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CVD 고래 매수·매도 신호를 한눈에 파악하는 유일한 비밀지표!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CVD 지표, 이게 뭐길래?

트레이딩 하는 사람들 중에 돈을 잃는 사람이 많다고 하잖아? 근데 이건 다 심리 때문이래. 트레이딩 심리학 전문가인 닥터 브레트 스탠버거가 하는 말인데, 트레이딩은 사람이 하는 거라 모든 패턴은 심리에서 나온다는 거야.

스탠버거 박사는 트레이딩할 때 "내가 누구한테 돈을 버는지 알아야 한다"고 말했어. 트레이딩은 결국 누군가 돈을 벌면 누군가는 잃는 제로섬 게임인데, 돈을 잃는다면 그 돈을 번 사람의 패턴을 읽어야 한다는 거지.

그래서 스탠버거 박사가 추천한 게 바로 CVD 지표야. CVD는 Cumulative Volume Delta의 약자로, 우리말로 하면 누적 거래량 변화라는 뜻이야. 특정 기간 동안 매수 거래량과 매도 거래량의 차이를 계속 쌓아서 보여주는 지표지.

CVD, 왜 중요할까?

CVD는 RSI나 MACD처럼 공식적인 기술 지표는 아니야. 책이나 논문에 정식으로 정의된 적도 없고, 모든 차트 프로그램에 기본으로 깔려 있지도 않아. 그런데도 전문가들은 CVD를 "실질적인 매수/매도 힘을 파악하는 거의 유일한 지표"이자 "세력의 힘을 추적하는 데 가장 유용한 지표"라고 평가해. 그래서 공식 지표는 아니지만, 실전 성과로 인해 업계 표준처럼 쓰이는 몇 안 되는 지표 중 하나지.

시장 구조와 CVD의 관계

CVD를 이해하려면 시장 구조를 알아야 해. 시장에는 두 종류의 참여자가 있어.

  1. 마켓 메이커 (거래를 유도하는 참여자): 지정가로 거래를 체결하는 사람들을 말해. 특정 가격대에 주문을 쌓아두는 역할을 하지. 마치 사과 가게에서 "이 가격에 사겠다"고 예약해 놓는 것처럼 말이야. 이들은 시장에서 가격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해.
  2. 마켓 테이커 (거래를 따라가는 참여자): 시장가로 거래를 체결하는 사람들을 말해. "지금 시장 가격으로 사겠다"고 바로 거래하는 거지. 이들은 마켓 메이커가 쌓아둔 가격대를 뚫고 가격을 움직이는 역할을 해.

세력이라고 불리는 큰 자금을 가진 사람들은 주로 마켓 메이커 형태로 매집하거나, 마켓 테이커 형태로 가격을 움직여.

  • 지정가 주문 (마켓 메이커) > 시장가 주문 (마켓 테이커): 가격 변동성이 적고 특정 가격대에서 유지되는 것처럼 보여.
  • 시장가 주문 (마켓 테이커) > 지정가 주문 (마켓 메이커): 가격 변동성이 커지고 가격이 크게 오르거나 내리지.

결국 시장 가격을 움직이는 건 큰 금액으로 시장가 주문을 하는 사람들이야. CVD 지표는 바로 이 시장가 거래량에서 매수 거래량이 더 많은지, 매도 거래량이 더 많은지를 파악하는 지표인 거지. 그래서 CVD를 보면 시장을 움직이는 세력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고 하는 거야.

CVD 지표, 어떻게 표기될까?

CVD 지표는 차트 하단에 표시되는데, 계산 원리는 간단해.

체결된 시장가 거래량 중 (매수 거래량 - 매도 거래량)

  • 매수 거래량이 많으면: 0선 위로 올라가고, 올라가는 폭이 클수록 상승세가 강하다는 뜻이야.
  • 매도 거래량이 많으면: 0선 아래로 내려가고, 내려가는 폭이 클수록 하락세가 강하다는 뜻이야.

이 계산된 값을 계속 누적해서 선이나 캔들로 보여주는 게 CVD 지표야. 예를 들어,

  • 1일차: 매수 5,000원, 매도 0원 -> 델타값 +5,000원 (누적 +5,000원)
  • 2일차: 매수 10,000원, 매도 0원 -> 델타값 +10,000원 (누적 +15,000원)
  • 3일차: 매수 0원, 매도 5,000원 -> 델타값 -5,000원 (누적 +10,000원)

이렇게 계산된 누적값이 CVD 선으로 그려지는 거지.

CVD 지표, 어떻게 사용할까?

1. 기본 사용법:

  • 매매 피하기: CVD 캔들이 0선 근처에서 왔다 갔다 할 때는 웬만하면 매매를 피하는 게 좋아.
  • 롱 포지션 진입: CVD 캔들이 0선 위로 올라가서 양봉 캔들이 나오면, 그 가격대에서 롱 포지션(상승에 베팅)을 진입해 볼 수 있어.
  • 숏 포지션 진입: CVD 캔들이 0선 아래로 내려가서 음봉 캔들이 나오면, 그 가격대에서 숏 포지션(하락에 베팅)을 진입해 볼 수 있어.

2. 다이버전스 활용:

  • 롱 포지션: 가격은 계속 낮아지는데 CVD 지표는 저점을 높이고 있다면? 이건 아래에서 누군가 매집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어. 지지를 받고 상승 추세로 바뀔 확률이 높으니 롱 포지션 진입을 고려해 볼 수 있지.
  • 숏 포지션: 가격은 계속 높아지는데 CVD 지표는 고점을 낮추고 있다면? 이건 위에서 누군가 매도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어. 저항을 받고 하락 추세로 바뀔 확률이 높으니 숏 포지션 진입을 고려해 볼 수 있어.

CVD 지표의 한계점과 최적화 방법

CVD 지표는 장이 열리고 닫힐 때마다 거래량이 초기화되기 때문에, 장 초반에 진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

이걸 보완하기 위해 스탠버거 박사는 최적화 CVD 지표를 만들었어. 이건 최근 거래량을 기준으로 가중 평균해서 계산하기 때문에 끊김 없이 지속적으로 표시돼.

최적화 CVD + 일목 균형표:

이 최적화 CVD 지표에 일목 균형표를 결합하면 더 정확한 타점을 잡을 수 있어.

  • 롱 포지션:

    • CVD 캔들이 노란색 중심선 위에 있어야 해.
    • 동시에 구름대 위에 있어야 해.
    • 최근 구름대 색상이 푸른색이면 롱 포지션 진입!
    • 손절: 직전 저점 부근
    • 익절: CVD 캔들이 노란색 중심선 아래로 내려오거나 구름대를 터치할 때
  • 숏 포지션:

    • CVD 캔들이 노란색 중심선 아래에 있어야 해.
    • 동시에 구름대 아래에 있어야 해.
    • 최근 구름대 색상이 노란색이면 숏 포지션 진입!
    • 손절: 직전 고점 부근
    • 익절: CVD 캔들이 노란색 중심선 위로 올라오거나 구름대를 터치할 때

최적화 CVD 지표 설정 방법

이 최적화 CVD 지표를 사용하려면 트레이딩 뷰에서 직접 설정해야 해.

  1. 트레이딩 뷰 좌측 하단 '파인 에디터' 클릭
  2. 새로 만들기 클릭
  3. 인디케이터 클릭
  4. 지표 코드 소스를 복사해서 붙여넣고 '차트에 넣기' 클릭

이 지표 코드 소스는 유튜브 채널 구독자에게만 무료로 공유된다고 하니, 구독과 좋아요를 누르고 댓글에 구독자라고 남기면 받을 수 있다고 해.

이제 CVD 지표를 잘 활용해서 성공적인 트레이딩 하길 바라!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