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 수상한 움직임 포착! 코인시장 대변혁 임박 (강환국 2부)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코인 시장 분석: 스테이블코인, 이더리움, 솔라나, 리플 등
1. 리플과 CBDC
- 리플의 특징: 일반적인 블록체인과 달리 거래를 되돌릴 수 있는 '롤백' 기능이 가능함.
- CBDC와의 연관성: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는 중앙에서 통제하고 이자율 등을 조절해야 하므로, 리플의 롤백 기능이 CBDC 구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 기존 블록체인으로는 이런 기능 구현이 어려움.
2. 이더리움과 솔라나의 상승 요인
- 스테이블코인 시장 성장: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10배 이상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스테이블코인의 기반이 되는 블록체인 중 이더리움이 절반 이상을 차지함.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커지면 이더리움의 수익도 함께 커질 것으로 예상됨.
- 이더리움의 가치 상승 요인:
- 소각: 스테이블코인으로 얻은 수익으로 이더리움을 구매하여 소각함으로써 이더리움의 총 공급량을 줄임 (자사주 매입과 유사).
- 배당: 이더리움을 스테이킹하는 사람들에게 배당을 지급함.
- 주식 비유: 배당 지급과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식처럼 가치가 상승할 수 있음.
- 디파이(DeFi)의 성장: 스테이블코인은 디파이 서비스(코인 대출, 교환 등)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디파이 시장의 성장은 스테이블코인과 이더리움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3. 시장 전망 및 과열 구간
- 단기 전망: 8월, 9월은 전통적으로 코인 및 주식 시장이 좋지 않은 달이지만, 10월부터 반등하는 경향이 있음. 단기적인 조정은 올 수 있지만, 시장 전체가 10배, 100배 성장할 것을 고려하면 현재는 과열 구간이라고 보기 어려움.
- 장기 전망: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10배, 100배 커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관련 블록체인 생태계도 함께 성장할 가능성이 높음.
4. 알트코인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 블록체인 개발자들의 참여 증가: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보고 더 많은 개발자들이 관련 블록체인 개발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됨.
- 규제 명확화: 클레리티 법안 등을 통해 규제가 명확해지면서 개발자들이 안심하고 사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됨.
- 시가총액 증가: 시장이 커지면서 더 많은 자금이 유입되고, 시가총액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5. 주요 암호화폐 상승 시그널 포착 방법
- 기관 자금 유입: ETF 자금 유입 등 기관 투자자들의 움직임이 중요함.
- 글로벌 M2 지표: 글로벌 M2(광의 통화량) 지표는 암호화폐 시장의 강력한 선행 지표로 작용함. M2 지표의 저점 또는 고점 이후 8~12주 후에 비트코인도 비슷한 움직임을 보임.
- 비트코인의 역할: 비트코인은 암호화폐 시장의 대장주로서 전체 시장을 리드하며, 글로벌 M2 지표는 비트코인을 리드함.
6. 이더리움의 독보적인 위치
- 네트워크 효과: 많은 개발자와 사용자들이 이더리움을 사용하고 있어, 다른 코인보다 더 많은 유동성과 개발 생태계를 확보하고 있음. (카카오톡, 윈도우 비유)
- 보안: 10년 동안 해킹 사례가 거의 없었으며, 안정적인 보안성을 제공함. 솔라나의 경우 최근 해킹 사례가 있었음.
- 기관 투자자 선호: 기관 투자자들은 높은 수수료와 느린 속도보다 안전성과 거래 완료 가능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함.
7. 솔라나의 현재 위치 및 전망
- 스테이블코인 시장 점유율: USDT 시장에서는 1~2%로 미미하지만, USDC 시장에서는 12~16%를 차지하고 있음.
- 동반 성장 가능성: 시장 전체가 성장하면 솔라나도 함께 성장할 가능성이 높음.
- 이더리움과의 격차: 이더리움의 시가총액이 솔라나보다 훨씬 높아, 단기간에 이더리움을 뛰어넘기는 어려울 수 있음. 하지만 유동성과 개발 생태계가 커진다면 점유율 확대 가능성도 있음. 기관 투자자들의 움직임은 보수적이므로 시간이 걸릴 수 있음.
8. 이더리움과 솔라나를 뛰어넘을 코인
- 기술 혁신: 앞으로도 더 좋은 기술을 가진 코인들이 계속 등장할 것으로 예상됨.
- 이더리움의 파생 코인: 이더리움의 레이어2 솔루션인 아비트럼과 같은 코인들이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
- 스테이블코인 관련 블록체인: 스테이블코인이 활성화되는 블록체인 운영 주체가 유망할 수 있음.
9. 트론에 대한 평가
- USDT 시장 점유율: 이더리움과 비슷한 수준의 USDT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며, 상당한 수익을 올리고 있음.
- 가치주 vs 성장주: 현재 수익은 높지만, 규제 리스크와 성장성에 대한 의문으로 인해 이더리움보다 성장성은 낮다고 평가됨. 이더리움은 스테이블코인 외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며 미래 성장성이 높음.
- 탈중앙화 정도: 이더리움은 완전 탈중앙화에 가깝지만, 트론은 일부 슈퍼 그랜드 마스터들의 영향력이 있어 리스크가 존재함.
10. 리플에 대한 평가
- 롤백 기능의 중요성: CBDC 구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환전 시 수수료 절감 및 속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
- 스테이블코인과의 관계: 스테이블코인 등장 이후 리플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이 있었으나, CBDC 및 환전 시스템에서의 잠재력은 여전히 존재함.
- 개인적인 관심사: 현재는 스테이블코인에 집중하고 있으며, 리플에 대한 공부는 추후 진행할 예정임.
11. 향후 주목할 만한 코인
- 스테이블코인 관련 블록체인: 스테이블코인이 활성화되는 블록체인.
- 디파이 서비스 관련 코인: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대출, 교환 등 디파이 서비스 관련 코인.
- RW(부동산 토큰화) 관련 코인: 부동산 자산을 토큰화하여 유동성을 확보하는 미래 사업.
- 코인 간 교환 블록체인: 다양한 코인들을 서로 바꿔주는 역할을 하는 블록체인.
12. 알트코인 시장 전망 및 투자 조언
- 대세 상승장 진입 여부: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40%까지 떨어져야 알트코인 대세 상승장으로 볼 수 있으며, 아직은 그 단계가 아님.
- 하반기 전망: 4분기에는 알트코인으로도 수익을 낼 수 있는 시장이 올 것으로 기대됨.
- 투자 조언: 8월, 9월은 전통적으로 시장이 약세를 보이는 시기이므로, 이 시기를 피해 9월 말에 다시 투자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음. 높은 확률에 베팅하는 것이 중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