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무역협상 타결, 조선동맹이 불러올 변화 5가지!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조선업, 앞으로 어떻게 될까? (중학생 눈높이 설명)
한국과 미국 무역 협상의 핵심이었던 조선업! 상반기에 실적이 좋았는데, 앞으로 어떻게 될지 알아보자.
1. 조선 3사 실적, 왜 좋았을까?
- 매출 쑥쑥, 이익은 더 쑥쑥! 작년보다 매출은 10% 정도 늘었고, 영업이익은 몇 배나 늘어난 곳도 있어.
- 옛날에 주문한 배 만들고 있어: 2021년에 주문받은 배들을 이제 거의 다 만들었고, 2022~2023년에 주문받은 배들이 이제 매출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 배 만드는 단가가 올랐어: 2021년부터 배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었는데, 지금 만드는 배들이 그 비싼 가격에 만들어지고 있는 거지.
- 일 잘하는 사람들이 늘었어: 작년에 새로 뽑은 사람들이 이제 일을 잘하게 되면서 더 많은 배를 만들 수 있게 됐어.
- 비용은 그대로인데 매출은 늘었어: 인건비나 재료비는 그대로인데, 배 가격이 오르면서 이익이 더 많이 남게 된 거야. 특히 2분기는 일하는 날이 많아서 이런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어.
2. 수주 잔량은 줄었다는데, 괜찮을까?
- 전체적으로 줄긴 했어: 전 세계적으로 2025년에 만들 배 주문이 많이 줄었어. 특히 중국은 70%나 줄었고, 한국도 업체별로 조금씩 줄었어.
- 그래도 아직은 괜찮아: 한국 조선소들은 이미 4년 치 일감을 확보해 놨기 때문에, 올해 매출만큼만 주문을 받아도 작년과 비슷한 수준의 일감을 유지할 수 있어.
- 가격 협상력은 유지될 거야: 수주량이 조금 줄었다고 해서 배 가격을 낮춰야 할 만큼 심각한 상황은 아니야.
3. 미국, 왜 조선업에 투자할까?
- 중국 견제 목적: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한국 조선업에 투자하는 거야.
- 한국 조선소에 기회: 미국이 군함 MRO(정비, 수리, 운영)는 한국에서, 상선은 미국 현지 조선소에서 만들기로 했어.
- 군산 조선소 가능성? 군산 조선소뿐만 아니라 국내 중소형 조선소들도 후보군에 올라와 있어. 그래서 요즘 중소형 조선주들이 움직이는 거야.
4. 친환경 규제 강화, 조선업에 어떤 영향?
- 탄소세 도입: 2028년부터 배에서도 탄소세를 내야 해. 배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정해진 기준 이하로 줄여야 하고, 못 줄이면 벌금을 내야 해.
-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 탄소세를 피하려면 친환경 연료를 쓰는 배를 만들어야 해. 그래서 LNG, 암모니아, 수소 연료를 쓰는 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거야.
- 한국 조선소 기술력: 한국 조선소들은 이미 LNG, 암모니아 선박 기술을 가지고 있고, 수소 연료 선박 기술 개발도 진행 중이야.
- 배터리 추진선은 아직 어려워: 큰 배를 움직이기에는 배터리 효율이 아직 낮아서, 지금은 유럽에서 작은 배들에만 사용되고 있어.
5. HD 현대 마린 엔진, 왜 주목받을까?
- 글로벌 엔진 사업부: HD 현대중공업의 엔진 사업부가 글로벌 최고 수준이야.
- 든든한 지원군: 원래 STX중공업이었는데 HD현대그룹에 인수되면서 그룹사 물량을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게 됐어.
- 가동률 상승, 실적 개선: 가동률이 20%일 때도 흑자를 냈는데, 지금은 80%까지 올라왔고 실적도 좋아지고 있어.
- 최선호주: 전문가들은 HD현대마린엔진을 최선호주로 꼽고 있어.
결론적으로, 조선업은 상반기에 좋은 실적을 냈고, 친환경 규제 강화로 인해 앞으로도 친환경 선박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보여. 다만, 신규 수주가 줄어드는 부분은 지켜봐야 할 부분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