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요약 제목

주택담보대출 상환 방법 정리와 최고의 이득 비법 안내

원본 제목

주택담보대출 상환은 이렇게 하는게 가장 이득입니다~

투동자 연구소

조회수 조회수 538.7K 좋아요 좋아요 7.7K 게시일 게시일

설명

원금균등, 원리금균등, 체증식 상환 방식을 알아보고, 이자액 계산을 통해 가장 이득이 많은 방식에 관한 영상입니다 00:00 시작 00:44 청년층에게 마냥 유리하지 않은 체증식? 01:18 주택담보대출 상환 방식 3가지 01:44 원금균등 상환 02:38 원리금균등 상환 03:20 체증식 상환 04:35 상환 방식에따른 이자액 차이 05:20 대출 상환 고려사항 1. 인플레이션 07:57 대출 상환 고려사항 2. 자금운용능력 09:08 마무리 & 요약 ================================= 2천만원까지 연 4% 이율 파킹통장 (23.09.05 기준) https://youtu.be/RAp6FosvR0U ================================== 멤버십 전용 영상, 투동자 가계부 및 GSheets를 통해 경제적 자유로가는 로드맵을 함께 완성해봅시다 [투동자 연구소 멤버십 가입] 🌟https://www.youtube.com/channel/UC-MEO1HFZ_lAG8aBxnw8zOQ/join [사칭방주의!!] 🚫투동자 연구소는 네이버카페와 유튜브만 운영중입니다. 이외 모든 플랫폼은 사칭 채널임을 미리 밝힙니다. 평범한 직장인이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한 정보를 나누는 공간을 만들었습니다. [투동자 연구소 네이버 카페 보러가기] 🍳https://cafe.naver.com/twodongja [투동자 연구소 구독하기] 🤝https://url.kr/1obrza 비즈니스 메일 📧Twodongja@gmail.com #주택담보대축 #원금균등 #원리금균등 #체증식
자막

자막

전체 자막 보기
아무쪼록 오늘 영상 보셔서 담보대출을 빌렸을 때 원금균등 상황 원리금 균등상은 최준식 상환이 뭔지 이렇게 알게 되셨고 그 다음에 아이 금액 계산을 좀 해보니까 어떤게 이득인지 알 것 같다 이렇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음악] 안녕하세요 수동자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주택담보대출 상환 방식 중에 어떤 것을 선택하는 것이 이득일까 뭐 요거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저도 이제 재작년에 신축 아파트를 사서 중도금 대출 다 하고 잔금만 남은 상태인데 잔금은 칠 때 이제 주택담보 대출을 할 거 아니에요 그때 어떤 상황 방식을 고르는게 좀 이득인지 뭐 이런 거를 한번 생각을 해보려고 계산을 좀 해봤습니다 지금 이거는 제가 스크린샷을 찍은 건데 SBS 뉴스에서 작년에 유튜브에 올린 그런 기사예요 그래서 청년층은 최정식 상환이 유리하다고 잘 따져보고 들어가야 된다 뭐 이런 거죠 보통 주택담보대출 이제 많이 해보신 분들은 최정식이 유리하다 뭐 이렇게 알고 있죠 근데 sbs에서 꼭 최정식이 유리한 것만은 아니다 청년층이라면 40년 만기 대출이라면은 최정식이 좀 부담이 될 수도 있다 뭐 이런 기사였어요 근데 뭐 이것도 맞는 말이기는 한데 요게 진짜 맞는 말인지 한번 계산을 통해서 제가 생각하는 거를 한번 이야기해 볼까 해요 일단은 주택담보 대출 상한 방식이 어떤 것이 있는지 모르는 분이 있을 수도 있으니까 간단하게 설명을 할게요 보통은 이제 신혼부부라든지 아니면 생애최초 주택을 구매하시는 분들 같은 경우에는 보통 디딤돌 대출이나 보금자리로 오늘 이용을 하실 거예요 정부에서 지원을 해주는 그런 담보대출로 진행을 하면은 세 가지 방식 중에 하나를 골라야 되죠 원금균등 상환 원리금 균등상환 체증식 상환 뭐 이렇게 되는데 원금 균등 상환은 말 그대로 원금을 균등하게 사용하는 거예요 그래서 상한 원금이 이렇게 돼 있고 납부액이 서서히 내려가는 요렇게 됩니다 제가 여기 예시를 들었는데 대출금이 3억이고 대출 기간이 30년이에요 그리고 이자율은 2.

5%라고 이렇게 가정을 해 볼게요 왜 2.

5%냐 하면은 뭐 디딤돌 대출로 하면은 뭐 신혼부부의 애 하나 있고 이러면은 2.

5%까지 지금 되는 걸로 제가 알고 있는데 아무튼 이렇게 되면은 원금균등 상환은 상하은 원금이 833,333원입니다 그러니까 원금을 83만 3천 333원을 계속까 내려가는 거예요 360회까지 계속 부립을 하는 거죠 그러면은 다달이 낼 때마다 원금이 까이기 때문에 이자가 계속 줄어드는 걸 볼 수 있죠 그러면 당연히 나쁜 금액이 계속 줄어들죠 그것 때문에 이런 그래프가 만들어지는 거죠 상한 원금은 계속 일정하고 납부액은 줄어든다 뭐 이렇게 되는 건데 이게 원금 균등 상환이에요 두 번째는 원리금 균등 상환입니다이 원리금이라는 거는 원금과 이자를 얘기합니다 그래서 원금과 이자를 균등하게 상환한다 뭐 이런 거예요 원금 균등상화는 상환 원금이 일정했다면 원리금 균등 상환은 납부액이 일정하게 됩니다 납부액이 일정하게 되고 우리가 갚아나가는 원금은 점점 커지는 요런 형태를 보이게 돼요 그래서 숫자를 좀 보면은이 원리금균등 상환은 납부액이 118만 5천 363원 이렇게 해서 쭉 똑같아요 360회까지 이렇게 쭉 똑같은데 상한 원금은 조금씩 늘어나게 되고 거기에 따라서 이자는 조금씩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어요 그래서 이렇게 쭉 360개월이 다 지나면 0원이 된다 뭐 이런 거죠 이게 그리고 세 번째가 체증식 상환이에요 체증식 상환은 360개월 동안 상하 원금을 일정하게 증가시켜서 360개월 만에 대출금을 갚는 거예요 그래서 상암 원금이 이렇게 늘어나게 되죠 이렇게 늘어나게 되고 납부액도 이렇게 늘어나게 되죠 왜냐면 원금이 크게 늘어나다 보니까이 납부액 자체가 이렇게 쭉 상승하는 거를 볼 수가 있어요 이렇게 쭉 상승을 하죠 그래서 이런 세 가지 방식이 있는데 보통 사람들이 체증식 상환을 선호하는 이유가 일단 납부액이 적잖아요 그래서 이렇게 3억을 30년간 빌렸다고 가정했을 때 원금균등은 145만원을 내야 되고 체증식은 62만원만 첫달에 내면 되잖아요 그래서 이렇게 쭉 내려갔는데 그러니까 12개월 동안 내가 낸 금액을 더해보면 원금균등은 1,700만원이에요 근데 원리금 균등 상환은 1400만원이고 최정식은 770만원 밖에 안 됩니다 그러니까 보통은 최준식 상환을 사람들이 선호를 하죠 왜냐면은 이제 주택을 투자자산이라고 생각하고 한 5년 정도 후에 내가 팔거다 뭐 이런 생각을 해서 5년 정도면 4300만원만 내다가 이제 내가 매도하고 그 다음에 대출금을 다 갚고 하다 보면은 훨씬 자금을 잘 굴릴 수 있으니까 보통 그렇게 이제 생각을 하고 체증식 상환을 무조건 한다 뭐 이렇게 생각을 하시는 거 같아요 그리고이 sbs에서 최준식 상환을 잘 따져봐야 된다고 이야기하는 그 근거는이자 합계에 있습니다이자 합계 360개월 동안에 이자의 합계를 제가 여기다가 다 산출을 해놨는데 원금 균등 상하는 1억 1000 원리금균등이 1억 2천 최정식이 1억 5천 정도 돼요 그러니까 이자를 훨씬 많이 내야 되니까 청년들은 좀 주의를 해야 되는 거 아니냐 뭐 이런 건데 저는 개인적으로이 이자학계를 바탕으로 최정식이 유리하냐 원금 균등이 유리하냐 뭐 이런 거를 따지는 거는 좀 무리가 있다고 봐요 왜냐면은이 단순히이자 합계에는 인플레이션이나 아니면 자금 운용 능력이 들어가 있지 않으니까 그래서 그거를 한번 제가 좀 이해하기 쉽게 제가 계산을 하면은 [음악] 인플레이션을 이렇게 생각을 안 해 볼 수가 없죠 그러니까 대한민국의 지난 30년간 인플레이션은 약 2.

93% 정도 돼요 근데 이제 일단은 그냥 좀 타이트하게 잡는다고 생각을 해서 인플레이션 3%로 잡고 그러면 그거를 월변환할 수 있겠죠 월변화를 해서 내가내는 원금균등 상환과 원리금균등 상환 최종식 상환에 매달 불입하는 납부액의 현재 가치를 확인을 해 보는 거야 미래의 가치는 뭐 현재가치 1+ 할인율 n승 뭐 이런 식으로 해서 계산을 하는데 지금 이번 달에 내가 3억을 빌렸다 그래서 이렇게 돈을 냈다 하면은이 1458,000원에 현재 가치는 1458,000원이죠 그리고 다음 달에내는 1456,000원의 현재 가치는 1453,000원이 됩니다 그러니까 미래의내는 돈에 현재 가치를 이렇게 따져볼 수가 있어요 그래서 최진식 상황 같은 경우에는 납부액을 맨 마지막에 굉장히 많이내는 시기잖아요 360회차 때내는 190 현재의 가치로 환산하면 786,000원 밖에 되지 않습니다 인플레이션 3%를 고려했을 때 그래서 이렇게 쭉 미래에 내가 내야 되는 납부액의 현재 가치를 구한 다음에 그거를 전체에 다 더하게 되면은 요렇게 됩니다 현재가치로 환산한 납부금액이 합계는 원금균등 상하는 2억 8천 4백 원리금균등상화는 2억 8천 3백 세 증식은 2억 7,900만원 정도가 되는 거죠 그러니까 인플레이션 3%를 고려한다면 최정식이 원금균등 상환 방식보다는 훨씬 이득인 거야 한 500만원 정도 그렇게 2등인 거를 볼 수 있죠 그러니까 이자를 많이 냈다고 하더라도 인플레이션을 고려하면은 이렇게 최정식이 훨씬 유리할 수 있다 뭐 이렇게 되는 거죠 근데 인플레이션을 3%로 이렇게 잡아서 그런데 만약에 인플레이션이 높지가 않다 2% 밖에 안 된다 하면은 원금균등 상환이 훨씬 이득이게 돼요 근데이 인플레이션이 많이 있잖아요 그러니까 결론적으로는 무조건 최정식 상환이 무리하다고 볼 수도 없고 무조건 분리하다고 볼 수도 없는 거예요 물론 아까 얘기했던이 납부액을 처음에 적게 낸다 뭐 요거는 그냥 논외로 놓고 그냥 돈의 총 액수로 봤을 때 그냥 내가 내야 되는 돈의 현재 가치로 환산한 그 나쁜 금액의 총액으로 봤을 때 이렇게 된다는 거예요 이거는 인플레이션이 어떻게 되느냐 그리고 내 이자율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서 내 이자율보다 인플레이션이 높을 것 같으면은 최정식이 유리하게 되고 내가 빌린 대출에 이자율보다 인플레이션이 낮을 것 같으면은 원금 균등 상환이 유리하게 됩니다 그 중간 정도는 이제 원리금 균등 상환이 되겠고요 이렇게 인플레이션으로 생각을 해보는 것도 첫 번째가 되겠고 두 번째로는 내가 운용 능력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서도 다른 거예요 지금 파킨 통장 이율이 뭐 대략적으로 3.

5% 정도 된다 3.

5% 정도 된다고 치면은 또 체증식이 훨씬 유리하게 됩니다 그러니까 아까 인플레이션에서 얘기했던 거와 비슷한 얘기에요이 파킨 통장 이율로 제가 변환을 한 거는 어떤 방식이냐면은이 3억이 내가 있다고 가정을 하고 한번 계산을 해 보자 이거에요 내가 있다고 가정을 한다면은 레버리지를 사용하기 위해서 3억을 안 쓰고 그냥 사목을 빌렸다 뭐 이렇게 생각을 하는 거죠 만약에 그렇게 되면은 매달 내가 낼 수 있는 수익률에 맞춰서이 금액이 남게 되는데 3.

5% 정도면은 체증시간 4,500만원 정도 남게 되고 원금균등 상환은 3400만원 정도가 남게 돼요 우린 그니까 내가 돈을 갖고 있는 입장이고이 돈을 굴릴 수 있는 능력이 적어도이 이자율보다 높다라고 생각이 든다면 무조건 최정식을 선택을 하는게 이득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뭐 한 6% 정도로 내가 불릴 수 있는 능력만 있어도이 30년 동안 원금 균등 상환보다 약 9천만원 정도 그렇게 이득인 걸로 그렇게 확인이 돼요 그래서 저같은 경우에는 이제 체증식 상환을 하려고 하는데 이제 나이 때문에 걸려서 또 공동명의로 하고 뭐 이런 과정이 좀 필요할 것 같은데 아무튼 뭐 체증식 상환에 대해서 뭐 얘기들이 많아요 뭐 유리하다 유리하지만은 않다 뭐 이렇게 얘기해 주시는 분들이 많은 거 같은데 이렇게 금액을 계산을 해서 인플레이 션과 뭔가 내가 불릴 수 있는 운용 능력과 뭐 이런 거를 비교를 해주는 영상을 제가 보지 못한 것 같아 가지고 제 것도 한번 계산할 겸 해 가지고 한번 준비를 해봤습니다 아무쪼록 오늘 영상 보셔서 담보대출을 빌렸을 때 원금균등 상황 원리금균등상은 최준식 상환이 뭔지 이렇게 알게 되셨고 그 다음에 아이 금액 계산을 좀 해보니까 어떤게 이득인지 알 것 같다 이렇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영상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영상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구독하기 알림 설정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음악]
영상 정리

영상 정리

1. 오늘 영상에서는 담보대출 상환 방식을 설명했어요.

2. 원금균등, 원리금균등, 체증식 상환 방식을 소개했어요.

3. 원금균등은 매달 원금이 같아 납부액이 줄어요.

4. 원리금균등은 매달 납부액이 같고 원금이 늘어요.

5. 체증식은 납부액과 원금이 점점 늘어나는 방식이에요.

6. 보통 체증식을 선호하는 이유는 초기 부담이 적어서예요.

7. SBS 뉴스는 최준식 상환이 무조건 유리하지 않다고 했어요.

8. 계산 결과, 인플레이션과 운용 능력에 따라 달라져요.

9. 인플레이션이 높으면 최준식이 유리할 수 있어요.

10. 인플레이션이 낮으면 원금균등이 더 유리할 수 있어요.

11. 내 자금 운용 능력도 중요한 판단 기준이에요.

12. 예를 들어, 이자율보다 높게 운용하면 최준식이 유리해요.

13. 반면, 낮으면 원금균등이 더 이득일 수 있어요.

14. 결론은 인플레이션과 운용 능력에 따라 달라진다는 거예요.

15. 오늘 영상이 담보대출 선택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