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기사vs소방설비산업기사 응시자격 ㅣ난이도와 취득방법까지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소방설비 산업기사 vs 기사: 뭐가 다르고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소방설비 자격증, 특히 산업기사와 기사는 높은 연봉을 기대할 수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도전하는 분야야. 물론 자격증만 있다고 바로 고연봉을 받는 건 아니지만, 취업이나 가산점을 얻거나 나중에 기술사, 시설관리사까지 생각한다면 꼭 필요한 자격증이지. 오늘은 이 두 자격증의 난이도와 응시 자격에 대해 쉽게 알려줄게.
1. 난이도 비교: 생각보다 차이가 크지 않다고?
소방 자격증은 난이도 순으로 소방관련 자격증 → 소방설비 산업기사/기사 → 소방시설 관리자 → 소방기술사 순서로 볼 수 있어.
- 전기 vs 기계: 산업기사, 기사 모두 전기와 기계 분야로 나뉘는데, 전기 분야가 기계 분야보다 조금 더 쉽다는 의견이 많아.
- 산업기사 vs 기사: 기사가 더 높은 자격증이니까 당연히 어렵겠지?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전기 소방 분야의 경우 산업기사와 기사 시험 난이도 차이가 거의 없다고 해. 오히려 산업기사 시험에서 나왔던 어려운 문제들이 기사 시험에 출제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응시 자격이 된다면 바로 기사로 준비하는 게 더 유리할 수 있어.
결론: 응시 자격이 된다면 바로 기사로 준비하는 게 좋고, 산업기사부터 시작해야 한다면 바로 시험을 보거나, 학점 이수를 더 해서 기사 시험으로 넘어가는 게 효율적이야.
2. 응시 자격: 아무나 볼 수 있는 건 아니야!
기능사와 달리 산업기사와 기사는 응시 자격이 있어. 관련 전공자나 졸업 예정자, 혹은 관련 경력이 있으면 응시할 수 있지.
1) 소방설비 산업기사
- 관련 전공자/졸업 예정자: 대학에서 2학년 이상 수료했거나 관련 학과 졸업(예정)자
- 관련 경력: 실무 경력 2년 이상
- 기능사 취득 후: 관련 기능사 취득 후 실무 경력 1년 이상
- 경력/학력 없을 경우:
- 고등학교 졸업자: 학점은행제로 41학점 이수
- 전문대 졸업자 이상: 학점은행제로 36학점 이수
2) 소방설비 기사
- 관련 전공자/졸업 예정자: 4년제 대학 관련 학과 졸업(예정)자
- 관련 경력: 실무 경력 4년 이상
- 기능사 취득 후: 관련 기능사 취득 후 실무 경력 3년 이상
- 경력/학력 없을 경우:
- 고등학교 졸업자: 학점은행제로 106학점 이수
- 대졸자 (비전공자): 학점은행제로 관련 전공 48학점 이수
Tip: 학점은행제를 통해 응시 자격을 갖추는 경우, 단순히 자격증 취득 목적 외에 관련 전공 학위 취득까지 고려한다면 과목 설정을 신중하게 해야 해. 이럴 땐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아.
시험 정보
- 시험은 연 3회 시행돼.
- 필기시험 합격 후 실기시험까지 합격하면 자격증을 받을 수 있어.
- 필기시험 합격 시 2년간 실기시험 응시 자격이 유지되니 이 점을 활용해서 준비하면 도움이 될 거야.
혹시 응시 자격이나 준비 과정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물어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