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연구했습니다, 제발 공부할 때 외우지 마세요." 뇌과학자가 말하는 진짜 공부법 (박문호 1부)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 왜 공부는 많아도 지식이 늘지 않을까? 근본 원인은 공부를 하지 않아서예요.
- 지식은 집합론적 사고와 반복을 통해 쌓인다는 걸 알아야 해요.
- 수학은 동의 반복으로 모든 논리와 정리를 만들어내요.
- 반복은 a는 a다, 부정의 부정, 배중률 세 가지 논리로 설명돼요.
- 전자공학에서도 세 가지 논리로 모든 논리 표현이 가능하죠.
- 수학은 틀리지 않는 구조로 설계돼 있어요. 그래서 위험이 적어요.
- 무리수 같은 예외가 나오면 수학이 확장돼요. 필연성을 깨뜨리기 때문이죠.
- 집합론적 사고는 무한 집합도 동일하다는 것을 보여줘요.
- 공부는 반복과 집합론적 사고를 통해 깊이 있게 이해하는 과정이에요.
- 관계는 내부에 있는 게 아니고, 두 대상 사이에 존재하는 거예요.
- 관계는 내 것이 아니며, 던져진 돌멩이처럼 떠나가는 것과 같아요.
- 대화도 관계이고, 말이 상대방에게 날아가면 끝나는 거예요.
- 속도는 내 것이 아니고, 공간과 시간의 비율로 존재하는 속성입니다.
- 자연과 현상은 물리적 세계와 현상론적 세계로 나뉘어요.
- 현상적 세계는 일어나는 것, 즉 자연의 ‘일’이에요.
- 물리적 세계는 돌멩이 떨어지는 것처럼 일정하게 존재해요.
- 공부는 물리적 세계와 현상론적 세계를 구분하는 게 중요해요.
- 자연은 물리적이고, 인간은 현상적 세계에서 일어나는 것들이에요.
- 집합론적 사고는 복잡한 관계를 간단히 정리하는 힘이 있어요.
- 인간관계 문제는 주로 언어와 대화에서 생겨나요.
- 대화는 내부 에너지가 밖으로 나가면서 일어나는 관계예요.
- 내 말이 상대에게 날아가면 관계가 형성돼요.
- 속도는 내 것이 아니고, 공간과 시간의 속성임을 알아야 해요.
- 자연과 사고를 이해하려면 현상과 물리적 세계를 구분하는 게 필요해요.
- 공부는 반복과 집합론적 사고로 전체를 빠르게 파악하는 힘을 길러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