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색육 건강 해설과 논란 정리, 유사 의학 폭로 비법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 지난 인터뷰 영상이 정말 인기가 많았어요.
- 그래서 프리님을 다시 초대했어요.
- 프리님은 유튜브 채널도 운영하고 있어요.
- 채널에서는 건강한 식단과 재생농업 이야기를 해요.
- 최근 정교수의 붉은 고기 영상에 대해 이야기했어요.
- 프리님은 영상 전체를 보고 실망했다고 하셨어요.
- 영상은 적생력과 관련된 역학 조사만 인용했어요.
- 역학 조사는 두 사건 간 상관관계 탐색 연구예요.
- 상관관계는 인과관계를 증명하지 않아요.
- 예를 들어 UFO와 등유 소비량이 비슷하다고 해요.
- 이건 우연의 일치일 뿐이라는 게 포인트예요.
- 많은 연구들이 근거 없는 상관관계를 보여줘요.
- 설문조사로 수집한 데이터는 신뢰하기 어려워요.
- 사람들이 실제 먹은 양을 기억 못하는 경우가 많아요.
- 설문조사는 부정확하고 오염된 데이터예요.
- 연구자들은 왜곡된 데이터를 과대포장해요.
- 상대 위험도는 의미 없고, 절대 위험도 중요해요.
- 예를 들어 달걀 섭취와 심장병은 큰 연관이 없어요.
- 작은 차이만으로도 과대포장하는 게 문제예요.
- 연구는 가설 제시용일 뿐, 인과관계 증명 아니에요.
- 음식 설문조사 연구는 거의 쓸모없어요.
- 이런 연구에 돈과 시간 낭비가 심각해요.
- 역학 조사를 악용하는 사례들이 많아요.
- 일부 연구자들은 의도적으로 과장하는 것 같아요.
- 이런 연구들이 정책과 언론에 악영향을 미쳐요.
- 대중들은 잘못된 정보에 속기 쉽고요.
- 예를 들어, 17% 증가도 의미 없어요.
- 실제 위험도는 훨씬 낮을 수 있어요.
- 예를 들어, 대장암 위험은 0.6% 정도일 뿐이에요.
- 연구 결과를 과대포장하는 게 문제예요.
- 역학 조사는 가설 제시용으로만 써야 해요.
- 관찰 연구는 신뢰할 수 없어요.
- 설문조사 연구는 특히 더 신뢰할 수 없어요.
- 이런 연구는 사회적 공해라고 생각해요.
- 일부 유명 연구자들은 큰 해악을 끼쳤어요.
- 그들은 통계적 장난으로 대중을 속여요.
- 이런 연구들은 조직적 범죄 같다고 느껴져요.
- 정책과 가이드라인이 잘못될 위험이 커요.
- 잘못된 연구로 사회적 약자에게 피해가 가요.
- 예를 들어, 학교 급식 정책이 그 예예요.
- 건강한 식단 가이드라인은 과학적 근거 필요해요.
- 부정확한 연구에 의존하면 안 돼요.
- 진짜 인과관계를 밝혀야 정책이 제대로 돼요.
- 결론적으로, 이런 연구는 사기와 같다고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