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D 고래 매수·매도 신호를 한눈에 파악하는 유일한 비밀지표!
CVD 지표, 이게 뭐길래?
트레이딩 하는 사람들 중에 돈을 잃는 사람이 많다고 하잖아? 근데 이건 다 심리 때문이래. 트레이딩 심리학 전문가인 닥터 브레트 스탠버거가 하는 말인데, 트레이딩은 사람이 하는 거라 모든 패턴은 심리에서 나온다는 거야.
스탠버거 박사는 트레이딩할 때 "내가 누구한테 돈을 버는지 알아야 한다"고 말했어. 트레이딩은 결국 누군가 돈을 벌면 누군가는 잃는 제로섬 게임인데, 돈을 잃는다면 그 돈을 번 사람의 패턴을 읽어야 한다는 거지.
그래서 스탠버거 박사가 추천한 게 바로 CVD 지표야. CVD는 Cumulative Volume Delta의 약자로, 우리말로 하면 누적 거래량 변화라는 뜻이야. 특정 기간 동안 매수 거래량과 매도 거래량의 차이를 계속 쌓아서 보여주는 지표지.
CVD, 왜 중요할까?
CVD는 RSI나 MACD처럼 공식적인 기술 지표는 아니야. 책이나 논문에 정식으로 정의된 적도 없고, 모든 차트 프로그램에 기본으로 깔려 있지도 않아. 그런데도 전문가들은 CVD를 "실질적인 매수/매도 힘을 파악하는 거의 유일한 지표"이자 "세력의 힘을 추적하는 데 가장 유용한 지표"라고 평가해. 그래서 공식 지표는 아니지만, 실전 성과로 인해 업계 표준처럼 쓰이는 몇 안 되는 지표 중 하나지.
시장 구조와 CVD의 관계
CVD를 이해하려면 시장 구조를 알아야 해. 시장에는 두 종류의 참여자가 있어.
- 마켓 메이커 (거래를 유도하는 참여자): 지정가로 거래를 체결하는 사람들을 말해. 특정 가격대에 주문을 쌓아두는 역할을 하지. 마치 사과 가게에서 "이 가격에 사겠다"고 예약해 놓는 것처럼 말이야. 이들은 시장에서 가격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해.
- 마켓 테이커 (거래를 따라가는 참여자): 시장가로 거래를 체결하는 사람들을 말해. "지금 시장 가격으로 사겠다"고 바로 거래하는 거지. 이들은 마켓 메이커가 쌓아둔 가격대를 뚫고 가격을 움직이는 역할을 해.
세력이라고 불리는 큰 자금을 가진 사람들은 주로 마켓 메이커 형태로 매집하거나, 마켓 테이커 형태로 가격을 움직여.
- 지정가 주문 (마켓 메이커) > 시장가 주문 (마켓 테이커): 가격 변동성이 적고 특정 가격대에서 유지되는 것처럼 보여.
- 시장가 주문 (마켓 테이커) > 지정가 주문 (마켓 메이커): 가격 변동성이 커지고 가격이 크게 오르거나 내리지.
결국 시장 가격을 움직이는 건 큰 금액으로 시장가 주문을 하는 사람들이야. CVD 지표는 바로 이 시장가 거래량에서 매수 거래량이 더 많은지, 매도 거래량이 더 많은지를 파악하는 지표인 거지. 그래서 CVD를 보면 시장을 움직이는 세력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고 하는 거야.
CVD 지표, 어떻게 표기될까?
CVD 지표는 차트 하단에 표시되는데, 계산 원리는 간단해.
체결된 시장가 거래량 중 (매수 거래량 - 매도 거래량)
- 매수 거래량이 많으면: 0선 위로 올라가고, 올라가는 폭이 클수록 상승세가 강하다는 뜻이야.
- 매도 거래량이 많으면: 0선 아래로 내려가고, 내려가는 폭이 클수록 하락세가 강하다는 뜻이야.
이 계산된 값을 계속 누적해서 선이나 캔들로 보여주는 게 CVD 지표야. 예를 들어,
- 1일차: 매수 5,000원, 매도 0원 -> 델타값 +5,000원 (누적 +5,000원)
- 2일차: 매수 10,000원, 매도 0원 -> 델타값 +10,000원 (누적 +15,000원)
- 3일차: 매수 0원, 매도 5,000원 -> 델타값 -5,000원 (누적 +10,000원)
이렇게 계산된 누적값이 CVD 선으로 그려지는 거지.
CVD 지표, 어떻게 사용할까?
1. 기본 사용법:
- 매매 피하기: CVD 캔들이 0선 근처에서 왔다 갔다 할 때는 웬만하면 매매를 피하는 게 좋아.
- 롱 포지션 진입: CVD 캔들이 0선 위로 올라가서 양봉 캔들이 나오면, 그 가격대에서 롱 포지션(상승에 베팅)을 진입해 볼 수 있어.
- 숏 포지션 진입: CVD 캔들이 0선 아래로 내려가서 음봉 캔들이 나오면, 그 가격대에서 숏 포지션(하락에 베팅)을 진입해 볼 수 있어.
2. 다이버전스 활용:
- 롱 포지션: 가격은 계속 낮아지는데 CVD 지표는 저점을 높이고 있다면? 이건 아래에서 누군가 매집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어. 지지를 받고 상승 추세로 바뀔 확률이 높으니 롱 포지션 진입을 고려해 볼 수 있지.
- 숏 포지션: 가격은 계속 높아지는데 CVD 지표는 고점을 낮추고 있다면? 이건 위에서 누군가 매도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어. 저항을 받고 하락 추세로 바뀔 확률이 높으니 숏 포지션 진입을 고려해 볼 수 있어.
CVD 지표의 한계점과 최적화 방법
CVD 지표는 장이 열리고 닫힐 때마다 거래량이 초기화되기 때문에, 장 초반에 진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
이걸 보완하기 위해 스탠버거 박사는 최적화 CVD 지표를 만들었어. 이건 최근 거래량을 기준으로 가중 평균해서 계산하기 때문에 끊김 없이 지속적으로 표시돼.
최적화 CVD + 일목 균형표:
이 최적화 CVD 지표에 일목 균형표를 결합하면 더 정확한 타점을 잡을 수 있어.
-
롱 포지션:
- CVD 캔들이 노란색 중심선 위에 있어야 해.
- 동시에 구름대 위에 있어야 해.
- 최근 구름대 색상이 푸른색이면 롱 포지션 진입!
- 손절: 직전 저점 부근
- 익절: CVD 캔들이 노란색 중심선 아래로 내려오거나 구름대를 터치할 때
-
숏 포지션:
- CVD 캔들이 노란색 중심선 아래에 있어야 해.
- 동시에 구름대 아래에 있어야 해.
- 최근 구름대 색상이 노란색이면 숏 포지션 진입!
- 손절: 직전 고점 부근
- 익절: CVD 캔들이 노란색 중심선 위로 올라오거나 구름대를 터치할 때
최적화 CVD 지표 설정 방법
이 최적화 CVD 지표를 사용하려면 트레이딩 뷰에서 직접 설정해야 해.
- 트레이딩 뷰 좌측 하단 '파인 에디터' 클릭
- 새로 만들기 클릭
- 인디케이터 클릭
- 지표 코드 소스를 복사해서 붙여넣고 '차트에 넣기' 클릭
이 지표 코드 소스는 유튜브 채널 구독자에게만 무료로 공유된다고 하니, 구독과 좋아요를 누르고 댓글에 구독자라고 남기면 받을 수 있다고 해.
이제 CVD 지표를 잘 활용해서 성공적인 트레이딩 하길 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