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동사 형용사 정확하게 구별하기│이유진 우월한 국어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1. 최근 기출 문제 분석 결과, 출제 비율이 줄어든 부분이 있었어요.
  2. 하지만 5년 치 기출에서 가장 많이 나온 건 형태론이었어요.
  3. 특히 통사론 관련 문제가 최근 트렌드였어요.
  4. 품사 문제는 덜어지고, 문장 다듬기 쪽으로 변화했어요.
  5. 이제 품사 변별 이론부터 차근차근 볼게요.
  6. 서술격 조사는 가변하는 조사예요.
  7. 예를 들어 '학생이다'에서 '이다'는 가변 조사입니다.
  8. 이 조사는 발을 붙여주는 역할을 해요.
  9. 그래서 '학생이네요'처럼 쓰이죠.
  10. 조사 중에 서술격 조사가 있어요.
  11. 대부분 교재는 가변 조사를 기준으로 도식을 그립니다.
  12. 다음으로 명사, 대명사, 수사, 관계원 조사, 수식언, 감탄사, 동사, 형용사 등이 있어요.
  13. 형용사와 동사 구별이 가장 중요하고 자주 출제돼요.
  14. 최근 3년간 다양한 품사 문제가 출제되고 있어요.
  15. 동사와 형용사 구별법, 먼저 설명할게요.
  16. 의미로 구분하는 건 영어와 비슷해요.
  17. 동작이나 작용은 시간의 흐름을 따라가요.
  18. 상태나 성질은 즉시 순간적이에요.
  19. 예를 들어 '먹는'은 동사, '예쁜'은 형용사예요.
  20. '먹는'은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 '-는'이 붙어요.
  21. '먹은'은 과거형으로 쓸 수 있어요.
  22. 형용사에는 '-은'이 붙지 않아요.
  23. '꽃이다'는 형용사, '꽃이 예쁘다'는 형용사예요.
  24. 명령형이나 청유형은 동사에만 가능해요.
  25. '예뻐라'는 동사, '예쁘다'는 형용사예요.
  26. 감탄형도 형용사와 결합 가능해요.
  27. 문장의 의도에 따라 시제와 의미를 고려하세요.
  28. 예를 들어 '모자라다'는 동사예요.
  29. '모자라'는 현재형, '모자랐다'는 과거형이에요.
  30. 명령형은 '모자라라'가 어색해요.
  31. 그래서 '모자라'는 동사로 봐야 해요.
  32. 형용사와 동사 구별은 시제와 의미를 통해 해요.
  33. 형용사는 시제 없이 자연스럽게 쓰여요.
  34. 동사는 시제를 넣어야 자연스럽고요.
  35. 예를 들어 '행복하다'는 형용사, '행복해지다'는 동사예요.
  36. 명령형은 '행복해라'가 아니라 '행복해지자'로 써야 해요.
  37. 형용사는 '이야'나 '자'와 결합 가능하지만, 의미가 달라요.
  38. '조용히 해라'는 명령, '조용해지자'는 형용사 활용이에요.
  39. 시제와 의미를 함께 고려하는 게 중요해요.
  40. 품사 구별 핵심은 의미와 문장 의도에요.
  41. 동사는 동작, 형용사는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요.
  42. 시제 넣어 판단하는 게 가장 안전해요.
  43. 예를 들어 '그는 크게 소리 쳤다'를 현재로 바꾸면 '그는 크게 소리 친다'가 돼요.
  44. '솟는다'는 동사, '아름 담는다'는 형용사예요.
  45. '곱다'는 형용사, '곱는다'는 동사예요.
  46. '흐리다'는 형용사, '흐려지다'는 동사로 바꿔야 해요.
  47. '예쁘다'는 형용사, '예뻐라'는 동사형 명령이에요.
  48. 형용사와 동사 구별은 시제와 의미를 통해 확실히 해요.
  49. 가장 헷갈리는 단어는 '있다'와 '없다'예요.
  50. '있다'는 동사와 형용사 모두 가능해요.
  51. '없다'는 형용사로만 쓰이고, 동사로는 못 써요.
  52. '늦다'는 형용사, '늦다'는 동사로 구별돼요.
  53. '늙다'는 가능, '접다'는 불가예요.
  54. 중요한 건 시제와 문장 의미를 잘 파악하는 거예요.
  55. 이렇게 정리하면 품사 구별이 훨씬 쉬워질 거예요.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