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욕설이 기분 나쁜 건 내 동의 여부에 달려 있어요.
- 내가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느냐가 나를 결정해요.
- 나는 스토리텔링 덩어리로서 자신을 알아차려야 해요.
- 지금 경험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알아차리면 고통이 줄어요.
- 알아차림은 경험의 찢어짐 없이 배경 자가 역할을 해요.
- 건강한 세상을 위해 알아차림과 수용이 중요해요.
- 김주환 교수님은 몸과 마음, 내면 소통에 대해 강의하셔요.
- 그는 내면 소통 책과 유튜브 채널로 많은 사람에게 전해요.
- 책은 깊이와 폭이 커서 다시 읽을 때마다 새롭게 느껴져요.
- 우리는 어떤 스토리텔링을 하고 있나를 알아차려야 자유로워져요.
- 마음이란 용어는 너무 다양하고 혼란스러워요.
- 마음은 의식, 의도, 취향, 정신 등 여러 의미를 담고 있어요.
- 몸과 마음을 구분할 때, 마음은 정신적 차원이에요.
- 의식은 지금 일어나는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이에요.
- 의식은 주체이자 결과일 수 있어요.
- 자아는 경험과 기억, 즉 에고로 구성돼 있어요.
- 기억자, 즉 에고는 과거 경험과 일화 기억으로 만들어져요.
- 에고는 자신을 지키려 집착하는 성향이 강해요.
- 집착하는 에고는 자신을 방어하려고 끊임없이 찾게 돼요.
- 타인이나 세상에 대한 비판과 욕망이 집착을 키워요.
- 무시, 비난, 욕설은 내 동의 여부에 따라 기분이 달라져요.
- 오렌지 나뭇가지 비유처럼, 동의 없으면 상처받지 않아요.
- 내 에고는 타인의 말이나 행동에 따라 기분이 좌우돼요.
- 악당과 싸우는 이야기 구조는 우리 일상에도 깊게 깔려 있어요.
- 선과 악, 대립 구조는 영화, 드라마, 뉴스에 자주 등장해요.
- 세상은 절대악으로 가득 차 있다고 믿기 쉬워요.
- 하지만 세상엔 선과 악이 딱 나뉘지 않아요.
- 사람도 나쁘지만 누군가에게는 사랑하는 존재예요.
- 악당도 누군가에게는 소중한 존재일 수 있어요.
- 강한 자가 악하다는 스토리텔링이 우리를 지배해요.
- 돈 많고 힘 센 사람을 나쁘게 보는 편견이 강해요.
- 드라마는 악당이 강하고 돈 많게 그려져요.
- 악당은 대개 힘이 세고 돈이 많아 보여요.
- 선과 악의 대립은 우리 문화와 미디어에 깊게 깔려 있어요.
- 이 구조를 알아차리면, 세상 보는 관점이 달라질 수 있어요.
- 나를 괴롭히는 상사도, 부모도, 세상도 모두 복합적이에요.
- 그들이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알아차리면 마음이 편해져요.
- 자신을 괴롭히는 것도 결국 내 스토리텔링의 결과예요.
- 내면의 습관인 최악의 가능성 스토리텔링을 버려야 해요.
- 습관처럼 나쁜 이야기를 계속 믿고 상처받는 게 문제예요.
- 알아차림으로 내 스토리텔링을 바꿀 수 있어요.
- 지금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알아차리면 자유로워져요.
- 배경 자는 늘 존재하며, 고통을 느끼지 않아요.
- 경험자와 기억자는 고통을 느끼고, 배경자는 알아차려요.
- 명상은 배경 자를 알아차리고, 고통을 받아들이는 연습이에요.
- 감정이 일어날 때, 그 감정은 자아와 관계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