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vs 네이버 AI 대결! 누가 더 똑똑한지 직접 비교해봤다
AI, 우리도 잘하고 있을까? 챗GPT랑 비교해봤다!
요즘 AI가 우리 생활에 엄청 많이 들어왔잖아? 특히 3년 전에 챗GPT가 짠! 하고 나타나면서부터 말이야. 챗GPT처럼 데이터를 엄청 많이 배워서 사람처럼 말도 하고, 질문에 답도 해주는 이런 AI를 '거대 언어 모델(LLM)'이라고 하는데, 이게 AI 산업의 진짜 중요한 부분이야.
그래서 MBC에서 우리나라 AI랑 해외 유명 AI들을 비교해봤어. 우리 AI도 챗GPT만큼 똑똑할까?
챗GPT vs 네이버 클로바X: 누가 더 똑똑할까?
전문가들이랑 같이 챗GPT랑 네이버 클로바X한테 똑같은 질문을 해봤어.
- 말투 바꾸기: "나를 안 본 채 했다"라는 말을 더 자연스럽게 바꿔달라고 했더니, 챗GPT는 여러 가지 다른 느낌의 문장을 보여줬는데, 클로바X는 딱 하나만 보여줬어.
- 한국 문화 이해: 요즘 유행하는 줄임말들을 알려주고 "MZ세대 감성으로 설명해줘!"라고 했더니, 챗GPT는 '군백기'(군대 때문에 생긴 공백기) 같은 줄임말을 재치있게 설명해주고, '멘탈 바사삭' 같은 유행어도 잘 알아들었어. 근데 클로바X는 MZ세대 감성을 이해 못 한 건지 딱딱하게만 대답했대.
전문가는 클로바X가 책이나 신문에서 배운 정보만 가지고 있어서 좀 재미없게 느껴질 수 있다고 했어.
클로바X, 달라졌을까?
마침 평가가 진행될 때 네이버가 클로바X를 새롭게 업데이트했대! 그래서 똑같은 질문을 다시 해봤지.
- 말투: 예전에는 한 문장으로 대답하던 게 이제는 이유랑 논리를 설명해주면서 훨씬 길고 자세하게 바뀌었어.
- MZ세대 감성: 이번에는 MZ세대 감성을 잘 이해했는지 말투도 훨씬 친근해졌다고 해.
전문가는 우리나라 AI가 챗GPT를 따라잡은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챗GPT가 먼저 나오고 1년 뒤에 나온 거라 아직 1년 뒤쳐져 있다고 했어. 그 1년 동안 챗GPT는 더 발전해서 이제는 말로 사진이나 영상을 설명하는 기술까지 나왔대!
우리나라 AI 산업, 왜 이럴까?
2016년에 이세돌 9단이랑 알파고가 바둑 대결한 거 기억나? 그때 AI에 대한 관심이 엄청 많아졌잖아. 그런데 정부가 주도했던 AI 산업은 생각보다 잘 안 됐어.
- 박근혜 정부: AI 연구소를 만들었는데, 기업한테 돈을 내라고 해서 논란이 되고 흐지부지됐어.
- 문재인 정부: 4차 산업혁명 위원회를 만들었는데, 실제로 할 수 있는 권한이 없어서 아무것도 못 하고 결국 없어졌어.
- 윤석열 정부: AI 산업에 필요한 예산을 줄여서 오히려 AI 산업이 뒤로 가는 것 같다는 말도 있어.
전문가는 지금 AI 시장이 엄청 커지고 있는데, 우리나라가 이대로는 안 된다고 걱정하고 있어.
미래는 어떨까?
하버드대에서는 우리나라를 AI 같은 첨단 기술 분야에서 세계 5등으로 평가했어. 그런데 1등인 미국이나 2등인 중국과의 격차는 더 커지고 있고, 유럽이나 일본한테도 뒤쳐지고 있대.
특히 우리나라 이공계 학생들이 의대로 많이 가면서 반도체나 AI 같은 중요한 분야에서 일할 인재가 부족해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어.
앞으로 우리나라 AI 산업이 더 발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