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문법) 개념 강의 1강] 음운의 변동 기초+음절의 끝소리 규칙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 이 영상은 초보 학생들을 위한 문법 개념 강의입니다.
- 목표는 문법 내용을 차근차근 이해시키는 것이에요.
- 시작은 의문문과 의문의 변동부터 설명할게요.
- 의문은 말의 뜻을 구별하는 소리의 최소 단위입니다.
- 발음 편의 위해 의문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아요.
- 교체, 첨가, 축약, 탈락 4가지 변동 유형이 있어요.
- 교체는 소리의 변화, 첨가는 의문이 더해지는 것.
- 축약은 두 의문이 하나로 줄어드는 현상입니다.
- 탈락은 하나의 의문이 없어지는 것이라고 배워요.
- 오늘은 교체, 특히 교체의 하나인 '음절 끝소리 규칙'을 배워요.
- 이 규칙은 한글 표기와 발음 교체를 설명하는 중요한 규칙입니다.
- 표기와 발음이 다를 때 교체가 일어나요.
- 예를 들어 '숲'은 발음이 '숲'이지만 표기는 다를 수 있어요.
- 끝소리 규칙은 자음이 7개만 끝에 올 수 있다는 규칙입니다.
- 7개 자음 외에는 규칙에 따라 교체됩니다.
- 평 파열음이 아닌 자음이 평 파열음으로 바뀌는 현상도 있어요.
- 이 규칙은 '평 파열음화'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 발음 교체는 자음이 다른 자음으로 바뀌는 것과 같아요.
- 예를 들어 '꽃'은 '꼳'으로 바뀌는 식입니다.
- 이 규칙을 외우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돼요.
- 실제 발음과 표기 차이, 그리고 환경에 따라 교체가 일어나요.
- 예를 들어 '겉옷'은 '거튼'으로 발음될 수 있어요.
- 이 규칙은 음절 끝에서 자음이 발음될 때만 적용됩니다.
- 모음으로 시작하는 말과 결합할 때는 교체가 일어나지 않아요.
- 이 규칙을 잘 이해하면 발음과 표기 차이를 알 수 있어요.
- 또한, 실제 말하는 환경에 따라 연음도 생겨요.
- 예를 들어 '옷이'는 '오디'로 발음될 수 있어요.
- 이 규칙은 형태소와 결합할 때도 영향을 미칩니다.
- 형태소는 의미를 갖는 최소 단위입니다.
- 의미와 역할에 따라 실질과 형식 형태소로 나뉘어요.
- 실질 형태소는 의미를 담고 있고, 형식은 역할만 해요.
- 예를 들어 '가을'은 실질 형태소입니다.
- '은', '이' 등은 역할만 하는 형식 형태소입니다.
- 이 규칙을 외우면 문제를 쉽게 풀 수 있어요.
- 예를 들어 '옷'은 실질 형태소, '이'는 형식입니다.
- 결론은, 음절 끝소리 규칙은 자음 교체 규칙입니다.
- 7개 자음만 끝에 올 수 있고, 나머지는 교체돼요.
- 이 규칙을 알면 발음 교체를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 앞으로 더 많은 문제와 사례를 통해 익혀보세요.
- 오늘 배운 내용을 잘 기억하면 평생 도움이 될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