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일 작가 2024년 7월: 연금, IRP, DC 계좌로 35% 초과 수익! 성공 비법 공개!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7월 시장 리뷰 및 자산 배분 전략 요약
1. 7월 시장 돌아보기
- 중국 & 한국: 7월에 무려 6%나 상승하며 시장을 주도했어.
- 인도 & 미국 국채: 반대로 3% 정도 하락했지.
2. 연초 이후 시장 성과 (반년 동안)
- 한국: 무려 35% 상승하며 최고 성과를 기록했어.
- 금: 26% 상승하며 준수한 성적을 보여줬고.
- 미국 S&P 500: 8% 상승하며 나쁘지 않은 모습을 보였어.
3. 최근 1년 시장 성과
- 금: 41% 상승하며 가장 많이 올랐어.
- 중국: 26% 상승하며 미국을 제치고 두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지.
- 한국: 21% 상승하며 신흥국 투자의 가능성을 보여줬어.
4. 왜 중국, 한국에 투자해야 할까? (자산 배분의 중요성)
- 어떤 나라, 어떤 지역의 주식이 오를지 미리 알 수는 없어.
- 나라마다 주식 시장 움직임이 다르기 때문에, 이런 차이를 이용하면 내 자산을 보호하고 꾸준히 수익을 낼 수 있지.
- 최근 6개월, 1년 동안 중국과 한국이 많이 오른 것처럼, 미국만 투자한 사람보다 더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었던 거야. 이게 바로 자산 배분의 힘이지!
5. 환율 이야기 (달러)
- 5월 초 1420원까지 올랐던 달러 환율이 3개월 동안 하락하다가, 8월에 다시 1390원까지 반등했어.
6. 트럼프와 관세 전쟁
- 트럼프가 관세 발표를 하면서 관세 전쟁이 시작됐고, 미국과 중국은 치킨 게임을 벌였지.
- 중간에 관세 유예 합의도 있었지만, 다시 파행을 겪기도 했어.
- 최근 한미 관세 협상이 타결되면서 25%에서 15%로 낮아졌지만, 트럼프의 예측 불가능한 행동 때문에 앞으로도 이런 변동성이 계속될 수 있어.
7. 나의 연금 계좌 운용 현황 (6년 7개월째)
- 연금 저축: KB증권으로 옮겨서 로보 어드바이저(자동 매매)를 이용 중이야. 거의 신경 쓸 필요 없이 편하게 운용하고 있어.
- IRP: 삼성증권에서 KB증권으로 옮겼고, '원터치 매매'라는 편리한 서비스를 이용 중이야. (퇴직연금은 법적으로 100% 자동매매가 안 돼서 자문 서비스 이용이 최선이야.)
- DC: 삼성증권에서 자문받으며 수기로 매매 중인데, KB증권으로 옮겨서 원터치 자문을 이용할 예정이야.
- 글로벌: 미국 상장 ETF만으로 운용하며 양도소득세만 내는 방식으로 절세 효과를 노리고 있어. 삼성증권에서 자문받으며 원터치 매매로 편리하게 운용 중이야.
8. 계좌별 7월 및 누적 수익률 (참고용)
- 글로벌 (삼성증권 자문): 7월 2.56% 수익, 누적 15.6% (연환산 13.2%)
- IRP (KB증권 자문, 이전 후): 7월 2.6% 수익, 2024년 이후 30.2%, 누적 89% (연환산 10.2%, 세액공제 포함 시 13.3%)
- DC (삼성증권 자문): 7월 1.91% 수익, 누적 14.2%
- 연금 저축 (KB증권 자문): 7월 3.02% 수익, 2024년 이후 30.2%, 누적 64.5% (연환산 7.9%)
- 참고: 연금 저축과 IRP 수익률 차이는 과거 담보 대출로 인한 포트폴리오 변경 때문이며, 2024년 이후로는 거의 유사한 성과를 보이고 있어.
9. 투자는 파도타기와 같다!
- 투자는 항상 좋을 수만은 없어. 날씨 좋은 날도 있고, 폭풍우가 치는 날도 있지.
- 시장은 원래 그런 것이니, 하락 구간이 있다고 해서 이상하게 생각하거나 포기하지 마.
- 자산 배분은 이런 시장의 변동성을 줄여주고, 좀 더 안정적으로 수익을 낼 수 있게 도와주는 좋은 방법이야.
10. 2022년 하락장과 올해 성과
- 2022년에는 금리 상승으로 주식과 국채가 함께 빠지면서 큰 손실을 봤지만, 이때 포기하지 않고 자산 배분을 꾸준히 한 사람들은 2023년, 2024년 상승장을 누릴 수 있었어.
- 올해 7월 말까지 수익률이 5% 정도밖에 안 된다고 실망할 수도 있지만, 장기적으로 연 8~10% 정도의 수익률이라면 충분히 좋은 성과라고 생각해.
- 마음 편하게 이 정도 수익을 내고 있다면 절대 나쁘지 않다고! 하반기에 시장이 안 좋아져서 마이너스가 될 수도 있지만, 내년에는 다시 높은 수익을 낼 수도 있으니 장기적인 관점으로 투자하는 게 중요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