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 해설과 정리: '신은 죽었다'의 비밀과 현대 문화 영향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 니체는 1889년 말 광기 상태에 빠졌어요. 그 이후 10년간 미쳐 있었어요.
- 그는 우리 모두가 니체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믿어요. 특히 한국 사람들은 그렇다고 봐요.
- 하이데거는 니체를 철학의 전환점으로 봤고, 들뢰즈는 니체를 새 철학의 창조자로 평가했어요.
- 니체는 음악, 미술, 문학, 철학, 문화사에 큰 영향을 미쳤어요.
- 그는 ‘철학’이 아닌 ‘철학적 사건’에 가깝다고 생각했어요.
- 니체의 반기독교적 영향력은 엄청나요. 그는 ‘신은 죽었다’라는 말을 유명하게 만들었어요.
- 니체는 성경과 기독교를 비판하며, 그들의 도덕과 가치관을 공격했어요.
- 그는 ‘초인’(위버멘쉬) 개념 아래, 5가지 핵심 사상을 제시했어요.
- 첫째, 형이상학을 혐오했고,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것만 중요시했어요.
- 둘째, ‘선’(좋음)에 반대하며, 기존 도덕을 비판했어요.
- 셋째, 노예도덕과 주인도덕을 대립시켜, 강한 주인도덕을 강조했어요.
- 넷째, ‘영원회귀’ 개념으로, 모든 것이 반복돼도 긍정하라고 했어요.
- 다섯째, ‘퇴폐’(데카당스)를 비판하며, 생명력과 강인함을 강조했어요.
- 니체는 ‘형이상학적’ 개념들을 싫어했고, 현실과 몸에 기반한 사고를 지향했어요.
- 그는 ‘선’을 부정하며, ‘좋음’과 ‘도덕’을 강하게 비판했어요.
- 노예도덕은 약함과 복수심에서 나온 것이라 봤어요.
- 주인도덕은 힘과 능동성을 강조하며, 능력 있는 자들이 가치 있다고 봤어요.
- ‘영원회귀’는 모든 것이 반복돼도 사랑하라는 의미예요.
- ‘퇴폐’는 생명력 없는 무기력 상태를 의미해요.
- 니체는 플라톤, 기독교, 성직자들을 강하게 비판했어요.
- 그는 기독교가 삶과 자연을 부정한다고 봤어요.
- 마누법전 같은 고대 법전이 삶을 긍정하는 반면, 성경은 부정적이라고 평가했어요.
- 그는 ‘신’의 몰락과 기독교의 타락을 강하게 비판했어요.
- 니체는 ‘운명애’를 통해 삶을 긍정하고, 강한 인간을 추구했어요.
- 마지막으로, 그는 ‘우상 파괴’를 통해 새로운 가치 창조를 꿈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