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자기조절력, 18개월부터는 일상에서 훈련이 꼭 필요합니다 l이민주육아상담소l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우리 아이 자기 조절력 키우기! 🚀
육아하다 보면 별거 아닌 일도 아이 때문에 힘들 때 많지? 응가 기저귀 갈기, 옷 입히기, 양치하기, 영상 보기 약속 지키기… 이런 사소한 일들이 아이가 협조 안 해주면 정말 진땀 빼게 하잖아. 😅
이런 아이들의 행동, 바로 자기 조절력이랑 관련이 깊대. 자기 조절력이란 건 자신의 몸과 마음, 감정을 스스로 조절하는 능력인데, 이걸 잘 키우려면 만 3세 이전까지 뇌 발달이 중요하고, 부모님의 양육 방식도 엄청 중요하대!
자기 조절력 발달 시기, 언제부터? 🤔
- 돌 이전: 배고프거나 졸리거나 춥거나 더운 본능적인 요구 때문에 우는 거라 이때는 바로 반응해주는 게 맞아.
- 돌 지나고 두 돌 가까이: 인지, 감정, 언어 발달이 아직 미숙해서 옳고 그름 판단이 어렵고, 하고 싶은 건 무조건 하려고 떼 쓰는 시기야. 이때가 바로 악명 높은 '떼쓰기 대마왕' 시기! 😈
- 18개월쯤: "내가 스스로 해보고 싶다!"는 마음이 강해져서 부모님과 부딪히는 일이 많아져. 소리 지르고, 드러눕고, 물건 던지고, 심하면 머리까지 때리기도 해. 😱 이때부터는 지시를 이해하고 긍정, 부정 구분이 가능해지면서 자기 조절력이 발달하기 시작하는 단계야. 하지만 아직은 서툴기 때문에 아이 발달 속도에 맞춰서 쉬운 것부터 천천히 훈련시켜야 해.
자기 조절력 키우는 5가지 방법! ✨
- 원하는 걸 정확하게 표현하도록 도와주기: 아이가 원하는 게 있을 때 말이나 몸짓으로 표현할 기회를 줘야 해. "물 줄까?" 하고 물어보면 아이가 "물!" 하고 말하거나 손짓으로 표현하면 그때 물을 주는 거지. 이렇게 반복하면 아이는 필요한 걸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 배우게 돼. 표현 방법을 모르면 답답해서 떼를 쓰게 되거든. 🗣️
- 일관된 규칙과 태도 유지하기: 이건 되고 저건 안 된다는 규칙을 명확하게 정하고, 그걸 일관되게 지켜야 해. 어떤 날은 되고 어떤 날은 안 되면 아이는 "울거나 떼쓰면 되는구나"라고 생각하게 돼. 영상 3개만 보기로 했는데 아이가 1시간 울어서 결국 보여주면, 아이는 "많이 울면 원하는 걸 얻을 수 있다"고 배우는 거야. 🙅♀️
- 팁: 규칙이 너무 어렵거나 많으면 아이가 좌절할 수 있어. 아이 발달 수준에 맞춰서 쉬운 규칙부터 시작하고, 규칙을 지켰을 때는 "기다려줘서 고마워" 하고 칭찬해주자!
- 규칙 안에서 최대한 자율성 보장하기: 자기 조절력의 목표는 무조건 착하고 말 잘 듣는 아이가 되는 게 아니야. 부모님의 권위 때문에 눈치만 보는 아이가 되지 않도록, 정해진 규칙 안에서는 아이가 스스로 시도하고 실패도 경험하며 극복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게 중요해. 실패해도 좌절하지 않고 긍정적으로 이겨내는 회복탄력성도 함께 키울 수 있어. 💪
- 기다림을 경험하게 해주기: "잠깐만 기다려"라는 경험을 통해 아이는 스스로 기다리는 법을 배우고 자율성과 자신감을 키울 수 있어. 먹고 싶은 게 있을 때 바로 주는 대신 "엄마 아빠랑 같이 먹자" 하고 잠깐 기다리게 하는 거지. 기다려줘서 고맙다고 칭찬해주면 아이는 뿌듯함을 느끼고 더 잘 기다리게 될 거야. 😊
- 부모님이 감정 조절 모델링 보여주기: 부모님이 화가 났을 때 소리 지르거나 분노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아이는 그대로 따라 배워. 화가 나는 건 당연하지만, "지금은 화가 나서 대화하기 어려우니 잠깐 기다려줘"라고 말하거나 심호흡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게 중요해. 🧘♀️
자기 조절력 키우는 놀이 추천! 🤸♀️
- 몸으로 하는 놀이: "멈춰라 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얼음땡"처럼 신체를 조절하는 놀이
- 규칙 있는 놀이: "출발 신호에 맞춰 출발하기", 보드게임, 퍼즐 맞추기처럼 순서를 기다리고 규칙을 지키는 놀이
아이의 미래를 결정할 수도 있다는 자기 조절력! 오늘 알려드린 방법들을 일상에서 꾸준히 실천해서 우리 아이가 건강하게 성장하도록 도와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