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한 아이 만드는 법: 부모와 자녀의 좌절 극복력을 키우는 30년 정신과 노하우!
행복한 아이로 키우는 10가지 방법
안녕하세요! 저는 아주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30년 동안 아이들과 청소년들을 만나온 조선미라고 해요. 아이들을 오래 보면서 부모로서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하는 분들이 많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 그래서 오늘은 우리 아이들이 커서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돕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
1. 행복은 '복'이 아니라 '느낌'이야!
우리말에서 '행복'은 '복을 받았다'는 느낌과 비슷하게 쓰일 때가 있어요. 하지만 복은 내가 받는 수동적인 것이고, 행복은 내가 느끼는 능동적인 감정이에요. 복권에 당첨되는 것처럼 외부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내 안에서 느끼는 것이 중요해요.
2. 좋은 직업보다 중요한 건 '사회생활 능력'
어릴 때는 아이가 건강하게 잘 먹고 잘 자면 돼요. 하지만 점점 크면서 좋은 대학, 좋은 직업을 바라게 되죠. 하지만 좋은 직업을 가졌다고 해서 무조건 행복한 건 아니에요. 주변 사람들과 잘 지내고 스스로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이 더 중요해요.
3. 고통에 '대응하는 능력'을 키워주세요!
하버드 대학의 유명한 연구에 따르면, 행복한 사람들은 고통에 잘 대응하는 능력이 뛰어났다고 해요. 살면서 힘든 일은 누구나 겪지만, 그걸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겨내느냐가 행복을 결정해요.
4. '고생'과 '고통'은 달라요!
아침에 허겁지겁 뛰어 나오거나, 낮은 임금으로 일하는 건 '고생'이에요. 이건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일이죠. 하지만 '고통'은 내가 처한 상황을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따라 달라져요. 서울대 나왔는데 명퇴했다고 해서 꼭 고통스러운 건 아니에요.
5. 좌절을 견디는 힘, '좌절 내구력'을 길러주세요!
아이가 좌절을 겪었을 때, 그걸 잘 이겨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해요. 어릴 때부터 '싫어도 해야 할 일'과 '하고 싶어도 참아야 할 일'이 있다는 것을 가르쳐주세요.
6. 아이의 '머리, 손발'이 되어주지 마세요!
아이가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또 스스로 행동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세요. 모든 것을 대신해주면 아이는 스스로 할 수 있는 힘을 잃게 돼요.
7. '규칙'을 먼저 정하고 '자유'를 주세요!
핸드폰 사용 시간, 장난감 개수 등 규칙을 먼저 정하고 그 안에서 아이에게 자유를 주세요. 규칙 없는 자유는 오히려 아이를 불안하게 만들 수 있어요.
8. 부모의 '권위'는 '신뢰'에서 나와요!
부모의 권위는 무조건적인 복종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믿고 의지할 수 있을 때 생겨요.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면서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주는 것이 중요해요.
9. '실수'는 성장의 기회예요!
아이가 실수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도록 격려해주세요. 실수를 통해 배우고 성장하는 것이 훨씬 더 값진 경험이 될 수 있어요.
10. '세상의 중심'이 내가 아님을 알려주세요!
아이가 세상의 중심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해주세요. 다른 사람의 감정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법을 배우는 것은 행복한 삶을 위해 필수적이에요.
이 10가지 방법들을 통해 우리 아이들이 행복한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