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톡·카뱅 대신 텔레그램·토스로 이사간 놀라운 이유 공개!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 우리 사회가 전체주의로 가고 있어요. 별로 기분이 안 좋아요.
- 변화 없이 일상이 계속되고 있어요.
- 죽어가는 개구리처럼 느껴지네요.
- 안녕하세요, 책 읽는 사제입니다.
- 이 영상은 17일에 업로드될 예정입니다.
- 6월 16일 카카오톡이 검열 정책을 시작했어요.
- 내부 정책이 검열을 강화하는 날이었어요.
- 중국 자본이 얼마나 들어갔는지 알아봤어요.
- 카카오톡은 성착취 대화는 막고 있어요.
- 테러 모의, 선전, 폭력 정보는 신고 후 처리라고 해요.
- 사전 검열이 아니라고 강조하지만 걱정돼요.
- 악법은 해석 여지를 남긴 조항이에요.
- 검열이 악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봐요.
- 3년 전 마스크 착용과 비슷한 경험이 있어요.
- 유튜브 경고를 여러 번 받은 적도 있어요.
- 카카오 측은 신고 기반이라고 해요.
- 하지만 감시와 검열이 우려돼요.
- 카카오톡은 대화 내용이 암호화돼요.
- 데이터는 2~3일만 저장되고 삭제돼요.
- 트위터 사례를 보면 걱정이 커져요.
-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 내용을 폭로했어요.
- 검열과 삭제 사례가 많았어요.
- 글로벌 플랫폼도 검열 논란이 있어요.
- 구글, 트위터도 내부 폭로가 있었어요.
- 일부 대기업은 좌파 성향 검열을 해요.
- 카카오톡은 테러 조직 지지도 문제라고 해요.
- 알카에다, 탈레반, 하마스 같은 단체를 언급했어요.
- 인간은 원래 믿기 쉽고, 조심해야 해요.
- 중국, 북한, 독재국가 사례도 많아요.
- 홍콩 사태도 예로 들 수 있어요.
- 디지털 검열과 독재 가능성을 우려해요.
- 2023년 2월 기준 중국 자본이 들어갔어요.
- 10센트가 카카오 지분 5.9%를 갖고 있어요.
- 카카오페이의 중국 지분은 32%였어요.
- 카카오페이 2대 주주는 중국 자본이에요.
- 카카오뱅크는 1.6% 지분을 갖고 있어요.
- 전체 지분 중 중국은 6% 정도예요.
- 국민연금도 6%를 보유하고 있어요.
- 그래서 중국 자본이 3대 주주예요.
- 카카오페이 지분이 꽤 많아서 걱정돼요.
- 저는 개인적으로 카카오톡을 거의 안 써요.
- 대신 텔레그램, 와치앱을 사용하려고 해요.
- 카카오뱅크도 토스로 옮겼어요.
- 소비자로서 신념을 지키고 싶어요.
- 여러분도 선택은 자유예요.
- 카카오톡은 사회생활에 필요하지만, 걱정돼요.
- 너무 극단적이면 계정을 없애는 것도 고려하세요.
- 일상생활은 그대로지만, 신념도 중요하다고 봐요.
- 전체주의 사회로 가는 것 같아 걱정돼요.
- 변화 없는 일상은 개구리처럼 느껴질 수 있어요.
- 다음 영상에서 다시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