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무역 붕괴 경고! 부의 흐름을 읽는 5가지 비밀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트럼프가 흔드는 세계 경제, 앞으로 어떻게 될까?
핵심 요약:
- 트럼프 때문에 미국과 중국이 서로 이익을 챙기려고 난리인데, 이걸 '약탈 파티'라고 불러.
- 미국은 트럼프가 와서 대놓고 약탈 파티를 시작했고, 중국은 몇 년 전부터 하고 있었어.
- 다행히 미국은 이걸 잘할 만큼 강하지 않아서 우리한테는 그나마 다행이야.
- 투자자라면 미국에 대한 비중을 줄이는 게 좋아. 달러든, 미국 주식이든, 채권이든 말이야.
트럼프는 어떤 사람일까?
- 트럼프는 계획이 치밀한 사람이라기보다는 일단 저지르고 보는 스타일이야.
- 자기가 한 일이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 잘 모르고, 상황을 보면서 그때그때 대처하는 거지.
- 목표는 다른 나라의 부를 가져오는 건데, 방법은 이것저것 시도하면서 정하는 거야.
- 한마디로 '큰 목표는 있지만, 그걸 이루기 위한 완벽한 계획은 없다'고 볼 수 있어.
미국의 약점은 뭘까?
- 미국의 가장 큰 약점은 바로 높은 금리야.
- 트럼프가 관세 정책을 3개월 동안 유예한 이유도 금리가 너무 올라서였어.
- 나라의 이자 지출이 국방비를 넘어서면 그 나라는 약해진다는 뜻인데, 미국이 지금 그런 상황이야.
- 높은 금리는 몇 년 뒤에 기업이나 개인들이 돈을 빌린 걸 다시 갚을 때 큰 타격을 주기 시작해. 올해부터 그런 문제가 생기기 시작한 거지.
- 미국 정부는 재정 적자를 줄이고 신뢰를 회복해야 하는데, 오히려 지출을 늘리고 있어서 돈이 부족해. 그래서 해외에서 돈을 가져오려고 하는 거야.
- 세계화가 끝나면서 금리를 낮춰도 물가가 안 오르던 시대가 끝났어. 이제 금리를 낮추기도 어려워진 거지.
미국의 관세 정책은 왜 실패할까?
- 트럼프가 관세 정책을 썼지만, 미국이 생각보다 약하다는 게 드러났어.
- 미국 국채 금리가 오르자 다른 나라들이 미국 국채를 팔아버렸고, 미국은 관세 정책을 유예할 수밖에 없었지.
- 이건 미국이 돈을 너무 많이 빌렸고, 관세 정책을 마음대로 할 힘이 없다는 걸 보여주는 거야.
- 이런 식으로 행동하면 다른 나라들이 반발해서 미국이 고립될 수 있어. 예전처럼 미국을 좋아하지 않게 되는 거지.
- 트럼프는 관세로 달러 가치를 낮춰서 수출을 늘리려 하지만, 달러를 포기하면 미국은 남는 게 없어.
중국은 어떤 상황일까?
- 중국도 미국처럼 '약탈 파티'를 하고 있어.
- 과잉 생산한 물건을 다른 나라에 덤핑해서 그 나라 제조업을 망가뜨리는 방식으로 가고 있지.
- 미국과 중국은 서로 다른 편을 들고 있는데, 요즘 미국이 러시아와 손잡고 중국을 견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이게 앞으로 어떻게 될지가 중요해.
러시아 푸틴은 어떤 입장일까?
- 푸틴은 서방 세력도 싫어하고 중국도 싫어해. 기본적으로 다 싫어하는 사람이지.
- 그래서 미국에 붙을지, 중국에 붙을지, 아니면 중립을 지킬지 지켜봐야 해.
중동과 한국은?
- 중동에서는 에너지 시설을 건드리지 말자는 불문율이 깨졌어. 앞으로 더 큰 문제가 생길 수도 있어.
- 중국은 미국에게 불리한 지리적, 에너지, 식량 문제를 AI로 뒤집으려고 하고 있어. 중국이 AI에서 미국을 앞서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지.
- 한국은 과거에 반도체, 인터넷 흐름을 잘 탔지만, 이제는 AI에 올인해야 해.
- 하지만 한국이 AI를 따라가기에는 이미 늦었고, 한국 사람들의 마인드도 부족하다는 의견도 있어. 그래도 실패하면 망하는 거니까 시도는 해봐야 해.
미국에 공장을 짓는 건 어떨까?
- 미국에 공장을 지어도 생산성이 낮고 임금도 높아서 별로 도움이 안 될 수 있어.
- 규제도 많고 노조도 강해서 비용이 많이 들고, 관세 혜택도 크지 않을 수 있지.
한국은 어떻게 해야 할까?
- 한국은 미국 눈치를 너무 보지 말고, 오히려 미국에게 할 말을 해야 해.
- 예를 들어, "배 안 만들어 줄 거야", "메모리 반도체 수출 안 할 거야" 같은 식으로 말이야.
- 흐지부지 작전으로 나가는 게 한국에게 더 좋을 수도 있어.
미래 전망은?
- 한국 조선 산업은 북극 해양이 발달하면서 다시 좋아질 가능성이 있어.
- 하지만 미국과 중국을 따라잡기는 어렵고, 비슷하게만 가도 성공이라고 볼 수 있지.
- 저성장, 저출산 때문에 미래가 비관적이라는 시각도 있지만, AI 혁명으로 생산성이 폭발할 거라는 낙관적인 시각도 있어.
- 100년 뒤 사람들은 지금 우리를 보고 "어떻게 저렇게 미개하게 살았지?"라고 비웃을지도 몰라.
- 지금은 혼란스러운 시대지만, 10년, 20년 뒤에는 AI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고성장 시대로 바뀔 거라고 예상돼.
그래서 뭘 사야 할까?
- 미국 경제가 약해지면 금융 자산(주식, 채권)이 불리해질 수 있어.
- 미국 외 다른 나라에 투자하는 게 좋고, 특히 중국의 AI 산업을 주목해야 해.
- 달러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달러 비중을 줄이고 금, 비트코인, 은에 관심을 가져보는 것도 좋아.
- 앞으로 5년에서 10년은 혼란스러운 시기일 수 있으니, 자산을 잘 지키면서 넘겨야 해.
결론적으로,
지금은 미국과 중국이 서로 이익을 챙기려고 하는 '약탈의 시대'야. 미국은 높은 금리와 부채 때문에 약해지고 있고, 중국은 AI로 미국을 추격하고 있어. 한국은 AI에 집중하고, 미국에 너무 의존하지 않는 전략을 세워야 해. 앞으로 10년 정도는 혼란스럽겠지만, AI 시대를 잘 준비하면 더 나은 미래를 맞이할 수 있을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