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미국증시 하락? CPI, PPI 분석 끝! 엔비디아, 테슬라 지금 사도 될까?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미국 증시, 금리 인하 가능성으로 안정될까?

이번 주 발표된 미국 물가 지표(CPI, PPI)와 소매 판매 지표를 분석해서 앞으로 미국 증시가 어떻게 될지 알아보자!

1. 유동성 문제와 금리 인하 기대감

  • 미국 재무부 TGA 잔고: 미국 정부가 돈을 많이 쓰면서 재무부 계좌(TGA)에 돈이 줄어들면 시장에 돈이 풀려서 좋지만, 반대로 계좌를 채우려면 돈을 거둬들여야 해서 시장 유동성이 줄어드는 문제가 생겨. 이걸 조심해야 한다고 계속 말했었지.
  • 금리 인하 가능성: 그런데 미국 고용 지표가 안 좋게 나오면서 9월에 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엄청 높아졌어. 트럼프가 지지하는 연준 의원도 늘어나면서 금리 인하 시기가 빨라질 수도 있다는 기대감이 커졌지.

2. 물가 지표 발표와 시장 반응

  • CPI 지표:

    • 근원 CPI (에너지, 식료품 제외): 예상보다 조금 높게 나왔어.
    • 전체 CPI (에너지, 식료품 포함): 예상보다 조금 낮게 나왔어. 이건 유가랑 천연가스 가격이 내려서 그런 거야.
    • 상세 분석: 서비스 물가는 조금 올랐고, 상품 물가는 계속 오르고 있었어. 특히 자동차 수리비나 항공 운임이 올랐는데, 이건 관세 때문이라기보다는 사람들이 차를 고쳐 타거나 여행 수요가 늘어서 오른 걸로 보여. 즉, 관세 때문에 물가가 폭등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거지.
    • 결론: CPI 지표만 보면 좀 애매했지만, 상세히 보면 관세 때문에 물가가 크게 올랐다고 보긴 어렵고, 오히려 금리 인하 가능성을 더 높이는 결과로 해석됐어. 시장은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100%로 보고 0.5%p 금리 인하까지 기대했었지.
  • PPI 지표:

    • 결과: 예상보다 높게 나왔어. 이건 생산자 물가 지수인데, 소비자 물가 지수에 영향을 주는 선행 지표야. 관세 때문에 오른 것으로 보여.
    • 시장 반응: PPI 지표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서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100%에서 85% 정도로 내려갔고, 0.5%p 금리 인하 기대감도 사라졌어.
  • 소매 판매 지표:

    • 결과: 예상보다 조금 낮았지만, 미국 소비력은 여전히 남아있다는 걸 보여줬어.
    • 시장 반응: 소비력이 남아있다는 건 물가 상승 압력이 있다는 뜻이라 금리 인하 가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줬어.

3. 앞으로의 변수와 전망

  • 9월 금리 인하 가능성: PPI와 소매 판매 지표 때문에 금리 인하 가능성이 조금 줄었지만, 여전히 80~90% 정도로 높게 유지되고 있어. 따라서 큰 폭의 하락보다는 적절한 조정이 나올 가능성이 높아.
  • 잭슨 미팅 (8월 21일): 파월 의장의 발언이 중요해. 아마 9월 지표까지 확인하고 금리 결정을 하겠다는 식으로 말할 가능성이 높아. 큰 악재보다는 원론적인 이야기가 나올 것으로 예상돼.
  • 엔비디아 실적 발표 (8월 27일): 중국 수출 관련 이슈로 실적 가이던스가 예상보다 낮게 나올 가능성이 있어. 하지만 시장 전체에 큰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닐 것으로 보여.
  • 남은 지표: 앞으로 발표될 GDP, PC 지표 등도 중요하지만,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게 유지되는 한 큰 폭의 하락은 없을 것으로 예상돼.

4. 투자 전략

  • TGA 잔고 7,000억 달러까지 기다리기: 시장 유동성 악재가 끝나는 시점인 TGA 잔고가 7,000억 달러까지 채워질 때까지는 서두르지 말고 기다렸다가 매수하는 것이 좋아.
  • 정보 습득: 실시간 뉴스는 '리얼 미국 주식 속보' 텔레그램 채널을 참고하고, 앞으로 나올 영상들도 꾸준히 보면서 시장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

결론적으로, 물가 지표 발표로 인해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간 흔들리긴 했지만, 여전히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높기 때문에 미국 증시가 크게 폭락할 가능성은 낮아. 다만, TGA 잔고가 채워지는 과정에서 일시적인 조정은 나올 수 있으니 신중하게 투자하는 것이 좋겠어!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