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 이월과세! 세금 줄이려면? I세금 아끼는 길: 세무로I
2025년 달라지는 주식 세금, 쉽게 알아보자! 💰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년부터 주식 관련해서 세금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중학생도 이해하기 쉽게 알려줄게요. 복잡한 세금 이야기, 세무사님과 함께 쉽고 재미있게 풀어볼게요!
왜 작년에 가족끼리 주식을 주고받았을까? 🤔
작년에 가족끼리 주식을 주고받는 경우가 많았대요. 그 이유는 2025년부터 주식을 증여받고 바로 팔면, 원래 주식을 준 사람의 취득 가격으로 세금을 계산하게 되기 때문이에요. 이걸 '이월 과세'라고 하는데, 이걸 피하려고 작년에 미리 주식을 주고받은 거죠.
이월 과세가 적용되는 주식:
- 대주주가 가진 상장 주식
- 장외거래 상장 주식
- 비상장 주식
- 해외 주식
이월 과세, 도대체 뭘까? 🧐
이월 과세는 쉽게 말해, 주식을 증여받은 사람이 바로 팔면, 세금을 계산할 때 증여받은 가격이 아니라 원래 주식을 준 사람의 취득 가격을 적용하는 것이에요.
예시:
- 아빠: 10,000원에 주식 샀어요.
- 아들: 아빠한테 주식을 20,000원에 증여받았어요.
- 아들: 증여받고 바로 30,000원에 팔았어요.
이월 과세가 적용되면:
- 아들이 주식을 판 가격: 30,000원
- 아들이 주식을 산 가격 (이월 과세 적용): 아빠의 취득 가격인 10,000원
- 양도 차익: 30,000원 - 10,000원 = 20,000원
이월 과세가 적용되지 않으면:
- 아들이 주식을 판 가격: 30,000원
- 아들이 주식을 산 가격: 증여받은 가격인 20,000원
- 양도 차익: 30,000원 - 20,000원 = 10,000원
보시다시피 이월 과세가 적용되면 양도 차익이 커져서 세금을 더 많이 내야 해요. 그래서 작년에 미리 주식을 주고받은 거죠.
이월 과세, 언제부터 적용될까? 🗓️
- 2025년 1월 1일 이후에 증여받은 주식부터 적용돼요.
- 증여받은 날로부터 1년 이내에 팔면 이월 과세가 적용될 수 있어요.
주의할 점!
- 이월 과세가 적용된다고 해서 무조건 1년 동안 못 파는 건 아니에요. 팔 수는 있지만, 세금이 더 많이 나올 수 있다는 거죠.
- 이월 과세는 배우자 또는 직계존비속 (부모, 자녀 등) 간의 증여에만 적용돼요.
이월 과세, 무조건 적용되는 건 아니라고? 😮
아니요, 무조건 적용되는 건 아니에요! 이월 과세를 적용했을 때보다 적용하지 않았을 때 세금이 더 적게 나온다면, 이월 과세를 적용하지 않아요.
예시:
- 아빠: 10,000원에 주식 샀어요.
- 아들: 아빠한테 주식을 8,000원에 증여받았어요. (증여 당시 가격이 아빠의 취득 가격보다 낮아짐)
이런 경우에는 이월 과세를 적용하면 아들의 취득 가격이 10,000원이 되어서 양도 차익이 더 커져요. 그래서 이월 과세를 적용하지 않고, 아들이 증여받은 가격인 8,000원을 취득 가격으로 계산해서 세금을 내는 게 더 유리해요.
부동산에도 이월 과세가 있다고? 🏡
네, 맞아요! 부동산에도 이미 이월 과세 규정이 적용되고 있어요. 다만, 부동산은 증여받고 10년 이내에 팔면 이월 과세가 적용되는 반면, 주식은 1년 이내에 팔면 적용될 수 있다는 차이가 있어요.
마무리하며 🚀
2025년부터 주식 관련 세금이 달라지니, 주식 투자할 때 오늘 알려드린 내용들을 꼭 기억하고 절세할 수 있는 부분을 잘 챙기세요!
구독, 좋아요, 알림 설정 잊지 마세요! 다음에 더 유익한 정보로 돌아올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