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적 문헌 리뷰 완전 정복! Rayyan 사용법 쉽게 배우기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Rayyan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쉽게 하기
안녕하세요! 저는 도서관에서 교수님으로 일하고 있는 Erin Owens라고 해요. 저는 학생들이나 교수님들이 연구를 계획하고, 진행하고, 결과를 알리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를 도와주는 일을 하고 있어요.
오늘은 Rayyan이라는 도구를 사용해서 체계적 문헌고찰을 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줄게요.
체계적 문헌고찰, 왜 할까?
체계적 문헌고찰은 특정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기준에 맞는 모든 연구 증거를 모으는 과정이에요.
- 꼼꼼하게 모든 증거를 모으는 게 중요해요.
-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진행해야 해요.
- 정확하고 명확한 연구 질문에서 시작해야 해요.
이런 과정을 거치는 이유는 연구 결과를 더 믿을 수 있고, 편견을 줄이기 위해서예요. 모든 과정을 투명하고 재현 가능하게 만드는 게 목표죠.
체계적 문헌고찰 과정 (Rayyan이 어디서 쓰일까?)
- 연구 질문 정의: 뭘 알고 싶은지 명확하게 정해요.
- 포함/제외 기준 설정: 어떤 연구를 포함하고 어떤 연구를 제외할지 기준을 정해요. (예: 특정 연구 방법, 특정 대상, 특정 연도)
- 검색할 데이터베이스 찾기: 어떤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를 찾을지 정해요.
- 검색 전략 만들기: 연구 질문에 맞는 핵심 단어들을 조합해서 검색어를 만들어요.
- 데이터베이스별 검색 전략 적용: 각 데이터베이스에 맞게 검색어를 조금씩 바꿔서 적용해요.
- 검색 결과 다운로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찾은 연구 목록을 다운로드해요. 여기서부터 Rayyan을 쓸 수 있어요!
- 중복 제거: 여러 데이터베이스에서 같은 연구가 중복으로 나올 수 있으니, 중복을 제거해요. Rayyan이 이 과정을 도와줘요.
- 제목과 초록 검토: 여러 사람이 함께 제목과 초록만 보고 포함할지 말지 결정해요. Rayyan에서 이 과정을 할 수 있어요.
- 전문 검토: 제목과 초록에서 포함하기로 결정된 연구들의 전문을 읽고 최종적으로 포함 여부를 결정해요. Rayyan에서 이 과정도 할 수 있어요.
- 분석 및 결과 보고: 최종적으로 포함된 연구들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투명하게 보고해요.
Rayyan, 어떤 도구일까?
Rayyan은 웹 기반 앱이라서 인터넷만 되면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어요. 따로 설치할 필요도 없고요.
- 무료 버전도 꽤 괜찮아요. 유료 버전은 더 많은 기능이 있지만, 무료로도 충분히 많은 걸 할 수 있어요.
- 팀으로 작업하기 좋아요. 여러 사람이 함께 연구를 진행할 때 유용해요.
- PRISMA 흐름도도 만들어줘요. (유료 기능)
Rayyan 시작하기
- Rayyan.ai 접속: 웹사이트에 접속해서 이메일 주소와 국가 정보만 입력하면 계정을 만들 수 있어요.
- 새로운 프로젝트 만들기:
- 왼쪽 메뉴에서 "Create new review"를 눌러요.
- 프로젝트 제목, 설명, 연구 유형 (체계적 문헌고찰 등), 분야 등을 입력해요.
- 검색 결과를 바로 업로드해도 되고, 나중에 해도 돼요. (Skip 가능)
- 팀원을 초대할 수 있어요. (나중에 추가해도 돼요.)
- 팀원 역할:
- Viewer: 보기만 할 수 있어요.
- Reviewer: 연구를 검토하고 결정할 수 있지만, 프로젝트를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는 없어요.
- Collaborator: 대부분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요. (프로젝트 생성자는 가장 많은 권한을 가져요.)
Rayyan 주요 기능
1. 중복 제거 (Deduplication)
- 여러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온 연구 목록에서 중복된 것을 찾아줘요.
- Rayyan이 중복 가능성이 있는 연구들을 보여주면, 우리가 직접 확인하고 결정해야 해요.
- "Review data" 탭에서 "Detect duplicates"를 눌러서 시작할 수 있어요.
2. 스크리닝 (Screening)
- 블라인딩 기능: 다른 팀원의 결정을 보지 않고 독립적으로 검토할 수 있게 해줘요. (중요!)
- 검토 과정:
- "Screening" 탭으로 이동해서 "blind on" 상태인지 확인해요.
- 왼쪽에 연구 목록이 뜨고, 클릭하면 오른쪽에 연구 정보(제목, 초록 등)가 떠요.
- 연구를 읽고 포함(Include), 보류(Maybe), 제외(Exclude) 버튼으로 결정해요.
- 제외할 때는 이유를 선택하고, 필요하면 메모를 남길 수 있어요.
- 라벨 기능: 특정 키워드나 주제에 대해 사용자 정의 라벨을 만들어서 붙일 수 있어요. (예: "메타분석")
- 검색 기능: 특정 키워드로 연구를 검색하거나, 제안된 키워드로 필터링할 수 있어요.
- 유료 기능: 일부 고급 필터링 기능은 유료 계정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요.
3. 충돌 해결 (Resolving Conflicts)
- 모든 팀원이 스크리닝을 마치면, "blind off"로 바꾸고 서로의 결정을 확인해요.
- 의견이 다른 연구(충돌)를 찾아서 함께 논의하고 최종 결정을 내려요.
- 중요: Rayyan에서는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결정을 직접 수정할 수 없어요. 결정이 바뀐 팀원이 직접 자신의 결정을 수정해야 해요.
4. 전문 검토 (Full-text Screening)
- Rayyan은 한 프로젝트에서 여러 번의 스크리닝 라운드를 지원하지 않아요.
- 따라서 제목/초록 스크리닝이 끝나면, 포함된 연구 목록을 내보내기(export) 해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고 거기서 전문 검토를 진행해야 해요.
- "Screening" 탭에서 "included" 또는 "included and maybe"로 필터링한 후, 3점 메뉴를 눌러 "export"를 선택해요.
-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 때 이 내보낸 파일을 업로드하면 돼요.
- 전문 검토 시에는 연구에 포함된 URL을 통해 실제 논문을 열어서 꼼꼼하게 읽고 최종 결정을 내려요.
5. Compute Ratings (선택 사항)
- 어느 정도 결정이 쌓이면 (최소 50개 결정, 포함/제외 각 5개 이상), 인공지능이 학습해서 다른 연구들의 포함 가능성을 예측해줘요.
-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AI의 추천을 맹신하기보다는 참고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아요.
PRISMA 흐름도
-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를 보고할 때 자주 사용되는 다이어그램이에요.
- Rayyan 유료 버전에서 자동으로 생성해주지만, 무료로도 다른 도구를 사용해서 만들 수 있어요.
다른 유용한 도구들
Rayyan 외에도 체계적 문헌고찰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도구들이 있어요.
- Covidence: 유명한 도구지만 유료이고 가격이 좀 있어요. 데이터 추출 기능도 지원해요.
- SysRev, Pico Portal: 무료/유료 버전이 모두 있고, Pico Portal은 한 번에 하나의 프로젝트만 관리할 수 있다는 제약이 있어요.
- HubMeta: 완전히 무료지만, 설명 자료가 부족한 편이에요.
추가 자료
- Rayyan 도움말 센터
- 체계적 문헌고찰 관련 핸드북, 매뉴얼
-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교육 자료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물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