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250만원 현실 직장인 필수! 1억 모으는 월급관리 6가지 비법
돈 관리, 이렇게 해봐! (중학생 눈높이 설명)
안녕! 오늘은 돈 관리 어떻게 해야 할지 같이 알아보자. 특히 사회생활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해 월급 250만원을 기준으로 어떻게 돈을 나눠서 관리하면 좋을지 알려줄게.
1. 자취하냐, 안 하냐? 이게 중요해!
돈 관리에서 가장 큰 차이는 바로 집에서 사느냐, 따로 사느냐야.
-
자취하는 경우 (월급 250만원 기준):
- 저축 & 투자: 50% (125만원)
- 고정비 & 생활비: 40% (100만원)
- 비상금 & 힐링비: 5% + 5% = 10% (25만원)
자취하면 월세, 관리비 같은 돈이 나가니까 저축/투자에 쓸 수 있는 돈이 줄어들 수밖에 없어.
-
자취 안 하는 경우 (월급 250만원 기준):
- 저축 & 투자: 65% (162.5만원)
- 고정비 & 생활비: 25% (62.5만원)
- 비상금 & 힐링비: 5% + 5% = 10% (25만원)
부모님이랑 같이 살거나 기숙사에 살면 집세 걱정이 없으니까 저축이랑 투자에 더 많은 돈을 쓸 수 있지!
중요! 이건 그냥 예시일 뿐이야. 자기 상황에 맞게 비율은 얼마든지 바꿀 수 있어.
2. 돈, 어떻게 굴릴까?
이제 구체적으로 어떻게 돈을 나눠서 쓸지 알아보자. 자취하는 사람 기준으로 설명할게!
1. 주택 청약 (매달 10만원):
- 내 집 마련하려면 청약 통장 꼭 있어야 해.
- 근데 20대에는 국민주택 청약 당첨되려면 너무 오래 걸릴 수 있어. (15년 이상!)
- 그래서 너무 청약에만 올인하기보다는 기본만 채워놓고 다른 곳에 돈을 더 쓰는 게 좋을 수도 있어.
2. 저축 & 투자 (매달 90만원 + α):
- 처음엔 같이 모으면서 투자 시작!
- 예를 들어, 매달 90만원은 적금 넣고, 남은 10만원으로 주식 투자를 조금씩 해보는 거야.
- 돈을 모으는 동안 투자 경험도 쌓는 게 중요해.
- 1년 뒤, ISA 계좌 활용!
- 적금이 만기되면, ISA 계좌라는 걸 이용해서 미국 지수 ETF (S&P 500, 나스닥 100)에 꾸준히 투자하는 걸 추천해.
- ISA 계좌는 세금 혜택도 있어서 좋아! (일반형 기준 200만원까지 세금 없음)
- 공격적이면 나스닥 비중을 높이고, 보수적이면 S&P 500 비중을 높여봐.
- 연금저축 계좌도 잊지 마! (매달 10~20만원):
- 이건 나중에 늙어서 쓸 돈을 미리 모으는 거야.
- 집 마련하기 전까지는 10~20만원 정도만 넣어도 괜찮아. 나중에 돈 더 벌면 그때 더 넣어도 돼.
- ISA 계좌랑 연금저축 계좌에 같은 걸 넣어도 괜찮아. 투자 목적이 다르니까!
3. 비상금 (월급의 5% = 12.5만원):
- 갑자기 아프거나, 이사 가야 하거나, 예상치 못한 돈이 나갈 때를 대비하는 돈이야.
- 이 돈은 언제든 쓸 수 있게 따로 빼두는 게 좋아.
4. 힐링비 (월급의 5% = 12.5만원):
- 돈 모으는 것도 중요하지만, 너무 빡빡하게 살면 지쳐.
- 매달 10만원 정도는 내가 좋아하는 거, 나를 행복하게 하는 데 쓰는 거야. (여행, 맛있는 거 먹기 등)
- 이 돈은 파킹 통장에 넣어두고 관리하면 좋아.
3. 파킹 통장 추천!
비상금이나 힐링비 같은 돈을 넣어두기 좋은 파킹 통장 몇 개 추천해 줄게. (2024년 7월 기준)
- SC 제일은행 하이 통장: 12월 31일까지 가입하면 잔액 상관없이 연 3.4% 이자를 줘.
- OK 저축은행 짠테크 통장: 50만원 이하 금액에 대해 연 7% 이자를 줘. 소액 넣어두기 좋아!
마무리
어때, 돈 관리 어떻게 해야 할지 좀 감이 잡히지? 처음부터 완벽하게 하려고 하기보다는, 오늘 알려준 내용을 바탕으로 차근차근 시작해보는 게 중요해. 미래의 나를 위해 지금부터라도 꾸준히 돈 관리하는 습관을 들이면, 분명 나중에 후회하지 않을 거야!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