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만뷰] 임플란트 부작용 5가지! 실패 피하는 놀라운 해결법은?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임플란트, 이것만은 알고 하자! (중학생 눈높이 설명)
안녕하세요! 강남역에서 7년째 임플란트만 전문으로 하는 치과 의사입니다. 요즘 TV나 유튜브에서 임플란트 얘기 많이 나오는데, 방송에서 다 못하는 진짜 중요한 이야기들을 알려주려고 해요.
왜 임플란트 병원 바꾸기가 어려울까?
다른 병원은 맘에 안 들면 쉽게 옮길 수 있잖아? 근데 치과, 특히 임플란트는 뼈에 심는 거라 한번 하면 바꾸기가 진짜 어려워.
- 빼기도 힘들고, 다른 병원에서도 꺼려해: 이미 심어놓은 임플란트를 빼는 것도 어렵지만, 다른 병원에서 그걸 다시 봐주려고 하지 않아. 왜냐하면 누가 심었는지, 어떻게 심었는지 정확히 모르니까 책임지기 어렵거든. 그래서 처음부터 신중하게 병원을 잘 골라야 해!
임플란트 부작용, 뭐가 있을까?
임플란트 잘못하면 이런 일들이 생길 수 있어.
- 아래턱 신경 건드리면 감각 이상: 아래턱 뼈에는 신경이 지나가는데, 실수로 이걸 건드리면 감각이 없어지거나, 불에 덴 것처럼 따끔거리는 느낌이 평생 갈 수도 있어. 마취했을 때처럼 감각이 없어서 음식을 먹을 때 볼살을 씹거나 흘리는 일도 생길 수 있지.
- 염증, 임플란트 실패: 신경을 안 건드리고 심었어도 위치가 잘못되면 염증이 생기거나, 제대로 씹히지 않거나, 심하면 임플란트가 빠져버릴 수도 있어.
- 위턱은 축농증? 위턱에는 신경은 없지만, 빈 공간(상악동)이 있어서 뼈 이식을 해야 할 때가 있어. 이때 수술 방법이 잘못되면 축농증이 생기거나 코에서 냄새가 나는 부작용이 생길 수도 있지.
주의! 수술 후 통증이나 약간의 피, 멍은 부작용이라고 보기 어려워. 하지만 임플란트가 빠지거나 염증이 심해지는 건 부작용으로 볼 수 있어.
부작용 생기면 어떻게 해야 할까?
- 신경 손상: 신경을 건드린 경우, 신경 재생 약을 먹으면 대부분 돌아오지만, 심한 경우 평생 감각이 돌아오지 않을 수도 있어. 경험 많은 의사에게 시술받거나, CT 같은 걸로 미리 신경 위치를 확인하는 게 중요해. 만약 문제가 생기면 대학병원 신경과에서 상담받는 것도 방법이야.
- 임플란트가 빠지거나 염증: 이런 경우 추가적인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어.
- 뼈 이식 후 문제 (위턱): 뼈 이식이 제대로 안 되면 임플란트가 흔들리거나 빠질 수 있어. 레미콘 차 시멘트처럼 뼈가 잘 붙도록 주의사항을 잘 지켜야 해.
- 축농증: 약물 치료나 재수술로 해결될 수 있어. 이비인후과와 협진이 필요할 수도 있지.
임플란트, 영원히 쓸 수 있을까?
임플란트 자체는 튼튼하지만, 위에 씌우는 치아가 깨지거나 빠질 수는 있어. 이건 오히려 임플란트 본체를 보호하는 역할이기도 해.
진짜 중요한 건 관리야!
- 임플란트가 빠지거나 뼈가 녹는 경우: 이건 심각한 문제야. 특히 잇몸뼈 관리가 안 되면 뼈가 녹아서 임플란트가 빠질 수 있어.
- 임플란트 후 관리 소홀은 금물! 아무리 좋은 임플란트라도 자기 치아만큼은 아니야. 딱딱한 음식이나 질긴 음식을 너무 많이 먹으면 임플란트가 망가질 수 있어. 자동차도 주기적으로 정비해야 하듯이, 임플란트도 정기적으로 치과에 가서 검진받고 관리해야 오래 쓸 수 있어.
부작용 생겼을 때 대처법
- 병원과 소통: 불편한 점이 있으면 참지 말고 바로 병원에 이야기해야 해. 처음에는 어색할 수 있지만, 몸에 익숙해지는 과정일 수도 있어.
- 다른 병원 상담: 그래도 해결이 안 되거나, 이건 명백한 부작용이라고 생각되면 다른 병원에 가서 상담받아봐. 이때 기존 병원의 방사선 사진이나 차트를 꼭 챙겨가야 해.
- 문제 제기: 만약 기존 병원의 치료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소송이나 소비자 보호원에 도움을 요청할 수도 있어.
임플란트는 신중하게 결정하고, 치료 후에도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해!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면 답해줄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