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가 올지 안 올지는 "이것"으로 결정된다. "이것" 없으면 당신의 뇌는 쪼그라듭니다
잠든 뇌를 깨워라! 뇌 신경 활성화 비법 대공개!
안녕하세요! 저는 유튜브 채널 '닥터 3'를 운영하고, '뇌리셋 케톤식'이라는 네이버 카페에서도 활동하는 신경과 전문의입니다. 치매, 파킨슨병 같은 뇌 질환을 전문으로 치료하고 있죠. 오늘은 제 책 제목이기도 한 '잠든 당신의 뇌를 깨워라'라는 주제로, 뇌 신경을 어떻게 활성화시킬 수 있는지 쉽고 재미있게 알려드릴게요!
뇌는 사실 '지방 덩어리'?!
우리 뇌는 놀랍게도 60~70%가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간에 지방이 5%만 쌓여도 지방간이라고 하잖아요? 뇌는 그보다 훨씬 많은 지방으로 구성된 '지방 덩어리'인 셈이죠. 이 지방 중에서도 절반은 오메가-3, 25%는 콜레스테롤, 그리고 20~25%는 인지질로 이루어져 있답니다.
저지방 식단의 역습: 치매 환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이유
1977년, 미국 FDA에서 '지방은 해롭다'는 발표를 하면서 저지방 식단이 전 세계적으로 유행했어요. 지방 섭취를 줄이니 자연스럽게 탄수화물 섭취가 늘어났고, 이는 당뇨병 환자가 급증하는 결과를 낳았죠. 세계보건기구(WHO)나 미국 심장학회에서도 포화지방 섭취를 극도로 제한하라고 권고하면서, 사실상 채식을 하라는 것과 다름없는 식단 지침을 내놓고 있어요.
이런 식단은 혈압을 낮추고 나쁜 콜레스테롤을 줄이는 데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뇌 건강에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뇌의 주요 구성 성분인 지방 섭취가 줄어들기 때문이죠.
혈당과 뇌 건강의 비밀: 당화혈색소를 낮춰라!
정상 혈당 범위 안에서도 평균 혈당이 100일 때보다 95로 떨어지면 치매 위험도가 14%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요. 즉, 혈당을 낮추는 것이 뇌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특히 '당화혈색소' 수치는 뇌세포 소실 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 수치를 5.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뇌 건강에 좋다고 합니다. 5.0 이하라면 평균 혈당이 90 이하로 조절된다는 뜻인데, 이는 밥, 빵, 면 같은 탄수화물 섭취를 최대한 줄여야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뇌를 살리는 '케톤식'의 힘!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고 지방 섭취를 늘리는 식단을 '케톤식'이라고 합니다. 케톤식은 뇌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기억력 감퇴를 늦추는 데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속속 발표되고 있어요.
- 기억력 감퇴 지연: 케톤식을 7개월간 한 결과, 기억력 감퇴가 지연되고 뇌 시냅스 가소성이 증가했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시냅스는 신경세포 간의 연결 부위인데, 이 연결이 잘 될수록 뇌 기능이 활발해집니다.
- 정신 질환 개선: 정신 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케톤식 연구에서는 79%의 환자에게서 임상적인 호전을 보였고, 대사증후군은 100% 정상으로 회복되었습니다. 이는 약물 치료보다 훨씬 강력한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죠.
뇌의 핵심 영양소: 인지질과 콜레스테롤
뇌 세포막을 구성하는 인지질, 특히 '플라즈마로겐'은 뇌 건강에 매우 중요합니다. 플라즈마로겐은 모유, 계란 노른자, 조개류, 소고기, 양고기 등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동물성 식품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뇌 건강을 지키는 데 필수적입니다.
실제로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서는 플라즈마로겐 수치가 현저히 낮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이는 곧 플라즈마로겐 섭취 부족이 치매 발병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결론: 동물성 식품 섭취로 뇌 건강을 지키세요!
20년 동안 치매 환자를 진료하며 뼈저리게 느낀 것은, 계란, 생선, 고기 같은 동물성 식품을 충분히 드시는 분들은 거의 치매에 걸리지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채식 위주의 식단은 오히려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뇌는 지방과 단백질, 그리고 다양한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동물성 식품을 필요로 합니다.
뇌 건강을 위해 지금부터라도 식습관을 바꿔보세요. 밥, 빵, 면 같은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고, 계란, 생선, 고기 같은 동물성 식품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제 유튜브 채널 '닥터 3'나 네이버 카페 '뇌리셋 케톤식'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뇌 건강을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