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Psychologist, Donald Hoffman: Seeing True Reality Would Kill Us! I Can Prove It To You!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현실은 우리가 보는 게 전부가 아니야!
우리가 보고 느끼는 이 세상이 진짜 세상이 아닐 수도 있다는 이야기야. 마치 우리가 태어날 때부터 VR 헤드셋을 끼고 게임을 하는 것처럼 말이지. 이게 바로 우리의 현실이라는 거야.
게임 프로그래머처럼 세상을 바꿀 수 있다면?
만약 우리가 이 게임의 코드를 만든 프로그래머라면, 게임 밖에도 진짜 세상이 있다는 걸 알겠지? 그리고 프로그래머는 기적을 일으킬 수도 있어.
- 시간 여행? 핵폭탄이 그냥 폭죽처럼 보일 정도의 기술?
- 이런 기술들이 판도라의 상자처럼 무서운 것도 있지만, 기적 같은 것도 될 수 있다는 거야.
- 최근 몇 달 사이에 이 상자가 조금씩 열리기 시작했대.
우리가 보는 건 진실이 아니라고?
인지 과학자인 도널드 호프만 교수는 우리가 현실을 어떻게 인식하고, 인간으로서 잠재력을 어떻게 끌어낼 수 있는지에 대한 경계를 넓히고 있어.
- 다윈의 진화론에 따르면, 우리의 눈, 귀, 코, 촉각 같은 감각 기관은 진실을 보여주도록 만들어진 게 아니야.
- 오히려 살아남아서 번식할 수 있도록 생존에 유리하게 진화했다는 거지. 진실을 보는 건 너무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들기 때문이야.
- 그러니까 우리가 경험하는 현실은 실제와는 완전히 다를 수 있다는 거야.
네가 만든 세상, 네가 주인공이야!
만약 네가 지루한 세상에 갇혀 있다면, 그건 네가 만든 세상일 뿐이야. 진짜 세상이 아니라는 거지.
- 우리가 느끼는 모든 경험은 뇌가 만들어낸 거야.
- 그래서 우리는 부족함을 느끼고 다른 사람들과 경쟁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네가 이 모든 걸 만든 발명가야.
- 증명할 필요도 없고, 자신을 바라보는 훨씬 더 흥미로운 관점들이 많아. 네 진짜 모습을 알면 비교하거나 경쟁할 필요가 없다는 걸 알게 될 거야.
진짜 나를 찾는 방법은?
- 진짜 나를 이해하고 싶다면, 이 VR 헤드셋 같은 설명을 넘어서야 해.
- 현실이란 무엇인지, 우리가 보는 세상이 진짜인지 아무도 제대로 모른다는 게 과학의 큰 숙제야.
- 우리가 생각하는 현실은 공간과 시간 안에 있는 모든 것이지만, 사실 공간과 시간 자체가 현실의 근본적인 것이 아니라는 걸 과학이 말해주고 있어.
공간-시간은 그냥 VR 헤드셋일 뿐!
- 우리가 보고 듣고 느끼는 모든 것, 심지어 이 딱딱한 테이블조차 VR 속 물체일 뿐이야.
- 우리가 지금 있는 이 모든 공간도 가상 현실인 거지.
- 이 헤드셋 밖에 진짜 현실이 있고, 과학이 그걸 탐험하고 있어. 최근에는 공간-시간 밖에 있는 기하학적인 물체들도 발견되고 있다고 해.
진화는 생존을 위해 진실을 숨겼다!
- 진화는 우리 감각이 진실을 보게 만든 게 아니라, 살아남아서 번식할 수 있도록 생존에 유리하게 만들었어.
- 수학적으로 증명된 바로는, 우리의 감각 기관이 객관적인 현실의 어떤 측면이라도 진실되게 보도록 진화했을 확률은 0%래.
- 그러니까 우리가 경험하는 건 생존에 도움이 되는 감각 시스템일 뿐이야.
동물들의 다른 현실
- 박쥐는 초음파를 이용해 주변을 감지하고, 소리의 반향으로 세상을 봐. 이건 우리가 보는 것과는 완전히 다른 현실이지.
- 우리가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본다고 생각하는 건 착각일 수 있어. 박쥐처럼 우리도 생존에 유리하게 환경에 맞춰 감각을 발달시켰을 뿐이야.
- 우리가 보는 이 테이블과 컵은 생존을 위한 편리한 가상 현실일 뿐이야. 실제 현실은 우리가 상상하는 것과는 완전히 다를 수 있어.
시뮬레이션으로 증명된 진실
-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진실을 보는 유기체는 멸종했지만, 가상 현실 같은 인터페이스만 보는 유기체는 살아남았어.
- 진실을 보는 건 너무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들기 때문이야. 간단한 속임수나 꼼수가 오히려 생존에 유리할 수 있다는 거지.
- 예를 들어, 호주 딱정벌레 수컷은 맥주병을 암컷으로 착각하고 교미하려고 해. 진화는 암컷을 제대로 보여준 게 아니라, 번식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만 준 거야.
우리는 현실의 0%만 보고 있어!
- 우리가 경험하고 아는 것은 실제 현실에 비하면 아주 사소한 부분일 뿐이야.
- 우리는 현실의 0%만 알고 있고, 과학 이론 역시 현실의 0%만 설명할 뿐이야. 과학 이론은 항상 가정을 포함하기 때문이지.
- 그러니 과학을 하더라도, 우리가 아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걸 알아야 해.
진짜 나를 찾는 길: 명상과 사랑
- 현실은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더 흥미롭고 다양해.
- 영적인 전통에서는 우리가 보는 공간과 시간 너머에 무언가가 있다고 말해. 과학도 결국엔 한계가 있고, 우리가 아는 건 0%에 불과하다는 걸 인정해야 해.
- 진정한 나를 알기 위해서는 모든 개념을 내려놓고 침묵 속에서 자신을 느껴야 해. 생각이나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그냥 '나'로서 존재하는 거지.
- 우리가 겪는 고통과 스트레스는 대부분 자신이 누구인지 잊고, 무언가가 되어야 한다고 믿기 때문에 생겨. 우리는 이미 무한한 존재인데, 그걸 증명할 필요는 없어.
사랑은 곧 나 자신이야
- 사랑은 가장 중요한 것이고, '이웃을 네 자신처럼 사랑하라'는 말은 결국 우리 모두가 하나라는 뜻이야.
- 다른 사람을 대할 때, 그 사람이 바로 나 자신이라는 걸 깨닫고 어떻게 대하고 싶은지 생각해보면 돼. 그게 바로 사랑이야.
- 모든 종교에서 말하는 사랑은 결국 우리 모두가 하나라는 것을 가리키는 거야.
죽음은 헤드셋을 벗는 것
- 죽음은 우리가 쓰고 있던 헤드셋을 벗는 것과 같아. 우리의 의식은 계속 존재할 거야.
- 명상을 통해 우리는 헤드셋을 벗고, 내용물 없는 순수한 의식을 경험할 수 있어.
- 우리가 겪는 고통과 괴로움은 이 헤드셋, 즉 우리의 아바타에 너무 동일시하기 때문이야.
현실을 바꾸는 힘
- 우리가 현실의 코드를 바꿀 수 있다면, 핵폭탄은 그냥 폭죽처럼 보일 정도로 강력한 기술을 만들 수 있을 거야.
- 이것은 마치 게임의 코드를 아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처럼, 게임 밖에서 게임을 조작하는 것과 같아.
- 우리는 이제 헤드셋 안의 마법사가 아니라, 헤드셋을 만드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될 수 있어.
결론: 사랑하고, 호기심을 가져!
- 가장 중요한 것은 '이웃을 네 자신처럼 사랑하라'는 거야. 왜냐하면 네 이웃은 바로 너 자신이니까.
- 현실은 네가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더 흥미롭고 놀라워. 항상 어린아이 같은 호기심을 가지고, 네가 아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기억해.
- 고통과 스트레스는 자신이 누구인지 잊고, 무언가가 되어야 한다는 환상 때문에 생겨. 너는 이미 완벽한 존재야. 증명하거나 증명할 필요 없어.
이 모든 것을 기억하고, 너 자신을 사랑하고, 세상을 호기심 가득한 눈으로 바라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