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세특 폐지 논란! 입시 현실을 뒤흔드는 진짜 이유 공개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세특, 왜 없애야 할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학교생활기록부의 '세특'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

세특이란?

세특은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의 줄임말이에요. 학교생활기록부에서 교과 성적 옆에 붙는 내용인데, 쉽게 말해 "성적 말고 네가 이 과목에서 뭘 더 잘했는지, 어떤 특별한 점이 있는지 설명해주는 글"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왜 세특을 없애야 할까?

저는 세특이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 이유는 다음과 같아요.

  1. 누구를 위한 제도인가?

    • 세특 때문에 선생님들은 엄청난 업무 부담을 느껴요. 한 반에 30명씩만 해도 100명이 넘는데, 100명 학생의 개별적인 특성을 파악해서 500자씩 써주는 게 가능할까요?
    • 심지어 부정적인 표현도 쓰지 말고, 복사도 안 된다고 해요. 5등급 학생의 성적을 보완해 줄 만한 내용을 쓰면서도 학부모님 심기를 건드리지 않고, 교육부 방침도 따라야 하니 정말 힘들겠죠.
    • 이렇게 힘들게 써줘도 학부모님들은 "학교가 해주는 게 없다"며 불만을 토로하기도 해요.
  2. 학생과 학부모에게 정말 도움이 될까?

    • 학생과 학부모는 세특 관리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불안해하지만, 사실 세특은 선생님이 쓰는 거예요. 학생이 직접 관리하는 게 아니죠.
    • '활동'과 '작성'을 혼동하거나, '나열식으로 쓰면 안 된다'는 등 이해하기 어려운 지침도 많아요.
    • 가장 중요한 건, 성적이 훨씬 더 중요하다는 거예요. 아무리 세특을 잘 써도 성적이 안 좋으면 대학에 합격하기 어렵죠. 마치 야구 선수가 아무리 열심히 훈련해도 성적이 안 나오면 인정받지 못하는 것처럼요.
  3. 대학은 세특을 얼마나 볼까?

    • 대학들은 "우리는 세특 보고 뽑는다"고 말한 적이 없어요. 대부분 "학교생활을 열심히 한 학생을 뽑는다"고 하는데, 그 증거는 바로 성적이에요.
    • 대학들은 미적분 3등급 맞고 세특을 잘 쓰는 것보다, 그냥 미적분 등급이 더 중요할 거예요.
  4. AI 시대의 세특

    • 요즘에는 GPT 같은 AI를 활용해서 세특을 작성하는 경우가 늘고 있어요. 그런데 교육부나 대학에서는 이에 대한 명확한 방침이 없어요.
    • AI로 세특을 쓰고, AI로 학생을 선발하는 시대가 올 수도 있다는 거죠. 이건 정말 심각한 문제예요.

결론

이쯤 되면 세특은 그냥 없애는 게 맞다고 생각해요. 세특을 없애면 많은 문제가 해결될 거예요.

교사들에게 물어봐도, 대학에 물어봐도 "없애도 된다"는 의견이 많을 거예요. 물론 세특을 없애는 대신 다른 평가 방법을 도입해야겠지만요.

결정권자라면, 제발 세특을 없애주세요!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