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1600만 명 베이버부머가 지방을 살릴 겁니다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마강래 교수)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베이비부머 세대, 지방으로 간다?

요약:

우리나라의 '베이비부머' 세대(55년생~74년생)는 인구가 많아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들은 은퇴 후 지방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지방 중소도시와 중소기업에게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야. 하지만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주택 공급, 일자리 연계, 사회적 지원 등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많아.


1. 베이비부머, 누구인가?

  • 정의: 1955년생부터 1974년생까지, 약 1,600만 명에 달하는 우리나라의 큰 인구 집단이야.
  • 과거: 어릴 때는 많다는 이유로 입시, 취업, 승진 등 모든 면에서 '난'을 겪었어. 사회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발전을 이끌기도 했지만, 때로는 '애물단지' 취급을 받기도 했지.
  • 현재: 은퇴를 앞두거나 은퇴한 시기야. 하지만 여전히 국가 경제와 사회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2. 왜 지방으로 가려고 할까?

  • 고향에 대한 그리움: 어린 시절을 보낸 고향에 대한 추억과 애착 때문에 돌아가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아.
  • 도시 생활의 피로감: 복잡하고 경쟁적인 도시 생활에 지쳐 좀 더 여유롭고 자연 친화적인 삶을 원하는 사람들도 있어.
  • 경제적 요인: 수도권의 높은 집값과 생활비 부담 때문에 상대적으로 저렴한 지방으로 눈을 돌리는 경우도 있지.
  • 정신적 행복감: 통계적으로 55~60세 사이가 행복감이 바닥을 치다가 나이가 들수록 정신적인 행복감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런 심리적 요인도 작용할 수 있어.

3. 지방 중소도시와 중소기업의 상황

  • 인구 감소: 많은 지방 중소도시들이 청년층 유출로 인해 인구 감소 위기를 겪고 있어.
  • 일자리 부족: 청년층이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면서 중소기업들은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어. 특히 기술직 인력 부족이 심각한 상황이야.
  • 원도심 쇠퇴: 신도시 개발 등으로 원도심이 비어가면서 지역 경제와 문화가 쇠퇴하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지.

4. 베이비부머의 지방 이주, 가능할까?

  • 긍정적인 측면:
    • 인구 유입: 베이비부머 세대의 지방 이주는 인구 감소 위기를 겪는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어.
    • 일자리 해소: 지방 중소기업의 인력난을 해소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
    • 지역 경제 활성화: 이들의 소비와 활동이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 수도권 과밀 해소: 수도권 인구 집중을 완화하고 부동산 시장 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어.
  • 해결 과제:
    • 주택 공급: 지방에는 베이비부머가 거주할 만한 주택이 부족하거나 노후된 경우가 많아.
    • 일자리 연계: 지방 중소기업에서 베이비부머가 원하는 일자리(기술직, 사무직 등)가 충분히 있는지, 유연 근무가 가능한지 등을 고려해야 해.
    • 사회적 지원: 주택, 일자리 외에도 의료, 복지, 문화 등 정착을 위한 사회적 지원 시스템이 필요해.
    • 자생력 확보: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에만 의존하기보다는 지역 스스로 자생력을 갖출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해.

5. 성공 사례와 제언

  • 함양군 서하면 서초등학교 사례: 학생 수 감소로 폐교 위기에 놓였던 학교에 LH와 협력하여 임대 주택을 공급하고, 서울 등지에서 학생들을 유치하여 학교를 살린 사례야. 이는 지방 소멸 위기에 대응하는 하나의 모델이 될 수 있어.
  • 제언:
    • 맞춤형 주택 공급: 베이비부머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주택을 단지 형태로 공급하여 공동체 형성을 지원해야 해.
    • 일자리 매칭 강화: 지방 중소기업과 베이비부머를 효과적으로 연결해주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해. 특히 사무직, 마케팅 등 다양한 직무에 대한 수요를 파악해야 해.
    • 사회적 임금 활용: 정부의 다양한 복지 프로그램이나 지원금을 활용하여 지방 정착에 필요한 생활비를 보충해주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어.
    • 지역 자부심 고취: 지역의 역사, 문화, 자연환경에 대한 자부심을 높이고 이를 활용한 콘텐츠 개발을 통해 매력적인 정착지로 만들어야 해.
    • 정부 및 지자체의 적극적인 역할: LH와 같은 공공기관의 참여를 확대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정책을 개발하여 베이비부머의 지방 이주를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해.

결론적으로, 베이비부머 세대의 지방 이주는 단순히 개인의 선택을 넘어 국가적인 차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져. 이들의 경험과 지혜를 활용하고, 지방의 활력을 되찾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해. 이를 통해 베이비부머 세대와 지방 모두에게 긍정적인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을 거야.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