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오늘 이 뉴스] "SKT 해킹, 3년 전부터 계속"..'유심 보호 의미있나' 충격 (2025.05.19/MBC뉴스)

MBCNEWS

조회수 조회수 26.5K 좋아요 좋아요 664 게시일 게시일

설명

#SKT해킹 #민관합동조사단 #발표 #MBC #뉴스 #뉴스데스크 #MBC뉴스 #뉴스투데이 #뉴스ZIP #뉴스꾹 #오늘이뉴스 #자막뉴스 ㅤ ⓒ MBC & 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자막

자막

전체 자막 보기
이에 조사단은 5월 18일까지 2차에 걸쳐 자료 유출 여부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를 실시하고 조사단 전체 회의를 5월 14일 두 차례 진행하였습니다.

해당 서버는 통합 고객인정 서버와 연동되는 서버들로 고객을 목적으로 호출된 단말기 고유 식별 번호 imei 이럼 생년월요일 전화번호 등 다수의 개인 정보가 있었습니다.

한편 치매 사고 발생 후 복재폰으로 인한 피해 우려 IMEI 유출 여부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았었습니다.

이에 조사단은 조사 초기 IMEI가 저장된 38대 서버에 악성 코드 여부를 집중적으로 점검하여 감염되지 않았음을 확인하고 1차 조사 결과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후 악성 코드가 감염된 서버들에 대한 정밀 포렌식 분석 중 연동 서버의 일정 기간 임시로 저장되는 파일 안에 IMI가 포함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동과정에서 조사단은 해당 서버에 저장된 파일에 총 291831건에 IMEI가 포함된 사실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정말 최악의 경우에 어 유심 보호 서비스는 어떻게 되는 거냐? 최악의 경우라 하더라도 저희가 다각도로 어이 문제의 서버를 발견한 즉시 사업자에게도 일단 분석 과정이 끝나기 전이라도 모든 가능성에 대비하라고 요구한 것도 이제 그런 지점인데요.

그래서 이따 오후에 SK 텔레콤이이 설명이 있을 거라고 생각됩니다만 그 부정입 접속한 방지 시스템 이른바 FDS라고 하는 그 시스템에서의 그런 기술적 고도와 작업이 이따가 좀 설명을 드리시겠습니다만 어 기존의 어 설사 복재폰 쌍동이 폰이 만들어졌다 하더라도 기존의 그 폰 자체가 그런 것들이 무용지물이 되는 무력화되는 그런 시스템이어서 저희는 기술적으로 그런 우려가 가 없다는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또 다양한 방식으로도 어 제조사하고도 저희가 확인하는 그런 과정을 거치고 있는데요.

IMI 값이 노출된 IME 값은 15짜리의 숫자 조합인데 그 숫자 조합만 가지고는 복재폰 쌍동이 폰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 제조 제조사들의 해석입니다.

다시 말하면 숫자 외에 그 단말과 숫자를 인증하는 인증 키값을 제조사들이 갖고 있기 때문에이 폰 자체가 15짜리 숫자만 복재됐다 해서 포팅을 한다 해서 워킹하는 그런 상황은 아니라는 그런 해석을 지금 그 설명을 저희가 어 제조사로부터도 듣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 판단에는 어 최악의 경우라도 현 시점에서 그리고 그동안에 어 피해 사례나 모니터링 결과 저희가 상당히 높은 수준의 경계 상태를 유지해 왔는데 그런 상태에서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 그리고 또 현재 작동하고 있는 그런 기술적 시스템들로 이런 우려들은 안 하셔도 되는 정도의 그런 기술적 완성도는 갖고 있다는 그런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복재이 가능한지 요부에 대해서 저희가 100% 지금 말씀을 드리기는 어렵습니다만 제조사의 판단이나이 사업자의 판단이나 복제포는 일단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고 그리고이 네트워크에 접속 만들어졌다 해도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거 자체가 완벽하게 차단된다는 그런 설명을 하고 있어서 그 부분에 대해서는 좀 저희는 어이 국민들께서 과도하게 불안을 안 하셨으면 좋겠다는 그런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근데 기술적으로 100%가 있을 수 있다는 거는 저희가 장담하기 어려운 부분이기 때문에 사업자에게도 만에 하나 있을 수 있는 피해 경계도 하고 실제 발생할 수 있는 피해에 대해서는 보상책을 확실히 하라는 요구를 한 상태입니다.

감청 가능성 이런 문제는 어 저희 조사단의 범위를 좀 넘어섭니다.

어, 그리고 어, 저희가 여러 가지 가능성에 대비해서 예컨데 이제 우리 전자심 박 박준호 기자님 말 질의하신 거하고도 좀 그 비슷한 맥락인데 그 그동안에 이제 해외에서들 있었던 여러 가지 사례들도 저희가 분석을 그 같이 이렇게 분석을 하면서이 사업자 측은 측에다가 여러 가지 경제적 또는 다른 목적의 여러 가지 그 위험성에 대한 판단을 하고 예, 그런 부분에도 어, 저 뭔가 대응이 필요한 필요하다는 저희가 요구는 한 상태인데요.

Ja.

영상 정리

영상 정리

1. 조사단은 5월 18일까지 자료 유출 여부를 두 차례 조사했어요.

2. 서버는 고객 인정 서버와 연동돼 있었고, 개인 정보가 포함돼 있었어요.

3. 치매 사고 후 IMEI 유출 우려에 국민적 관심이 높았어요.

4. 조사단은 IMEI 저장 서버를 점검해 감염되지 않았음을 확인했어요.

5. 이후 포렌식 분석에서 서버에 IMEI가 포함된 파일이 발견됐어요.

6. 총 291,831건의 IMEI가 저장된 사실이 확인됐어요.

7. 최악의 경우, 유심 보호 서비스는 어떻게 되냐는 질문이 있었어요.

8. 시스템이 복제폰을 무력화하는 기술이 있어서 우려가 적다고 판단했어요.

9. 제조사와 확인한 결과, IMEI 숫자만으로 복제는 불가능하다고 해석돼요.

10. 제조사들은 인증 키값이 있어 복제폰 제작이 어렵다고 설명했어요.

11. 지금까지 피해 사례는 없고, 기술적 시스템이 잘 작동하고 있어요.

12. 복제 가능성은 100% 확실치 않지만, 피해 보상책도 마련했어요.

13. 감청 가능성은 조사 범위를 벗어난 문제예요.

14. 해외 사례도 분석하며, 위험성에 대해 사업자에게 요구하고 있어요.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