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요약 제목

한국 교육의 문제와 문해력 회복 비법 정리

원본 제목

대학진학률 최상위 한국이 기울어지고 있다...

드로우앤드류

조회수 조회수 9.5K 좋아요 좋아요 278 게시일 게시일

설명

📗 드로우앤드류 스토어: https://drawandrew.store 📚 앤드류 도서 럭키 드로우: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687400 프리웨이: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2704325 비즈니스 문의: bydrawandrew@gmail.com (*개인 컨설팅 하지 않습니다. 개인적인 연락은 삼가해주세요. 감사합니다.) 기획: 드로우앤드류 https://linktr.ee/drawandrew 연출: 보경PD @bokyeong_moon_
자막

자막

전체 자막 보기
지금 OECD 국가 중에서 하위권에 있고 이런 상황에서 우리 국민들이 올바른 판단 할 수 있는가음 아 지금 시국에 참 필요한 지금 시국의이 문해력을 특별히 큰 의미가 있다고 봐요 저도 그렇게 생각이 들어요 요즘 사실 한국이 OECD 국가 중에서 대학 진학률 최상이 아아 근데 문해력을 OECD 국가 중에서 33개국의 21등이라고 그럴 거예요 아마 아니 어떻게 이러 수가 있죠 아니 저희 교육 되게 빡세게 하잖아요 저는 심지어 논술도 하고 뭐 읽기 쓰기 막 이런 우리나라가 짱 아닌가 한글도 있고 위대한 저도 공부할 땐 그렇게 생각했어 어쩌다 이렇게 된 거죠 저도 좀 보면서 놀랬던게 한국 성인들의 문화력이 10년 전에 비해서 굉장히 점수가 많이 떨어진네 개의 나라 중에 하나였고 아 고등 교육이라고 하면 대학교육이 아아 그죠 대학교육을 마친 사람들의 운력이 어 20점 이상 떨어진 세 개 나라 중에 하나였다 한국의 공교육 시스템은 사실 굉장히 좋습니다 많은 아이들이 굉장히 좋은 교육을 보편적으로 받을 수 있는 그런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느 순간 우리 아이들 그리고 우리 사회 전체가 글을 대하는 일 글을 읽고 쓰고 그것으로 대화하고 토론하고 이런 일들을 좀 소홀이 한다음 또 한 가지는 글은 조금 천천히 깊게 읽는게 굉장히 중요하거든요 근데 우리가 어느덧 학교 교육에서도 그렇고 일상에서도 그렇고 굉장히 빨리 는 거에 너무 익숙하다 아 빨리 읽고 문제를 빨리 풀어야 되니까 그 점수로 대하게 되니까 그러니까 정해진 시간 안에 굉장히 많은 질문을 읽고 굉장히 복잡한 문제와 선주들을 보고네 속독 하고 온 다니고 그러니까 사람들이 글들이나 정보나 소셜 미디어나 이런 곳에서 그글을 그때 굉장히 빨리 대충 조금 읽는 경향들이 있고 그걸로 굉장히 쉽게 판단을 하죠음 쉽게 판단해서 딱 뭔가 찍어 그다음에 그걸로 그냥 딱 세상을 이해해 버리고 이런 것들이 효율성이나 생산성 이런 면에서는 좋을 수 있으나 효율적이라고 해서 효과적이라고 얘기할 수 없고음 생산적이라고 해서 창의적이라고 얘기할 수 없어요 그렇죠 지금 한국은 효율성이나 생산성이 중요한 사회가 아니고 효과성과 창의성과 그것에 기반이 되는 어떤 합리성과 비판성 이런 것들이 굉장히 요구되는 조금 더 우리는 좀 과감하게 우리가 늘 해왔던 것들을 좀 바꾸면 좋지 않을까 이런 생각들 많이 하는 거죠 교수님 얘기 듣는데 저는 유튜버 보니까 유튜브 영상들에 소비를 많이 하잖아요 외국 유튜브 영상도 되게 많이 봐요 근데 생각해 보니까 한국에만 있는 특징적인 영상이 있는 거 같아요 어 어떤게 있어요 모모한 세 가지 해가지고 딱딱딱 빠르게 려주는 근데 외국 유튜버들은 정말 자막도 없고 그냥 편안하게 이렇게 해서 막 한참 쭉 얘기하는데 그게또 막 되게 사람들이 많이 보고 거기 막 댓글도 되게 많고 이런 영상들 되게 많거든요 근데 한국 시장의 유튜브 생태계에서는 그렇게 했다가는 그냥 저게 머리기는 맞아 빠르고 간결하고 딱딱딱 요약해서 딱 알려주는음 엔드류 성공 비율도 그런 거예요 저도 사실 세 가지 되게 많거든요 뭐할 때 세 가지 막 이런 거 어 그런 거 같다는 생각도 드네요 갑자기 맞아 근데 그게 나쁜 건 아니죠 사실 그렇죠 우리가 이제 어떤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사람들이 쏙속기에 이해할 수 있게 한다는 측면에서 사실 좋은 거죠 중요한 것은 이제 그렇게 생산하는 사람이 있다고 했을 때 우리가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그걸 그냥 보고 넘어갈 수도 있으나 읽을 필요가 있다 영상도 저는 읽어야 된다고 봐요 어 그리고 영상을 만드는 사람도 딱딱딱딱 보여주는 것도 좋지만고 안에서 사람들이 조금 생각할 수 있는 결을도 주는 좀 좋겠다 그러게 말이에요음 문해력이 아는 그 키워드가 제작년부터 확 뛰어올라서 작년에도 되게 이슈였고 근데 그게 사실 처음에는 가정 통식 문에 중식 제공했는데 한식은 왜 안 주나요 막 이런 것 때문 좀 이슈가 됐었어요 사실 보시는 분 입장에서는 아 저거를 몰라 요거만 약간 소비하게 된 거 같은데 사실은 그거 안다고 해서 어 근데 나 뭐 말 잘하고 사회생활할 때 뭐 별탈 없고 이렇게 느낄 수 있으실 것 같아요 근데 저희가 어떻게 보면 그 기능적 문해력의 막 북한 돼서 생각한게 아닌가네 우리가 문해력을 이제 뭐 심심한 사과 뭐 사흘 뭐 우천시 우천 시가 우천 시가 도대체 어느 동네냐 이막 물어보잖아요 이런 거 뭐 그런 거 많아요 어 그거는 이제 어휘의 문제고 어휘는 경험이에요 그러니까 그 말을 적해 봤느냐음 했느냐에 따라서 내가 그 말을 안다 모른다라는게 생기기 때문에 사실 그걸로 문해력이 좋아졌다 나빠졌다 이렇게 얘기하기는 어려워요 문해력을 그런 것은 그런 것을 넘어서는 거 같아요 우리가 먹고 살려고 사는 건 아니잖아 앤드로스 나로서의 여러 가지 정체성을 만들어 나가면서 좋은 삶을 살기 위해서 살 살아가는데 그런 좋은 삶을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문해력이 것은 기능적 문해력을 넘어선다음 그리고 그 문해력이는 거는 비판적인 문화력이 비판이라는게 남을 맡게 비난하고 비방하고 이런게 아니라 결국은 어떻게 더 좋은 모습으로 우리가 살고 있을까라는 걸 끊임없이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을 관찰하고 성찰하고 바꿔 나가는 것이거든요네 그런 면에서 비판정 문제는 굉장히 중요하다고 봐요 그렇죠 저도 사실은이 문해력의 대한 그 이슈가 됐었을 때 그렇게 깊게 생각 안 했거든요 그니까 왜냐면은 그렇게만 이슈가 됐으니까 심심한 사과나 이런 거 아 이런 거 그냥 배우면 되지 그리고 제 문해력의 대해서도 크게 고민 안 했던 거 같아요 그래서 이게 막 크게 중요한가 어 나는 괜찮은 거 같은데 이런 생각 한음 했었던 거 같아요음 문해력이 좋다는 거에 대한 정의를 다시 해 볼 필요가 있을 거 그렇죠 근본적으로 이제 문해력이 좋다는 거는 우리가 뭐 글자를 잘 읽고 글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뭐 단어를 많이 알고 어휘를 많이 한다 이런 정도가 아니다 더 넘어서서 근본적으로는 우리가 글을 읽고 쓰면서 여기서 글이라는 건 굉장히 다양한 형식의 글을 얘기해요 단지 교과서 같은 글 말고도 뭐 블로그도 되고 영상도 되고 인터넷도 되고 뭐 커뮤니티 소셜 미디어도 되고 텍스트를 통해서 서로의 생각들을 나누는 일들이에요 그럼 이제 우리가 왜 생각을 나누느냐 그것은 근본적으로 협력의 과정이에요 명 함께하는 우리가 인간이 이렇게 지금 살 수 있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우리 안에 협력의 정신들이 있기 때문이에요 다른 사람하고 함께 살고 있다라는 생각이 있기 때문에네 그나마 우리가 안전하게 살고 있는 거예요 인간만큼 나약한 동물이 없죠 그렇죠 사실 사자랑 싸우 호랑이랑 싸우 아 그 진짜 맞는 말이에 제가 어제 책을 하나 읽어 있는데 도덕성이라는게 어떻게 인류사적으로 만들어져 왔는가에 대한 책을 하나 읽었는데 거기서도 그 얘기를 해요음 그 500만 년 전에 호모사피엔스가 숲속에서 살다가 돼지로 나오게 돼요 그렇게 되면은 위험에 노출되지 그러기 해선 반드시 협력을 할 수밖에 없는 거예요 그리고 그런 것들이 우리 안에 내재돼 있다라고 보는 그런 관점의 책이었거든요 그 우리가 함께 살아간다는 거는 사람들과 협력한다는 것이고 그 협력의 수단이자 결과가 내력인 것이죠 우리가 생각을 나누고 감정을 나누고 서로 이해하고 공감하고 소통하는 능력이다 그래야 같은 거를 보고도 이상하게 받아들여서 싸우지 않고 그렇죠 아 지금 시국에 참 필요한 지금 시국의이 문해력을 특별히 큰 의미가 있다고 봐요 저도 그렇게 생각이 들어요 요즘 사실 정치얘기 자세하기 하지 않겠지만 그래 우리나라 얘기하기 좀 무서우니까 저는 어떤게 떠올랐 힐러리 클린턴과 도날드 트럼프 그때 이제 대선 때 사실 저는 그때 캘 코 있었거든요네 그러니까 주변 사람들이나 당연히 이제 힐러리가 될 것처럼 얘기를 하니까 그런가 보다 했는데 사실 도날드 트럼프가 됐잖아요 그때도 SNS 그 루머 피자게이트 맞아요 그 루머가 확산되면서 그게 이제 영향이 컸다고 이제 전문가들이 얘기도 있고 무시 못할 거 같아요 거짓말이나 가짜나 루머나 허위 정보나 이런 것들이 아무것도 아닌 거 같거든요 그냥 그거 보고 피식 웃구 웃 끝나고 그죠 뭐 저런 거가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선전 선동이라는 건 어떤 거짓 위에서 있거든요 그 거짓 위에서 있는 것들이 그냥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음 그냥 가만히 있어도 우리는 핸드폰 스마트폰으로 막 들어오잖아요 그냥 인터넷 들어가면 다 나오는 거고 그죠 굉장히 많은 사람들이 그 과정에 들어가 있다 이것들이 아무것도 아닌 것 같지만 모이고 모이고 모이고 모이면 중요한 의사 결정을 할 때 사람이 자기도 모르게 거기에 이렇게 기울어지는 거예음 사실 이제 우리 앤드류이 뭐 얘기하기 힘들지만 요즘 시국이라는게 그렇지 않습니까 그렇죠 지금 그이 시국에 음 저도 되게 많은 유를 보음 같은 상황에네 다른 관점에서이이 극단적으로 얘기하는 것들을 보면서 뭐가 뭔지 내 스스로 판단해야 되는데 맨 처음에 나왔던 그 얘기가 정말 무서운 일인 거죠 한국 사람들의 문해력이 20점이나 10년 전에 비해서 나아졌고 지금 OECD 국가 중에서 하위 꺼에 있고 이런 상황에서 우리 국민들이 올반은 판단 할 수 있는가음 이거가 이제 교수님이 얘기해 주이 기울어진 문해력이 음음 무서운 거다라는 저 생각도 들 그렇죠 그렇죠 우리가 그렇게 무심결에 놓치고 있는 아주 기본적인 것들 이런 것들이 계속 쌓이고 쌓이고 오래되고 세대를 거듭하면 과연 어떻게 될 것이냐 이런 질문을 한번 던져 볼 수 있는 거죠네 이게 또 그 AI 시대가 오면서 더 가속화된 거 같아요네 우리가 인터넷이나 이런 곳에서 읽을 때 100% 나의 선택이 아니에요 그게 그렇잖아 네 맞아요 내가 한번 뭐를 클릭하고 검색하고 하는 순간 AI 거기에 맞춰서 다른 것들을 나한테 보여 줘요 맞아요 그리고 나는 그 안에서 선택을 하는 거거든 그러니까요 AI 너이 중에서만 골라 그렇지 이런 거잖아 이게 일종이 추천된 선택이에요 그러니까 이제 그런 것 자체도 우리가 인지할 필요가 있다음 그리고 그런 것들을 읽으면 단지 정보를 찾는 방식 시험 문제를 푸는 방식 아 질문이 그거니까 답을 찾아야지네이 정도로는 인터넷이 좋을 수도 있어요네 그 안에서 내가 깊이 있게 사고하고 일을 해야 되잖아요 그렇죠 그러려면은 훨씬 깊이 있는 방식으로 찾아봐야 되고 정확한 것도 믿을만한 것 이런 것들을 그때그때 판단할 수 있어야 되거든요음 클릭할 때도 좋아요 누를 때도 공유할 때도 판단 들이라는 걸 항상 해야 되는 건데 그런 판단들을 우리가 하지 않고 넘어갈 가능성이 굉장히 많이 있다 그거를 판단하지 못하면 기모인 기모인 전 처음에 이게 뭐지 내가 문려 김모 뭐 이런 건가 기계보다 못한 인간이 될 수 있다 빨리빨리 정보를 엄청나게 많은 정보를 막 추려 갖고 모아 갖고 그거 갖고 답을 찾고 뭐 하고 이런 능력을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전부다 김본 기본이지 근데 그 전에는 그 그 능력을 되게 중요시 했잖아요 예전에 계산기 나오기 전에 이거 주산 거 사서 빨리하는 것처럼 어 그니까 지금은 이제 AI 그런 기본적인 것들을 해 줄 수 있죠 그니까요 그니까 우리는 조금 더 인간이 할 수 있는 것들에 집중할 필요가 있고 그런 것들이 무력을이 할 때도 굉장히 중요하다 정보를 내가 어떻게 찾을 것인가 그 정보를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 어떻게 연결할 것인가 그리고 어떻게 내 삶에 접합시킬 것인가 그래서 어떻게 새로운 것들을 만들어 낼 것인가 그 과정에서 무엇을 내가 믿어야 하고 무엇이 옳고 무엇이 옳지 않은가 이런 판단 같은 것들이 굉장히 중요하다는 거죠 그래야 김호진이 안 되고 기아인이 되는 거죠 그렇죠 기계보다 나은 나은가 맞아요 저 저도 그 고민이 제일 큰 거 같아요이 AI 시대에서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이 발전 속도는 점점점 빨라지고음 그러니까 그래서 교수님이 추천해주는게 기 중단 어 저 그래요 저 가끔 넘겨요 어렵네 더 나아가서 책읽는게 쓸데 없는 거 같아 이런 생각하잖아요인지 과학에 의하면 가장 기본적인 학습 원리가 이게 사실 너무 당연한 원리예요네
영상 정리

영상 정리

1. 한국은 OECD 국가 중 문해력 순위가 낮아요.

2. 대학 진학률은 높지만 문해력은 낮은 편이에요.

3. 빠른 읽기와 문제풀이에 익숙해졌어요.

4. 깊이 읽기와 사고는 점점 어려워지고 있어요.

5. 소셜 미디어와 빠른 정보 소비가 영향을 줘요.

6. 효과적 전달은 좋지만 깊이 이해가 필요해요.

7. 영상도 읽기처럼 생각하며 봐야 해요.

8. 문해력은 단순한 어휘력 이상이에요.

9. 협력과 소통을 위한 핵심 능력이기도 해요.

10. 인간은 본래 협력으로 살아가요.

11. 문해력은 비판적 사고와 연결돼 있어요.

12. 가짜 뉴스와 허위 정보가 문제예요.

13. SNS와 인터넷은 선택권을 제한할 수 있어요.

14. AI 시대엔 정보 판단이 더 중요해졌어요.

15. 깊이 사고하고 연결하는 능력이 필요해요.

16. 빠른 정보처리보다 사고력이 더 중요해요.

17. 인간만의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가 중요해요.

18. AI가 도와줄 수 있지만, 판단은 우리가 해야 해요.

19. 정보의 진위와 신뢰성을 판단하는 능력이 필수예요.

20. AI 시대엔 인간의 본질적 능력이 더 중요해요.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