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지식뉴스] TSMC는 이미 시작했는데, 한국은 아직도... 관세보다 무서운 '초대형 폭탄' 온다 (ft.홍종호 서울대 교수) / 교양이를 부탁해 / 비디오머그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대한민국 경제, 미래를 위한 에너지 전환 이야기

요약:

대한민국 경제가 미래 경쟁력을 갖추려면 에너지 전환, 특히 재생 에너지 확대가 필수적이야. 현재 한국은 재생 에너지 비중이 낮고, 반도체 산업 등 주요 산업들이 에너지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 대만은 해상 풍력 발전으로 TSMC에 청정 에너지를 공급하며 앞서나가고 있는데, 한국은 이런 흐름에 뒤처지고 있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같은 대규모 사업도 에너지 공급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성공하기 어렵고, 결국 한국 경제의 미래가 불투명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


1. 한국 경제의 위기 신호: 에너지와 경쟁력

  •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트럼프 대통령은 화석 연료를 다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어. 이게 5년, 10년 후에는 바뀔 수 있지만, 지금 당장은 에너지 정책에 큰 영향을 주고 있지.
  • 미래 없는 한국 경제? 이런 흐름 속에서 한국 경제는 점점 경쟁력을 잃고 있다고 봐. 특히 에너지 문제가 심각해.
  • 반도체 산업의 중요성과 전력 소비: 한국 경제에서 반도체 산업은 정말 중요한데, 반도체 공장은 전기를 엄청나게 많이 써. 삼성전자 같은 기업이 대표적이지.
  • 대만과의 비교: 대만은 TSMC라는 세계적인 반도체 회사를 가지고 있는데, 이 회사가 쓰는 전기를 '재생 에너지'로 바꾸기 위해 정부가 엄청나게 노력하고 있어.
    • 해상 풍력 발전: 대만은 섬나라라서 해상 풍력 발전을 빠르게 늘리고 있어. 이미 한국보다 10배나 많은 해상 풍력 발전량을 가지고 있지.
    • TSMC의 선언: TSMC는 한국의 삼성전자보다 2년이나 빨리 재생 에너지로 만든 전기를 쓰겠다고 선언했어. 대만 정부는 이런 TSMC를 위해 해상 풍력 발전을 적극 지원하고 있지.
  • 한국의 에너지 공급 문제: 반면에 한국은 반도체 공장에 필요한 전기를 가스 화력 발전으로 공급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어. 이건 대만과 비교했을 때 경쟁력이 떨어지는 부분이야.

2.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에너지 공급의 딜레마

  • 거대한 반도체 단지: 용인에 엄청난 규모의 반도체 클러스터를 짓겠다는 계획이 있어. 이건 수십 년이 걸릴 큰 프로젝트인데, 반도체 산업은 전기가 안정적으로 공급되는 게 정말 중요해.
  • 수도권의 전력 부족: 서울 같은 수도권은 이미 다른 지역에서 전기를 많이 가져다 쓰고 있어. 마치 서울이 전기를 '수입'하는 것처럼 말이야.
  • 가스 화력 발전의 한계: 정부는 급한 대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가스 화력 발전소를 짓겠다고 하는데, 이건 석탄보다는 덜하지만 여전히 탄소를 배출해. 이렇게 만들어진 전기로 만든 반도체가 글로벌 시장에서 환영받을 수 있을까?
  • 재생 에너지의 장거리 운송: 정부는 호남, 제주 지역에 해상 풍력 발전을 집중하겠다고 하지만, 여기서 만든 전기를 용인까지 끌어오려면 바다 밑으로 거대한 케이블을 깔아야 해.
    • 막대한 투자 비용: 이 케이블 설치에만 수십조 원이 들고, 이 비용을 누가 부담할지도 문제야.
    • 전기 가격 상승 우려: 남쪽에서 만든 전기를 수도권으로 가져오면 전기 가격이 비싸질 수밖에 없어.
  • 지역 주민들의 불만: 남쪽 지역 주민들은 자신들이 만든 전기를 왜 수도권으로만 보내야 하냐고 불만을 가질 수 있어. 지역에 공장이 들어오면 투자도 늘고 일자리도 생기는데 말이야.

3. 조선업과 해운업의 미래: 탄소 배출과의 싸움

  • 조선업의 중요성: 한국은 조선업에서도 경쟁력이 높은데, 최근에는 한계에 봉착했다는 말도 나와.
  • 미국의 조선업 부흥: 트럼프 대통령이 화석 연료를 다시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미국의 조선업 부흥을 돕고 있어. 한국 조선업도 이런 흐름 속에서 기회를 잡을 수 있지.
  • 탄소 배출 규제: 하지만 앞으로는 배를 만들 때 탄소 배출을 줄이는 게 중요해져. LNG를 넘어 암모니아 같은 탄소 배출이 전혀 없는 연료로 가야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 국제기구의 강력한 규제: 유럽연합(EU)이나 국제해사기구(IMO) 같은 국제기구들이 탄소 배출 규제를 강화하고 있어.
    • 2028년부터 탄소세 부과: 2028년부터 한국 해운업계가 탄소 배출을 줄이지 못하면 엄청난 세금을 내야 할 수도 있어. 2030년에는 1조 4천억 원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하니, 이건 정말 심각한 문제지.
  • LNG 운반선 과잉 공급: 한국은 LNG 운반선 건조에 강점을 가지고 있지만, 최근에는 너무 많이 지어져서 과잉 공급되는 분위기야. 오히려 해상 풍력 설비선은 제대로 못 만들고 있지.

4. 그린 수소와 철강 산업의 변화

  • 그린 수소의 중요성: 철강 산업에서도 저탄소 압박이 커지면서 그린 수소 기반 기술이 중요해지고 있어.
  • 그린 수소 수입의 문제점: 한국은 지금까지 화석 연료를 수입해서 경제 성장을 해왔는데, 그린 수소까지 수입하게 되면 에너지 안보와 독립에 역행하는 거야. 다른 나라들이 그린 수소를 전략 자원으로 활용하면 한국 경제는 해외 의존도가 높아져 취약해질 수밖에 없어.
  • 그린 수소 생산의 핵심: 재생 에너지: 그린 수소는 재생 에너지로 만든 전기로 물을 분해해서 만드는 거야. 덴마크는 재생 에너지 비중이 90%가 넘어서 남는 전기로 그린 수소를 만들어 수출까지 하려고 해.
  • 철강 산업의 탄소 배출: 현재 철강 산업은 석탄을 사용해서 철을 만드는데, 이게 엄청난 탄소 배출을 유발해.
  • 수소 환원 제철 기술: 수소를 이용해서 철을 만드는 '수소 환원 제철' 기술이 있지만, 아직은 비용도 많이 들고 기술적으로도 어려움이 있어.
  • 미래를 위한 선택: 하지만 탄소 배출이 너무 많기 때문에 결국 수소 환원 제철로 갈 수밖에 없어. 비싸더라도 말이야.
  • 국내 그린 수소 생산의 필요성: 한국은 태양광, 육상 풍력, 해상 풍력 모두 할 수 있는 나라야. 이런 재생 에너지를 활용해서 국내에서 그린 수소를 직접 생산해야 해. 수입에만 의존하는 건 너무 안일한 생각이지.

5. 대한민국 산업의 미래: 재생 에너지와 '쌍둥이 전환'

  • 경쟁력 위협받는 주요 산업: 한국의 자랑인 철강, 반도체, 조선 산업이 모두 시장에서 위협받고 있어. 기후 위기와 탈탄소 시대에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엄청난 노력이 필요해.
  • 해외에서 발휘되는 한국 기업의 경쟁력: 한국 기업들은 태양광, 풍력 발전 분야에서 경쟁력이 있지만, 정작 국내 시장이 작아서 해외에서 경쟁력을 발휘하고 있어. 안타까운 일이지.
  • 국내 시장 확대의 중요성: 국내 시장이 커져야 관련 제품 생산 단가도 떨어지고, 한국도 재생 에너지 발전 단가를 낮출 수 있어.
  • 해상 풍력 시장의 기회: 해외 기업들도 한국의 해상 풍력 시장에 관심을 보이고 있어. 해외 기업들과 협력하고 경쟁하면서 한국 시장과 기업들을 키워나가야 해.
  • 10년 후 해상 풍력 강국: 한국이 10년 안에 해상 풍력 강국이 되고, 청정 에너지를 공급하는 나라가 되기를 꿈꿔.
  • 재생 에너지 비중 확대: 한국은 OECD 국가 중 재생 에너지 발전 비중이 꼴찌인데, 이제는 이 오명을 벗어야 해. 그래야 제조업 강국으로서의 명성을 유지할 수 있어.
  • '쌍둥이 전환'의 중요성: 앞으로 10년, 20년은 '디지털 전환'과 '녹색 전환'(에너지 전환)이라는 두 가지 흐름이 세계 산업과 시장을 주도할 거야. 이 두 가지를 놓치면 한국 경제의 미래는 없어.
    • 디지털 전환과 전력 소비: AI 전환 같은 디지털 전환은 전력을 많이 필요로 해. 그래서 녹색 전환과 디지털 전환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
  • 2030년 이후의 도약: 지금은 늦었지만, 앞으로 5년 동안 열심히 노력하면 2030년 이후에는 한국도 AI와 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나라가 될 수 있을 거야.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