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요약 제목

해외 거주 자녀 증여세 정리 및 신고 방법 비법 공개

원본 제목

해외에 사는 자녀, 한국 들어올 때까지 기다리지 말고 빨리 증여하세요! - 해외 거주 자녀 증여세 신고 절차부터 납부 방법까지 총정리

세무사김주현(세주TV)

조회수 조회수 319.7K 좋아요 좋아요 2.6K 게시일 게시일

설명

#증여세 #절세방법 #비거주자_증여세 해외에 거주하는 자녀들이 많아지면서 해외 거주 자녀에게 증여를 하시고자 하는 분들의 고민도 많아지고 있는데요. 이번 영상에서는 해외에 거주하는 자녀에게 증여를 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보았습니다. 해외거주자 상속세 https://youtu.be/i2HR7bNJjLw?si=6_pz0X2r26Un6yd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세무 관련 상담 https://url.kr/94dtm9
자막

자막

전체 자막 보기
해외 거주하는 자녀분들이 굉장히 많아졌습니다 해외에 살고 있는 자녀들한테 저희가 증여를 고민을 하시는 부모님들 또한 굉장히 많아지고 계시는데요 해외에 있는 자녀한테 저희가 증여를 한다라고 하면 신고 절차는 어떻게 되는지 혹은 증여세는 어떻게 납부를 해야 되는지 많이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오늘 영상에서는 해당하는 해외의 자녀가 있으신 분들이 증여를 고민하실 때 꼭 기억하셔야 되는 내용들로 준비했습니다 자녀는 앞으로 해외에서 계속 살 예정이고 부모님들의 이제 국내에 있는 재산을 혹은 국내에 있는 돈을 증여를 해주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되냐라는 질문을 많이 주세요 우리 자녀가 너무 빡빡하게 사는 것 같다 나 이제 우리 자녀한테 좀 증여를 해줘야 되는데 뭐 이게 우리 자녀가 해외에 살다 보니까 어떻게 해야 될지 모르겠다 혹은 형제가 여러명 있는데 우리 자녀는 나중에 국내에 들어오면 줘야지라고 자꾸 해외에 있는 자녀만 빼고 국내에 있는 자녀들한테만 증여하시는 부모님들도 있으십니다 해외에 자녀가 있으신 부모님들이 증여를 고민을 하실 때 가장 크게 이제 중요한 부분은 거주지 않냐 비거주자냐에 대한 부분이 첫 번째 시작입니다 거주자는 뭐냐 원칙적으로 국내 주소를 두거나 183일 이상 국내에 거소를 둔 사람을 거주자라고 이야기를 합니다이 외의 사람은 뭐냐 다 비거주자에요 해외에 살고 있고 해외 유학을 하고 있고 해외에서 이제 뭐 일을 하고 있다라고 해서 단순히 그 상황만 가지고 비거주자라고 생각을 하시면 안 됩니다 국내에 함께하는 가족의 주소 부모님들의 주소가 있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비거주자가 아닙니다 비거주자가 되기 위해서는 경제적으로도 독립을 해야 되고요 뭐 결혼을 하신다거나 이러한 부분들도 당연히 비거주자에 해당이 될 겁니다 외국에 계신 자녀분이 비거주자다라는 생각이 드신다고 하면 결국 증여세 계산 방식에 대한 부분들이 다르게 적용이 됩니다 국내에 만약에 저희가 살고 있는 자녀한테 증여를 한다 가장 첫 번째 기억하셔야 되는게 뭐라고 말씀드렸죠 바로 증여재산 공제입니다 5천만원까지 증여대상 공제가 된다라고 말씀을 드렸는데 비거주자인 자녀한테도 증여재산 공제가 가능할까요 불가합니다 비거주자인 경우에는 증여재산공제가 불가해요 실제 내가 거주자인 자녀와 비거주자인 자녀한테 재산을 물려줄 때 발생할 수 있는 증여세 가액이 달라지게 됩니다이 부분에 대해서 꼭 기억을 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두 번째 그렇다라고 하면이 자녀가 나중에 국내에 들어오고 나서 재산을 중요하는게 좋은 거 아니야라는 말씀이 주시는데 여기서는 조금 한 가지 이점이 있긴 합니다 외국에 있는 비거주자 자녀한테 저희가 자산을 진열하게 되면 증여세 납세 의무는 비거주자인 자녀한테는 증여세 납세의 의무가 없습니다 그렇다고 저희가 세금을 내지 않을까요 아니에요 증여를 한 부모한테 연대 앞서 의무가 있습니다 부모님이 대신 증여세를 납부를 해주어도 문제가 없어요 그러면 거주자인 자녀한테 저희가 증여를 하게 되면 지금에서 납세금은 누구한테 있죠 자녀한테 있죠 자녀가 중요세를 납부를 해야 되는데 능력이 없어 그래서 부모님이 대신 그 증여세를 내줬어 그 경우에는 증여세를 내준 그 금액까지 저희가 증여를 본다라고 말씀을 드렸잖아요 비거주자인 자녀한테 직렬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증여세는 자녀가 낼 수 있는 능력임에도 안내도 부모가 되신 내줘도 그건 증여를 안 봐요 숫자로 제가 말씀을 드려볼게요 10억 자산을 거주자인 자녀한테 주는 경우 자녀한테 주는 경우를 말씀을 드려보면 경제적인 가치에 대한 부분을 잘 기억을 하셔야 돼요 10억 정도인 자산을 자녀한테 주게 되면 대략 한 2억 4천 정도 증여세가 발생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럼 실제 자녀가 받아간 재산은 얼마죠 7억 6천원입니다 근데 제가 비거주자인 자녀한테 증여를 했는데 증여세도 내가 납부했어 그럼 자녀가 실제 얼마 받아 갔나요 10억을 받아 간 겁니다 내 돈은 12억 4천만원 나갔지만 실제 자녀는 10억을 받아 간 거죠 결국이 증여세에 해당하는이 금액만큼 자녀분들이 더 큰 이익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비거주자의 자녀분들이 있으신 부모님들께서는이 해당하는 부분들도 잘 기억을 해 두시길 바라겠습니다 앞서 설명드린 것처럼 증여재산공제가 안 되니까 거주자인 자녀와 비거주자인 자녀한테 증여를 했을 그 증여세 자체는 달라요 그 금액 자체가 커져 있죠 뭐냐 5천만원을 빼주고 계산을 하는 증여 재산 가액과 5천만원을 안 빼주고 계산하는 증여세 가액이 그 5천만원에 세울만큼 해당하는 부분이 달라지다 보니이 부분은 꼭 기억을 해두시길 바라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저희가 15,000만원을 거주자인 자녀한테 증여한다라고 하면 세금은 2억 4천만원 증여세가 발생을 하게 될 텐데 비거주자의 자녀한테 10억 5천만원을 증여한다라고 하면 증여재산 공제가 없기 때문에 2억 6천만원인 증여세가 발생을 하게 되는 겁니다 거기에만 해도 저희가 2천만원 증여세가 차이가 나는 거기 때문에 어떤게 저희의 상황이 더 맞게 이로운 상황인지는 다시 한번 꼭 점검을 받아보시길 바라겠습니다 비거주자의 자녀분한테 이렇게 증여를 하시게 되면 증여세만 생각하고 저희가 끝나셔야 되는 업무는 아니에요 그 자녀가 거주하는 나라의 또한 세금 증여사실을 신고를 해줘야 됩니다 국가마다 조금 세법은 다르긴 하지만 미국 같은 경우에는 저희가 신고를 하지 않으면 과태료도 납부를 하셔야 되는 경우들도 있습니다 또 해당하는 자산이 한국에서 소득이 발생하는 자산이다라고 하면 해당하는 소득에 대해서도 미국 당국의 해외 당국에는 신고를 하셔야 되니까 해당하는 절차들도 꼭 확인하시고 잊지 마시길 바라겠습니다 [음악] 자녀는 한국에 살아 근데 부모님이 외국에 사셔 이러한 분들도 많이 있으시거든요 그런 경우에는 어떻게 될까요 재산을 받는 사람이 국내에 살고 있기 때문에 그 사람한테 자연적으로 납세 의무가 생기게 되는 것이고요 그 사람이 납부를 하게 되면 내 무리없이 진행하게 되는 경우다라고 기억을 해주시길 바라겠습니다 [음악] 오늘은 비거주자인 자녀분들을 둔 부모님들을 대상으로 도움이 되실 만한 내용을 말씀을 드렸습니다 결국 가장 중요한 건 뭐냐 비거주 자인 자녀야 되는 거예요 경제적인 거라든지 아니면 서류적인 부분들이 정확하게 해결이 되셔야 비거주자라는 판정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우리 자녀가 비거주자인지 아닌지에 대한 판단을 궁금해 하신다라는 분이 계신다고 하면 꼭 주변에 계신 세무사님들과 상의를 하셔서 사실관계를 통해서 우리 자녀가 비거주자인지 아닌지에 대한 점검을 받아보시길 바라겠습니다 [음악]
영상 정리

영상 정리

1. 해외에 사는 자녀가 많아지고 있어요.

2. 부모님들은 해외 자녀에게 증여를 고민하죠.

3. 증여 신고와 세금 납부 방법이 헷갈릴 수 있어요.

4. 오늘 영상은 해외 자녀를 위한 증여 팁을 알려드릴게요.

5. 자녀는 계속 해외에 살 예정이고, 국내 재산을 증여하고 싶어요.

6. 부모님들이 자녀에게 증여하는 방법에 대해 자주 문의하세요.

7. 해외에 사는 자녀가 비거주자인지 여부가 가장 중요해요.

8. 거주자는 국내 주소 또는 183일 이상 거주한 사람을 말해요.

9. 해외 유학이나 일하는 경우는 비거주자로 간주되지 않아요.

10. 가족의 주소가 있으면 비거주자가 아니에요.

11. 비거주자가 되려면 경제적 독립과 결혼 등이 필요해요.

12. 비거주자인 자녀에게 증여세 계산법이 달라집니다.

13. 비거주자에게는 증여재산 공제가 적용되지 않아요.

14. 자녀가 나중에 국내로 들어오면 증여세는 부모님이 대신 낼 수 있어요.

15. 거주자 자녀에게 증여하면 증여세는 자녀가 내야 해요.

16. 부모님이 대신 납부하면 증여세로 인정받지 않아요.

17. 예를 들어 10억 증여 시, 거주자 자녀는 약 2.4억 세금 발생.

18. 비거주자 자녀는 증여세를 부모가 대신 내야 해요.

19. 부모가 세금 대신 내면 자녀는 더 많은 재산을 받아요.

20. 비거주자에게 증여하면 세금이 더 커질 수 있어요.

21. 예를 들어 15억 증여 시, 세금 차이가 2천만 원 정도나요.

22. 증여세 계산은 증여 재산 공제 여부에 따라 달라져요.

23. 해외 자녀에게 증여 후, 신고와 세금 납부도 필요해요.

24. 미국 등 나라별로 신고 의무가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

25. 한국에 사는 자녀에게 증여하면 납세 의무는 자녀에게 있어요.

26. 오늘 내용은 해외 자녀를 둔 부모님께 도움이 될 거예요.

27. 자녀가 비거주자인지 꼭 세무사와 상담해서 확인하세요.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