your desk Don't worry the new company will pay me next stop hing [음악] [음악] 제니는 마르크스가 가족을 제대로 부양하지 않는다고 자주 비난하곤 했습니다 다가 1855년 4월 그의 아들 에드가가 폐렴으로 세상을게 되죠 [음악] [음악] 피한 생활한 이후 5년 동안 계속됐습니다 그리고 그 사이 마르크스는여 아이 중에 세 아이를 잃게 [음악] 입니다 이산 덕분에 작은 연립주택으로 이사했습니다 그리고 생활이 안정되자 드디어 자본의지를 시작할 수 [음악] 있었습니다 who was very sociable person Yes shall call this communist manifesto a spector is haunting Europe great Fantastic spect of communism Yes the proletariat has nothing to lose but the CH yes yes working men of all countries unite bril [음악] 그가 자본을 쓴 이유는 자본주의의 모순을 철저하게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자본주의를 대표하는 아담 스미스의 국부론을 수백번 읽었죠 그리고 자본론에서 가장 많이 인용한 책이 바로 국부론이었습니다 [음악] 드디어 1867년 그가 15년 이상을 바친 필생의 역작이 그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바로 자본 제권 자본의 승산 과정입니다는 르론 법을 경제 연구에 최초로 적용해서 자본주의 문제점을 분석한 책입니다 자 그럼 자본 론으로 들어가 볼까요 자본론에서 제일 먼저 다룬 것은 상품입니다 상품은 인간이 생산하고 사용하는 모든 물건을 말하죠 쓸모가 있는지를 따지는 사용 가치 교환할 수 있는지를 따지는 교환 가치 둘 다를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정의해 [음악] 그리고 이러한 상품은 노동을 통해 생산해낸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므로 상품의 가치는 상품을 생산하는데 들어간 평균 노동 시간으로 결정된다고 [음악] 정의했습니다 즉 여섯 시간 동안 여섯 켤레 신발을 만든다면 신발의 가치는 노동 시간이라는 것이죠 또 화폐를 상품의 가치를 표시하는 수단으로 봤습니다 그리고 돈이면 뭐든지 다 할 수 있다고 믿는 화폐의 물신성이 생겨날 거라고 경고했습니다 아덤 스미스와 데이빗 리카도의 노동가치론을 이어받아서 노동이 최고의 가치라고 전제했습니다 하지만 아덤 스미스의 분업은 오히려 노동자를 기계의 부품처럼 만들어 버린다고 했죠 그러나 그가 자본론을 쓴 주요 목적은 바로 왜 쉬지 않고 열심히 일하는 노동자들은 항상 가난할까 반대로 놀고 먹는 자본가들은 왜 점점 더 부자가 될까 하는 의문을 풀기 위해서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마침내 그 해답을 이윤이 어디에서 나오는지 알아냄으로써 찾을 수 있었죠 [음악] 여기는 빵 공장입니다 이제 빵 한개를 만드 얼마만큼의 노동 시간이 드는지 계산해보겠습니다 먼저 밀가루 1kg 1 노동 시간이라 하겠습니다 기계는 빵 만개를 만들면 수명이 다합니다 그럼 한계를 만드는 데는 노동 시간이 들죠 그리고 노동력도 1 노동 시간이 든다고 치면 빵 한개를 만드는 데는 모두 3 노동시간이 듭니다 만약 1동 시간을 화폐로 환산해서 1000원이라고 하면은 빵 한개는 3,000원이 되는 것입니다 노동자가 하루에 평균 시간을 일하면 두 2 동시이 나오고 그동안 만든 빵 여덟개 가치는 2천원이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생깁니다 기계나 원는 그 가치가 그대로 인정되는데 노동자는 8시간을 일하는데도 자본가는 일당으로 3천원밖에 안 줍니다 그럼 나머지 5 노동시간 즉 5천원은 도대체 어디로 갔을까요 바로 자본가의 주머니속으로 들어갑니다 마르크스는 이렇게 남은 가치를 했 그런데도 왜 노동자는 싫다고 못할까요 자본가가 그만둬라 하면 그만둬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걸 아는 자본가는 더 많은 이유를 얻기 위해 노동자에게 더 오래 일하게 합니다 물론 일당은 절대 주지 않죠 결국 노동자를 착취함으로써 자본가는 더 많은 부를 얻게 되는 것입니다 마르크스는 이렇게 노동시간의 연장으로 만들어진 잉여가치를대 고 정했 하지만 자본가는 만족하지 못하고 더 많은 이을 얻으려고 하지 그래서 생각해 것이 바로 노동생산성을 높이는 것 노동자가 직접 손으로 빵을 만들 때 필요 노동 시간은 시간 하지만 기계를 들이와 빵을 만들면 같은 수에 빵을 만드는데 한 시간이면 되죠이는 결국 필요 노동시간은 줄어들고 잉 노동시간이 어나는 은 날로 본는 그만 이을 남기게 되는 것입니다 마르크스는 이렇게 생긴 이을 특별 잉여가치 또는 상대적 잉여 가치라고 했습니다 많은 이윤을 얻으려 하는 자본가의 이기심 때문에 기계가 계속 노동을 대신하면 실업자가 증가한다고 했습니다 그럼 일하려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임금은 더 낮아지고 이렇게 되면 상품은 쏟아져 나오지만 틀리질 않으니 기업도 자본가도 망하게 될거다 이렇게 주장했습니다 결국 자본주의의 위기인 공황이 시작되고 참다 못한 노동자들이 혁명을 일으킬 것이라고 했습니다 마르크스의 경고는 자본주의가 무너지고 사회주의가 나타날 것이라는 것 mechanism by capis come to end be replaced by communism by prar [음악] Revolution myar friend ENG the world that we dreamt in Paris doesn't seem It will come true I won't Stop insting the last day of my life but the world doesn't need [음악] meore Thank you for always outcast [음악] like Now discover [음악] 1883년 3월 14일 마르크스는 스가 지켜보는 가운데 자신이 가장 아끼던 의자에서 삶을 마감했습니다 [음악] [음악] [음악] 그의 사후 겔스 마르크의 유구를 모아서 1885년 자본 제 2권 자본의 유통 과정을 1894년 제 3권 자본주의적 생산의 총 과정을 발간했습니다 그리고 본는 사회주의의 성서로 불리우며 성서보다 더 많이 팔린 책이라는 명예를 얻게 됩니다 또한 한세계가 흐른 뒤에 마르크스의 사상은 레닌을 비롯한 혁명가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습니다 하지만 그들 중 단 한 명이라도 그의 사상을 바로 이한 람과 있었을까요 칼마르크스 그는 억압받는 노동자들을 도와서 공산주의 사회를 실현하고자 했던 혁명가 유물론적 변증법으로 세상을 해석한 철학자 자본주의를 과학적으로 분석한 제자였습니다 또한 공산주 국가의 탄생에을 가였습니다 [음악] 세월이 흐르면서 더 다양한 평가가 나올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마르크스가 철학으로 세상을 변화시키려 했다는 사실입니다 북한과 여전히 대립중인 우리나라에서 마르크스를 객관적으로 보기는 어려운 일인지도 모릅니다 그는 오랜 세월 동안 입밖에 내서는 안될 인물 중 한 명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은 왜 자유롭게 얘기할 수 있을까요 마르크스가 붕괴할 것이라고 했던 자본주의 국가들은 비록 위기를 겪으며 휘청거리기도 했지만 아직도 잘 버티고 있습니다 하지만 공산주의 국가들은 독재와 빈곤의 허덕이다 20세기말 도미노처럼 무너져 내렸죠 경쟁에서 승리하자 자본주의 국가들은 마르크스와 그의 책들에 대해 너그러운 태도를 가질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자본론이 세상에 나온지 140년이 지났습니다 자본주의가 붕괴할 것이라는 예상은 빗나가고 오히려 공산주의가 붕괴되는 사태가 벌어졌죠 그렇다면 아직도 자본주의가 지배하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자본으로는 가치가 없는 걸까요 사실 자본주의는 위기 때마다 새롭게 변신하며 살아남았습니다 그런데 그것이 가능했던 것은 마르크스가 남긴 자본주의에 대한 경고가 우리에게 절박한 메시지가 됐던 것은 아닐까요 물론 자본의 가치를 마르크스의 예측이 맞았는지 틀렸는지 찾을 수도 있겠지요 하지만 그는 가난한 노동자들에 대한 연민과 그들을 위기에서 구하고자하는 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로 그 연민과 정으로 자본을 쓴 것입니다을 제일 해야할 자본의 치인 것입니다 WR After all caput 아담 스미스가 국론을 통해서 꿈꾸고 마르크스가 자본론을 통해서 펼쳤던 이상적인서는 결코 지금의 모습이 아니었습니다 두 사람의 공통점은 그들의 사상의 시작점이 바로 인간에 대한 사랑이었다는 것입니다 그것을 탕으로 어떻게 하면 모든 사람이 잘 살 수 있을까를 고민했습니다 수식이 난무하는 현대 경제학과는 사고의 시작부터가 다르지 않습니까 자본주의는 아덤 스미스를 오해했습니다 공산주의도 마르크스를 오해했습니다 오직 사람을 사람답게 보는 따뜻한 시선이 있었을뿐입니다 그들이 그렸던 세상은 없는 자본주의 욕이나 소수 지배의 독재 서가 아니었습니다 아덤 스미스가 이기적인 인간의 성에도 공명정대한 관찰자가 있다고 믿듯이 위기의 순간 이제 우리 안에 공명정대한 관찰자가 상을 구해주길 기대해 보는 [음악] 것입니다 아담 스미스의 국론이 세상에 나온지 약 250년이 지났습니다 그사이 세상은 많이도 변했고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위기 속에서도 자본주의는 굳건히 살아남았습니다 그런데 250여 년에 자본주의를 살아온 우리는 과연 더 행복해졌을까 21세기 자본주의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한이란과 요들은 행복을 과연 무엇이라고 생각할까요 먼저 그들의 얘기를 들어봤습니다 Happiness the in any society the opport to make your owns happiness is ext to Which people improve their lives each in a capital society happiness is being Lucky enough to earn enough money to do What you EN happiness is living a good life where you are able to have a set of values that you can acc with It's not about money The Great thing about capitalism is it means We can for Happiness in our own [음악] 세계 자본주의의 심장인 뉴욕의 월가 한국판에 천여명의 시위대가 모여들었습니다 월가를 점령하라 하는 구에 그들은 금융 자본에 탐욕을 지탄하고 양극화와 빈부 격차의 해소를 촉구하는 전고 시위를 렸습니다 [음악] kind ofet I live iety everybody can aff can work and not need to work two three Jobs just to pay the bills you know I want to live in a society where people live to work not just work live 1% 향한 99% 노는 시간에 미국의 도시로 한 달만에 세계 80여 나라 15개 도시로 퍼져나갔습니다 월제 우리나라에서도 시민단체들이 욕 금융자본을 공격하라는 주제로 집회를 열었 poi every business requires to have some ethical framework and a bank especially so isal reaction to cr cr9 the price we h anybody we SH anybody we put anybody pron for long time America we toly we syst people instead syst that 욕 실업 부차 불평등으로 가득한 세상 우리가 살고 있는 금융 자본주의 세상은 그리 행복해 보이지 않습니다 2008년 미국의 금융 위기 이후 2010년 그리스에서 시작된 로전 재정 위기를 거치면서 신문에서는 연일 신자유주의가 다시 위기를 맞았다는 기사를 쏟아내고 있습니다 미 대공 같이 케인즈와 하이에크가 다시 맞게 됐다고 했죠 정부냐 시장이냐 100년에 걸친 논쟁이 다시 시작됐다는 [음악] 것입니다 경신 예어야 어 100년 동안 우린 치고받고 싸웠지 나케 거이 경하게 시장이냐 정부냐 경하게 계속되는 경제위기 어떻게 할건데 되풀이되는 글로벌 금융위기 붐스 버스 전세계의 치 너도 나도 모두 잔치 오마이갓 미국이 넘어지면 우리도 한방에 훅 돈이 돌고 돌아도 먹고 사기 힘들어 새로운 경제위기 답이 필요해 21세기를 책임질 경제 원리는 엇 뭘까 [음악] 그게 과연 되풀이되는 경제 위기를 해결해 줄 경제 원리는 무엇일까요 하에 그의 신자유주의 아니면 인지의 거시 [음악] 경제일 I think He was right ways and I think theof that is think was age I'm very sympathetic to Hi is that the crisis was caused by an over centralization of regulation that actually There was too much regulation and that actually LED to the crisis have Once against come to the four and so the ghosts of kan and are Now Once again making the waves and being qued 세계적인 석학들도 의견이 분분합니다 그래서 먼저 그들이 버려 온 논쟁의 핵심을 살펴볼까 합니다 잘 보시고 여러분들도 지금 우리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위기를 이겨낼 새로운 자본주의의 이론은 무엇이 돼야 할지 생각해 보시면 합니다 자 그럼 100년 전으로 돌아가서 케인즈 만나볼까요 1914년 7월 오스트리아가 세르비아에 대한 선전 포고를 하면서 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었습니다 전쟁은 꼬박 4년을 넘게 계속됐죠 그리고 드디어 1918년 11월 11일 독일의 항복으로 전쟁은 끝이났습니다 전쟁에서 승리한 3개 연합국은 빠리에서 평화회담을 열고 베르사유 조약을 맺게 됩니다 독일에 0억 파에 달하는 전쟁 상금을 물는 것이었죠 바로 그자리 고어 닥칠 위기를 가장 먼저 예감한 한 경제학자가 앉아 있었습니다 그는 자리를 박고 나가 곧바로 그가 속했던 영국 재무에 사표를 던졌습니다 그 택자 한권으로 일약 스타가 됩니다 바로 존 메이너드 케인입니다 [음악] 그의 예언이 적중했을 아 데는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독일정부는 감당할 수 없는 전쟁 배상금 때문에 더 많은 돈을 찍어낼 수밖에 없었고 결국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말았습니다 한편 전쟁의 여파에 허가 된 유럽과는 달리 미국은 호황을 누리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끝없는 욕심은 거품을 만들어냈습니다 1929년 10월 29일 검은 목요일 품이 터지면서 미국은 공 소습니다 그시의 독일에서는 파시즘이 힘을얻고 있었습니다 독일 국민들은 빈곤과 실업과 혼란의 지쳐 히틀러에게 정권을 맡겨버리고 말았죠 이렇게 대공황과 전쟁의 위기가 몰아칠 때인지는 보이지 않는 손에 대해서 의심을 갖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위기에 처한 자본주의를 구하기 위해 위기의 원인에 대한 명쾌한 분석과 해결 방법을 다룬 책을 내놓지 바로 고용이자 및 화폐에 관한 일반 [음악] 이론입니다인지는 공황의 원인을 수요 부족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소득이 늘어난다고 수요가 똑같이 늘어나지 않으며 현실적인 수요량을 유효 수요라고 정의했습니다 경제가 잘 돌아가려면 소득과 수요가 거의 같아야 하는데 덜 쓰다 보니 경기가 침체되는 것이 [음악] 분했습니다 경의 안 우 받고 싸지 말을 들어봐 풍요속에 빈곤 내가 만 무거 넘쳐나도 사는 사람 없어 와 돈이 안 도니까 먹고 사기 힘들어 결국에 [음악] 스스 이거 혁명이야 보이지 않는 손 이따 큰고 다친 [음악] 거야 경제도 아기처럼 돌봐줘 정부가 돌봐줘 우리 보안 책이 되어죠 투자가 부족하잖아 수요도 부족해 정부가 공장 세우고 다리도 놓아야 돼 일자리를 줘야 해 돈이 들게 해야 해 어 이게 바로 내가 만든 거시경제 [음악] 하워 에관한 지의 새로운이는 거시 경제학이라는 학문을 탄생시킵니다 19 economists were content to explain how the market worked studied market economics microeconomics when was treasury official helping to Finance the first World War thinking about macroeconomics think the whole economy [음악] 자본주의 경제 체제에서는 그 주차를 세수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바로 가게 기업 그리고 정부 미시 경제학이란 가와 기업이 어떻게 의사 결정을 내리며 이들이 시장에서 어떻게 상 연하는입니다 아 스미스의 자유시장경제체제 이후 세계를 지배한 제입니다 여기서 국가는 그저 전쟁에서 국민을 보호하는 야경국가 정도의 역할만 담당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반면에 거시 경제학은 국 이자율 환율 가전 상을 연구하는입니다 정부의 계획적인 정책으로 가게와 기업을 움직여야 한다는 주장이죠 실질적인 구매력을지는 수요 내가 말하는 유효수요 아세 정부가 자금을 지원해 유효수요를 늘리지는 심플한 논리 매력없는 수요 자가 일자리를 통해 구매자로 발전하는 기 미던 구매력이 정상적인 유효 수요로 발전하는 기 일자리가 있고 돈이 있는데 왜 돈이 안 돌아 this is 유효 수요 이론 1936 발표와 내 책을 읽어 디오 정책으로 성공했던 내 이론 it 바로 고용 이자이 화폐 일반 이론 [음악] 공황에서 벗어나는 길은 정부가 재정 지출을 확대해 일자리를 만드는 것 완전 고용이 이루어지면 유효 수요가 늘어나서 경제가 되살아날 것이라고 주장한 것입니다 그러나 그가 내린 정부의 계획적인 개입이라는 처방은 이제까지 세상을 지배해온 보이지 않는 손에 대한 중대한 졌습니다 케인즈는 기자들로부터 공산주의자가 아니냐 하는 질문까지 받아야 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보이지 않는 손이 스스로 시장을 조종할 때까지 기다리라는 주장과 단기적인 관점에서만 경제를 바라보는 시각에 대해 이렇게 비판했습니다 thought cap could problem guaranteed and 그 먼저 하버드 대학 경제학부에 젊은 학자들을 매혹시키고 됩니다 그리고 미국 정부에 경제 강 요들을 설득시켰다 루스벨트 대통령은 그의 이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뉴딜 정책을 만들었습니다 실업자와 굶주린 사람을 위한 복지 정책을 마련하고 댐 고속도로 등을 건설해서 일자리를 만들었습니다 또 없이 강력한 규제 방화를 실시했습니다 그리고 드디어 1939년 9월 1일 인지의 예언이 그대로 적중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면서 다시 유럽 대륙의 전쟁의 피바람이 불기 시작한 것입니다 전쟁은 1941년 일의 소련 공격과 일본의 진중한 공격을 계기로 해서 태평양 전쟁으로 졌습니다 유럽뿐만 아니라 아시아 북아프리카 태평양까지 전 세계가 전쟁에 사이게 된 것이죠 결과는 참혹했습니다 인류역사상 가장 큰 인명과 재산피해를은 전쟁은 1945년 8월 15일이 되어서야 끝이났습니다 그 사주는 그을 전세로 대했습니다 19 14년 7월인지는 세계 최고의 경제학자 자격으로 브레튼 우주 협정을 진두 지휘하기도 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전쟁은 독일과 미국 모두에게 불황의 탈출구가 돼주었습니다 돈을 빌려 전쟁에 쏟아부으면서 실업률이 낮아지고 경제가 살아난 것입니다 2차 대전이 끝나자 케인지 주의는 자본주의 세계 모든 정부를 지배하는 경제원리가 됐습니다 his Major achievement intellect was to get Economist to think about the whole economy to think in terms of macroeconomics that was great achievement they have responsibility for full employment for maintaining optimal level of employment and output kean governments targeted employment um they aim to keep employment a fair low LEVEL 3% 이후 케인즈 이론은 큰 정보를 만드는데 이론적 토대가 됐고 30년 동안이나 유리없는 호황을 누리게 [음악] 해주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인지가 승승장구할 때 공황의 원인과 극복 방법에 대해서 그와 정반대 생각을 가진 사람이 있었습니다 바로 런던대학 교수였던 하이에크 그는 44년 자신의 주장을 담아 노예의 길을 편했습니다 하에 그는 너무 많이 투자했고 너무 많이 써서 공황이 왔다 이렇게 진단했습니다 케인즈는 정반대의 의견이죠 그리고 시간이 걸리더라도 시장의 조종 능력을 신뢰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wasat with who the Which was govern EC govern grow and grow andes 하지만인 주의로 호황을 누리고 있던 세계는 하이에크 주장의 귀를 기울여주지 않았습니다 결 하는 심한 나머지 고향인 오스트리아로 돌아 [음악] [음악] 그러나 70년 들어서자 끝나지 않을 것만 같았던 호황에도 위기가 찾아습니다 위기는 이제까지와 전혀다른 [음악] 상으로습니다로 경기 불과인 [음악] 대세는 인지에서 하이크로 기울어지고 있었습니다 [음악] 마가리 대처가 보수당 당수가 됐을 때 그녀는 하이에크 책으로 테이블을 내리치며 말했죠 우리가 믿어야 할 것은 바로 이겁니다 선거가 있던 79년 영국은 불만족스러운 겨울을 보내고 있었습니다 경제가 치명적인 침체에 빠졌죠 영국 국민들은 대초 보수당 정부를 선택합니다 영국 최초 총리가 대는 하 자유주을 둔 즘을 [박수] [음악] 했습니다 경신 [음악] 잘들어봐 어 아 불까지 온 거야 all 괴물처럼 세상을 괴롭지 [음악] 상을 정 큰 무능 정부 부패 정부 투자 너무 많아 소비 너무 많아 투더 빛도 너무 많아 고통스러워도 그냥 놔둬야 돼 보지 않은 손이 조종해야 돼 이게 바로 내가 말하는 신투 자유주의 세상을 구하자 하이에 하이에크는 큰 정부의 문제점을 비판하며 아덤 스미스의 자유시장 경제 체제를 다시 부활시켰습니다 신자유주의 시대가 시작된 [음악] 것입니다 미국도 상황은 마찬가지였습니다 79년 2차 5일 쇼크가 발생하자 제철가 시작되지만 침체는 속습니다 인지가 가르쳐준 대로 했지만 별효과가 없었습니다 미국은 대처와 같은 노선을 가진 레이건을 대통령으로 선출했습니다 그는 하이에크와 같은 시장 주의자인고 학 밀턴 프리드만의 이론을 기반으로 해서 레이건 노믹스를 시행했습니다 건실한 금융 규제철폐 적정한 세율 제한적인 정부지출이 주요내용입니다 하지만 체제를 바꾸는 건 쉽지 않았고 금방 좋은 결과가 나오지도 않았습니다 3년이나 고통이 계속됐고 분노는 커져만 같죠 수백만 명의 미국인들이 매우 큰 어려움을 겪어야 했습니다 그러던 중에 영국은 포클랜드 전쟁을 일으켰고 승리했습니다 다행히 살아남은 대처 정부는 그때까지의 성과를 내지 못한 정책을 계속할 수 있었 그리고 드어 경제가 다시 성장하기 [음악] 시작했습니다 think How 한편 80년 들어와서 공산주의 세계는 소련이 리더십을 잃어가면서 경제 위기의 해결책이 마르크스주의가 아닌 시장에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고개를 들었습니다 점처럼 나아지지 않는 경제 사정으로 공산주의 체제는 점차 무너져 갔고 결국 1991년 12월 25일에 소비에 연방이 해체되고 말았습니다 그동안 세계를 양분했던 공산주의와 자본주의에 대결해서 자본주의가 최종 승리를 거둔 것입니다 대체의 영향력은 더 강해졌고 그와 함께 하의 신자유주의는 지천 경제를 휩쓸었습니다 미국과 영국은 세계화를 주장하며 세계 여러 나라의 시장개방을 기 했고 그과 [박수] 세계는 에 하게 됩니다 글로벌 경제체계 모든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그 누구도 통제권을 갖지 못한 단위 시장이 시작된 것입니다 또 미국과 영국은 금융 산업을 무기로 세계화에 성공했고 급기야 새로운 자본주의 형태인 금융 자본주의를 탄생시켰습니다 [박수] capitalism capitalism capitalism capitalism capitalism capitalism capitalism capitalism capitalism capitalism Oh my god you want me to say something about capitalism [음악] [음악] 하지만 이러한 금융 자본주의가 전 세계적인 금융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예측한 사람은 별로 없었습니다 멕시코 금융 위기는 미국의 지원으로 해결됐지만 태국에서 발발한 금융 위기는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로 전염병이 돼 번져 나갔습니다 우리나라도 IMF 체제에 들어가는 굴욕을 당했지만 금융 위기는 멈추지 않고 계속됐죠 결국 2008년 성이라 생각했던 미국까지 금융 위기에 휩싸이게 되고 연은 유럽발 금융 위기로 전 세계가 휘청거리고 있습니다 이제 세계는 어느 누구도 통제할 수 없는 세계가 돼버린 것입니다 물론 세계화가 전리 없는 풍요를 가져다 것입니다 세계화 시면서 화 속되고 불평등이 더 커졌다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그러자 주의자들은 이번 위기의 원인을 신자유주의가 괴물 금융을 키웠기 때문이라고 비판하기 시작했습니다 [음악] Finance 종자들은 반했습니다 과도한 정부의 지출이 이번 금융위기의 주범이라는 것이죠 정부냐 시장이냐 그래서 주도권 싸움은 아직도 하게 대립하며 계속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음악] [음악]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다시 정부가 주도권을 주이고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아니면 규제를 더 완화해서 시장이 스스로 제기능을 찾도록 기다려야 한다고 [음악] 생각하십니까 아무리 생각해도 참이 없습니다이 그 한계를 여실히 증명한 이론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자본주의는 고장났다 이렇게 진단합니다 자 그렇다면 우리는 자본주의를 버려야만 할까요 우가 만나본 가들 중 자본주의를 피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한명도 없었습니다 하 그렇다고 실한 공산주의를 다시 불러올 수도 없는 일입니다 방은 하고난 본주를 고을 밖 것니다 맞습니다 이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문제의 원인을 분명하게 분석하고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는 것입니다 정부도 시장도 아닌 자본주의를 이끌 새로운 주인을 찾는 것입니다 [음악] [음악] [음악] W [음악] [음악] C [음악] [음악] a [음악] [박수] [음악] [음악] k [음악] 우리 사회의 소득의 불평등과 빈부 격차를 아주 쉽게 표현한 그림입니다 much richer than the rest of the country There's aiger the have And what the rest of the country It says here the increase income bottom 90% of americans after 30 years and It's 1 in high and here's the increase in income of the Super wealthy and There's an arrow And at the top It says continues off page for 62 more feet ok 1 in to 62 and half feet is the measure to5 each each in the b 9% in United States about 1 99% it turns out EX income distribution data that most of the gains in the last 20 years or so seem to have gone to the very top you know the people Who are the richest already have gotten most of the gains in the last 20 years and 자 우리나라의 경우는 어떨까요 조연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소득상위 1% 한해 버는 돈이 38조 490억원 상위 1% 국 16 6% 가져간다는 계산입니다 더 올라온 것은 OECD 중 미국의 17.

7%이어서 2위라는 것 우리나라가 얼마나 심각한 소득 불균형 상태 있는지 잘 알 수 [음악] 있습니다 놀라운 데이터는 또 있습니다 OECD 국가의 삶에 관한 면 우리나라 국민의 행복지수는 10점만점에 4.

2점 전체 34개국 중 32위를 차지했다고 [음악] 합니다 1위는 덴마크로 8.

0점 우리나라보다 낮은 나라는 2점대 터키와 [음악] 멕시코뿐입니다 지난 50년 동 리라 인당 국소 그래프입니다 190 달러에서 시작해서 재 2만달러 세계 10위의 경제대국이 됐습니다 정말 놀라운 성장입니다 문제는 바로 이것입니다 우리가 느끼는 행복도가 경제성장과 비례해서 증가하지 않다는 것입니다이는 [박수] [음악] 증가해 행복은 된다는 이스털린의 역서를 고스란히 적용하고 있습니다 [음악] us [음악] [음악] 오늘 시부터 세계 1위 경제 국가인 미국과의 자유무역 협정이 발효됐습니다 관세 장벽이 없어져 오늘부터 무관세 무역이 이루지기 시작했습니다 상 가상으로 한미 FTA 발효됐습니다 과연 FTA 우리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요 courage exch between our two countries which is a good thing but and It will make US both countries better off because doesn't trade doesn't change the number of Jobs in a country it changes the kinds of Jobs some industries will and uh and that's the uh uh there will be shortterm pain while people move out of those industries into other industries but the fact that industry vanishes doesn't mean that that those people are out of work for life [박수] 약자들이 당하는 그 피해에 대해서 상당히 민감하게 대처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대로 그 방치해 놓으면은 적어도 미국과의 그 FTA 빈익빈부익부 현상을 더 심화시킬 위험이 있으니까 이미 경쟁력을 갖춘 기업에겐 분명 좋은 기회지만 나머지 산업은 아니라는 것 상당히 다른 평가입니다 하지만 공통적인 의견은 바로 분명히 많은 낙오자가 생긴다는 것 그럼 그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어피 식본 주의 세상 너 알아서 살아라 난 모른다 하면 될까요 [음악] insurance right cap insurance nobodys insurance all of mes all for B luck soal saiv society insurance give to other theal saet nety [음악] 그렇습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바로 복지입니다 갑자기 경제 얘기하다 웬 복지로 흘러갔나 싶으실 겁니다 그러나 아까 말씀드리지 않습니까 정부도 시장도 아닌 자본주의를 이끌 새로운 주인을 찾아야 [음악] 한다으로 본주인 정부도 시장도 아닌 바로 국민이 주인이 되야 한다는 말입니다 국민이 주인이 돼서 경제를 움직이고 자본주의를 움직이는 시대가 왔다는 [음악] 겁니다 현대 자본주의가 낳은 양극화 불평등 빈부 격차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복지 자본주의가 필요하다는 겁니다 대부분의 사람이 행복하지 않는 자본주의에서 대부분의 사람이 행복한 자본주의로 바꿔보자는 겁니다 복지는 미래의 불안에 대한 일종의 보험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세금을 내서 복지를 하는 건 보험을 싼값에 공동 구매하는 것과 같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걱정합니다 복지 복지다 보면 분명히 경제 성장의 발목이 잡힐 거라고 하지만 그렇지 [음악] 않습니다 자 한번 생각해 보십시오 1번 부자가 소비하는 것이 국게 도움이 될까요 2번 아니면 가난한 사람이 소비하는 것이 국익에 도움이 될까요 답은 2번입니다 왜냐고요 당히 가한 사람이 부자보다 더많 라도 하루에 열기를 먹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그 근거는 멜더자 원리에서 주장한 과소 소비설비 [음악] [음악] 멜드 이렇게 말했습니다 가난한 자의 주머니를 채워라 그러면 소비가 촉진된다 [음악] 결국 가난한 사람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사회적인 비용이 많이 들게 되기 때문에 방치하는만큼 더 큰 부메랑이 돼서 모두를 힘들게 할 것이라는 [음악] 뜻입니다 그러므로 복지를 하는 것이 더 경제적이라는 겁니다 [음악] 복지 얘기가 나오면 우리는의 도덕성 부이고 동정심을 가지라 하는 결론으로 끝을 맺고 합니다 가난한 사람들을 어떻게 그냥 두냐고 같이 살아야 하지 않겠느냐고 그것이 바로 정의로운 사회가 아니냐고지만 사실상 복지 문제는 그저 심의서 해할 문 [음악] 물론 복지는 어려운 문제입니다 복지를 하려면 세금 즉 돈을 걷어야 하기 [박수] 때문이죠 아물론 단순한 퍼주기식 복지를 하자는게 아닙니다 복지와 성장은 서로 상충되는 개념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through but got so 생산적인 복지 즉 복지를 통해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자 하는 [음악] 것입니다 유명 배우들이 나와서 그런 걸 선전을 하지요이 월 29만에는 숫자를 개인이 불안해서내는 거죠 내가 혹시 큰병 걸릴지도 모르는데 그래서 그렇게 돈을 내고 있거든요 그런 공적인 방식을 취하지 않고 불안하니까 사적인 방식으로 각자 살길을 찾는데 이게 살길이 아니라 것이죠 공적으로 가는 것이 맞고 이게 복지 국가다 그런 뜻입니다 포 education foc skild prod uh do you you know try and find ways to get them Back Into The workforce sometimes they require help in terms of training I think society is better off If You can do that you know Let me tell you the deal this in in denmark you lose your job through no fault of your own Because the industry changes the government then puts you into a training program Maybe You need six weeks of training and Maybe You need to get a doctoral degree the government will provide you with 90% of your income until that program is finished it find you a j You can re that J it find you a second job and If you reject that J you 90% of your benefits so What happens people find their own job the government not so good at finding Jobs number one number two They don't want to lose 90% of their 우리가 복지 자본주의로 가야 하는 이유는 또 있습니다 이것은 OECD 국가들의 복지 지수입니다 우리나라는 30개 국가 중에서 26위 거의 꼴지의 성적입니다 1위는 노르웨이 2위는 룩셈부르크 3위는 네덜란드 4위는 덴마크 5위 스웨덴 주로 전통적인 유럽의 복지 국가들이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OECD 15개국 국가들의 창의성 지수입니다 우리나라는 11위 역시 중하위권 있니다 1위는 스웨덴 2위는 스위스 3위는 핀랜드 4위는 네덜란드 5위는 노르웨이 어떻습니까 상위권을 차지하는 나라들이 복지 지수와 거의 비슷하지 않습니까 창성 지수는 복지 지수와 깊은 관이 있다는 말입니다 한마디로 복지 국가의 국민이 창의성 지수가 높다는 말이 되는 [음악] 것입니다 창의력은 미래 사회를 발전시킬 가장 큰 성장 동력이라 일컬어집니다 복지 국가라는 것은 사회 안전망이 잘되어 있는 나라인데 그 실패한 사람들이 다시 일어설 수가 있는 것이죠 그 제기할 수 있다는 보장이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모험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모험과 창의력 발명 혁신 이런 것을 촉진하는 효과를 복지 국가 갖는 [음악] 것이죠 그런데 배고픈데 창이가 과연 나올 수 있을까 실패하면 끝인 사에서 창이가 나올 수 [음악] 있을까요 창이는 끝없는 실패와 모험에서 시작됩니다 [음악] [박수] [음악] 그렇다면 복지 자본주의 세상에서 우리는 행복할 수 있을까요 가장 발달한 복지 국가가 북유럽이 북유럽 국가들의 별명이 탈 상품 사회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상품으로 되 있는 많은 그런 재화 서비스들이 북유럽에 가면은 상품이 사고 파는게 아니라는 뜻입니다 러면 교육 대화까지 무료죠 예 의료 보육 이런 것이 공짜입니다 공짜니까 탈 상품이죠 상품에서 벗어난 그런 사회죠 탈상 사회니까 목돈이 별로 필요가 없고 그래서 뭐 제테크 할 필요도 별로 느끼지 않을 겁니다 한국은 불안한 사회니까 목돈이 언제 어디서 필요할지 모르거든요 우리는 그동안 자본주의의 여러 모습들을 봤습니다 아담 스미스로 시작된 자본주의가 마르크스의 정면 도전에 맞서 어떻게 발전되 왔고 어떻게 살아남았는지 그리고 그 안에서 살아온 우리들이 어떻게 비해 왔는지 돈이 돌아가는 원리와 은행권의 탐욕을 보고 오히려 무기력함을 느끼신 분들도 아마 계실 겁니다 끊임없이 쏟아져 나오는 생산품 어서 사라고 많이 사라고 부추기는 마케터의 유혹에 너무 자주 흔들린 날을 발견하며 기분이 나빴을 수도 있습니다 금융상품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면서 돈 벌겠다고 이리 뛰고 저리 뛴 데가 심했을 수도 있습니다 여하튼 좋습니다 이제껏 어떻게 살아왔든 이제부터가 문제입니다 생각해 보십시오 우리의 아이들에게 헐떡이며 죽음을 기다리는 물고기 같은 삶을 그대로 물려 주시겠습니까 아니면 네가 살려면 남의 의자를 뺏어야 한다고 가르치겠습니다 사회가 얼마나 문명화 됐는가를 측정하는 척도 중 하나는 바로 약자가 어떻게 배려받는 하는 것입니다 함께 사는 세상 그것이 바로 우리가 꿈꾸는 행복한 자본주의 [음악] 세상입니다 이제가화된 자본주 자본주의를 향해 나아가야 할 [음악] 때입니다 capitalism is uned ENG for producing wealth it lifts people out poty but What is wealth for it for you have to have you have to have other other ethics than eic wealth accum but That's That's you know for the future but it's something that we we need to start thinking about now [음악]
영상 정리

영상 정리

1. 자본주의는 어렵지만 중요한 시스템입니다.

2. 돈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돌지 이해해야 합니다.

3. 중앙은행이 돈을 찍어내는 원리부터 배워야 합니다.

4. 돈은 은행의 대출로 늘어나며, 이는 신용창조입니다.

5. 돈의 양이 늘어나면 물가도 오릅니다.

6. 인플레이션은 돈이 많아질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7. 금융시스템은 과거의 실수와 위기를 반복합니다.

8.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세계는 여전히 불안합니다.

9. 케인즈는 정부의 적극적 개입을 주장했습니다.

10. 하이에크는 시장 자율성을 강조했습니다.

11. 7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가 대세가 됐습니다.

12. 금융자본주의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초래했습니다.

13. 부의 불평등과 빈부격차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14. 우리나라 소득 상위 1%가 전체의 큰 몫을 차지합니다.

15. 행복은 물질이 아닌 삶의 의미와 관계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16. 소비는 감정과 무의식에 영향을 받습니다.

17. 과소비와 중독 소비는 자존감 저하와 연결됩니다.

18. 자존감 낮은 사람은 더 많은 소비를 하게 됩니다.

19. 금융교육과 금융지능이 중요합니다.

20. 미국과 유럽은 적극적 금융교육과 복지 정책을 시행합니다.

21. 우리나라의 복지 수준은 낮아 창의성과 행복도가 떨어집니다.

22. 복지와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자본주의가 필요합니다.

23. 시장과 정부, 국민이 함께 주인인 사회를 만들어야 합니다.

24. 금융위기와 불평등 해결은 근본적 개혁이 필요합니다.

25. 행복한 자본주의는 모두가 배려하는 사회에서 시작됩니다.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