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지금 이걸 깨닫지 못하면 평생 불행하고 외롭습니다 | 김주환 교수 1부 - 자아 [EN/KR]

  1. 욕설이 기분 나쁜 건 내 동의 여부에 달려 있어요.
  2. 내가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느냐가 나를 결정해요.
  3. 나는 스토리텔링 덩어리로서 자신을 알아차려야 해요.
  4. 지금 경험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알아차리면 고통이 줄어요.
  5. 알아차림은 경험의 찢어짐 없이 배경 자가 역할을 해요.
  6. 건강한 세상을 위해 알아차림과 수용이 중요해요.
  7. 김주환 교수님은 몸과 마음, 내면 소통에 대해 강의하셔요.
  8. 그는 내면 소통 책과 유튜브 채널로 많은 사람에게 전해요.
  9. 책은 깊이와 폭이 커서 다시 읽을 때마다 새롭게 느껴져요.
  10. 우리는 어떤 스토리텔링을 하고 있나를 알아차려야 자유로워져요.
  11. 마음이란 용어는 너무 다양하고 혼란스러워요.
  12. 마음은 의식, 의도, 취향, 정신 등 여러 의미를 담고 있어요.
  13. 몸과 마음을 구분할 때, 마음은 정신적 차원이에요.
  14. 의식은 지금 일어나는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이에요.
  15. 의식은 주체이자 결과일 수 있어요.
  16. 자아는 경험과 기억, 즉 에고로 구성돼 있어요.
  17. 기억자, 즉 에고는 과거 경험과 일화 기억으로 만들어져요.
  18. 에고는 자신을 지키려 집착하는 성향이 강해요.
  19. 집착하는 에고는 자신을 방어하려고 끊임없이 찾게 돼요.
  20. 타인이나 세상에 대한 비판과 욕망이 집착을 키워요.
  21. 무시, 비난, 욕설은 내 동의 여부에 따라 기분이 달라져요.
  22. 오렌지 나뭇가지 비유처럼, 동의 없으면 상처받지 않아요.
  23. 내 에고는 타인의 말이나 행동에 따라 기분이 좌우돼요.
  24. 악당과 싸우는 이야기 구조는 우리 일상에도 깊게 깔려 있어요.
  25. 선과 악, 대립 구조는 영화, 드라마, 뉴스에 자주 등장해요.
  26. 세상은 절대악으로 가득 차 있다고 믿기 쉬워요.
  27. 하지만 세상엔 선과 악이 딱 나뉘지 않아요.
  28. 사람도 나쁘지만 누군가에게는 사랑하는 존재예요.
  29. 악당도 누군가에게는 소중한 존재일 수 있어요.
  30. 강한 자가 악하다는 스토리텔링이 우리를 지배해요.
  31. 돈 많고 힘 센 사람을 나쁘게 보는 편견이 강해요.
  32. 드라마는 악당이 강하고 돈 많게 그려져요.
  33. 악당은 대개 힘이 세고 돈이 많아 보여요.
  34. 선과 악의 대립은 우리 문화와 미디어에 깊게 깔려 있어요.
  35. 이 구조를 알아차리면, 세상 보는 관점이 달라질 수 있어요.
  36. 나를 괴롭히는 상사도, 부모도, 세상도 모두 복합적이에요.
  37. 그들이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알아차리면 마음이 편해져요.
  38. 자신을 괴롭히는 것도 결국 내 스토리텔링의 결과예요.
  39. 내면의 습관인 최악의 가능성 스토리텔링을 버려야 해요.
  40. 습관처럼 나쁜 이야기를 계속 믿고 상처받는 게 문제예요.
  41. 알아차림으로 내 스토리텔링을 바꿀 수 있어요.
  42. 지금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알아차리면 자유로워져요.
  43. 배경 자는 늘 존재하며, 고통을 느끼지 않아요.
  44. 경험자와 기억자는 고통을 느끼고, 배경자는 알아차려요.
  45. 명상은 배경 자를 알아차리고, 고통을 받아들이는 연습이에요.
  46. 감정이 일어날 때, 그 감정은 자아와 관계 있어요.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