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년간 주식투자 공부했는데, 90% 이상 돈 잃는 진짜 이유 (삼프로TV 이진우 기자 풀버전)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 앞으로 경제 위기는 적게 올 것 같아요.
- 위기는 자주 오지 않지만 고통은 계속됩니다.
- 아파트는 기다리며 사고, 고민은 살지 말지 결정입니다.
- 주식은 기다렸다 사는 게 맞고, 고민은 살지 말지입니다.
- 아파트 고민은 주식에, 주식 고민은 아파트에 해야 합니다.
- 이진우 기자님이 책을 내셨고, 판매도 하고 있습니다.
- 책 내용은 방송에 담아 최대한 설명하려고 합니다.
- 비트코인 인식은 최근에 바뀌고 있습니다.
- 비트코인은 태울 수도 없는 쓰레기 같다고 생각했어요.
- 값은 계속 오르지만, 가치가 없다고 여깁니다.
- 투자 성공을 바라지만, 비트코인 자체는 부정적입니다.
- 비트코인 가격은 가치와 상관없이 오를 수 있어요.
- 미국과 워런 버핏도 비트코인을 부정했어요.
- 비트코인은 가짜이거나 사기일 수도 있다고 봅니다.
- 디지털 금으로 보는 의견도 있지만, 자연 파괴 걱정이 있어요.
- 미국은 비트코인을 전략 자산으로 고려하는 것 같아요.
- 미국 정부는 비트코인 가격을 조작하거나 통제하려 할 수 있습니다.
- 중국은 미국 달러를 몰수당할까 걱정하며 금이나 비트코인을 고려합니다.
- 금은 자연적 한계가 있어 가격이 오를 수 있어요.
- 비트코인도 금처럼 자연 파괴 없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 미국은 비트코인을 통제하려 하고, 가격 조작 가능성도 있습니다.
- 중국은 금과 비트코인을 국가 자산으로 많이 사들입니다.
- 미국이 비트코인을 전략 자산으로 삼으면 가격 조작이 가능해집니다.
- 미국 정부는 비트코인을 부채 갚기 위해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 글로벌 위기는 미국이 흔들릴 때 시작됩니다.
- 현재는 미국이 안정적이어서 위기는 적게 옵니다.
- 우리나라 위기는 미국보다 적거나 다를 수 있어요.
- IMF보다 지금 고통이 더 크다고 느끼는 사람도 있습니다.
- 하지만 IMF 위기는 과거에 훨씬 심각했어요.
- 지금은 소비는 줄어도 일자리는 유지되고 있습니다.
- 코로나 때보다 힘든 건 자영업자들이에요.
- 환율과 외환 부족이 위기 원인입니다.
- 미국이 흔들리면 전 세계가 흔들립니다.
- 우리나라에는 외환이 충분히 있어도 위기는 올 수 있습니다.
- 미국이 안정적이면, 위기는 적게 옵니다.
- 경제 성장률은 낮아도, 통화량이 늘어나면 자산이 오릅니다.
- 통화량 증가가 자산 가격을 결정하는 핵심입니다.
- 과거보다 200년 전부터 통화량이 늘어나기 시작했어요.
- 제테크는 통화량 증가에 배팅하는 겁니다.
- 기다리고 기다리며 자산을 늘리는 전략이 유효합니다.
- 주식은 언제 사느냐가 중요하고, 타이밍이 핵심입니다.
- 아파트는 언제 살지 고민하지만, 결국 사는 게 답입니다.
- 기다리며 싸게 사는 게 제일 좋아요.
- 자산은 오를 때 사서 기다리면 됩니다.
- 통화량이 늘어나면 자산 가격도 오릅니다.
-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기다리세요.
- 개별 종목보다 지수에 투자하는 게 좋아요.
- 시장은 오르거나 내리거나, 기다림이 중요합니다.
- 미국은 과거에 한국, 일본보다 발전했어요.
- 우연과 행운도 큰 역할을 했어요.
- 우리나라 성장도 우연과 행운이 컸어요.
- 앞으로는 더 노력과 정책이 중요합니다.
- 올해는 금에 관심을 두는 게 좋아요.
- 자산은 포트폴리오로 분산해서 기다리세요.
- 투자 시에는 오를 확률과 내릴 확률을 고려하세요.
- 금값은 오를 가능성과 떨어질 가능성이 비슷합니다.
- 금을 사면 다른 자산이 떨어질 수도 있어요.
- 결국 자산은 팔거나 기다리면서 움직입니다.
- 부동산은 기다리면 좋은 기회가 옵니다.
- 집값은 언제든 오를 수 있고, 공급이 문제입니다.
- 우리나라 부동산은 개발업자가 영세해서 공급이 늦어요.
- 재개발, 재건축이 느리거나 어렵습니다.
- 정부가 인센티브를 주면 빨리 될 수 있어요.
- 서울 집값은 계속 오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 공급이 적거나 규제 때문에 집값이 오릅니다.
- 다주택자 규제는 집값을 더 올리기도 합니다.
- 집값이 오르면, 공급이 줄어들고 다시 오릅니다.
- 정부는 규제보다 공급 확대가 필요합니다.
- 재개발, 재건축이 빨리 진행돼야 합니다.
- 정책이 바뀌면 집값도 안정될 수 있어요.
- 미국은 위기 가능성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 경제는 저성장으로 가고 있어요.
- 경제 성장률은 실질보다 명목이 중요합니다.
- 자산 가격은 통화량과 기대심리로 결정됩니다.
- 기다리며 자산을 늘리고, 인내하는 게 핵심입니다.
- 개별 종목보다 지수에 투자하세요.
- 시장 타이밍보다 기다림이 더 중요합니다.
- 미국은 과거와 달리 정책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 한국은 정책과 민심에 따라 집값이 결정됩니다.
- 위기는 적게 오지만, 고통은 계속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