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Gemini Deep Think & OPAL 솔직 사용기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이번 주 AI 소식 정리 (중학생 눈높이)

이번 주 AI 소식은 크게 두 가지야!

  1. 구글 제미나이 딥크 모델 출시!
  2. 구글에서 만든 앱 만들기 도구 '58' (이름이 좀 어렵네!) 사용 후기

이것 말고도 몇 가지 흥미로운 소식들이 더 있어. 하나씩 쉽게 알려줄게!


1. 지난주 오프라인 세미나 후기

  • 주제: AI 에이전트가 바꾸는 R&D의 미래
  • 누가 왔냐면: 과학 기술 연구원, 키스트, 철도기술연구원 등 여러 전문가들이 모여서 AI 에이전트가 연구개발에 어떻게 쓰이는지 이야기했어.
  • 반응: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와서 (60~70명 정도) 열띤 토론을 했고, 온라인으로도 186명이나 봤대! 👍
  • 못 본 사람들은: 채널에서 다시 볼 수 있으니 꼭 봐봐!

2. GLM 4.5 모델 공개! (중국에서 만든 똑똑한 AI)

  • 뭐냐면: 중국에서 만든 AI 모델인데, 지금 공개된 모델 중에 성능이 제일 좋아!
  • 얼마나 좋냐면: 유명한 클로드 4 Opus나 GPT-4, Claude 3보다 더 뛰어나다고 해.
  • 장점: AI 에이전트 기능이랑 똑똑하게 생각하는 능력(리즈닝)이 엄청 좋아.
  • 아쉬운 점: GPU가 없으면 이걸 쓸 수가 없어. 😭 연구실에서도 이런 좋은 모델을 쓸 수 있게 지원해주면 좋겠어.

3. 구글 제미나이 딥크 모델 드디어 공개! (울트라 구독자만 가능)

  • 뭐냐면: 구글 제미나이 구독 서비스가 두 가지로 나뉘는데, '울트라' 구독자만 쓸 수 있는 기능이야.
  • 가장 큰 특징: 생각을 엄청 많이 해! 마치 여러 명의 AI가 동시에 토론하는 것처럼.
  • 성능: IMO(국제수학올림피아드) 금메달 수준이라고 하는데, 이건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이번에 나온 건 동메달 이상 수준이라고 해.
  • 벤치마크 결과: GPT-4나 Claude 3보다 수학, 코딩, 추론 능력에서 훨씬 뛰어나다고 주장하고 있어.
  • 사용 후기:
    • 질문하면 바로 답하는 게 아니라 '준비 중'이라는 과정이 나와.
    • 아쉬운 점: GPT-4처럼 AI가 어떻게 생각하는지 과정을 보여주지 않아.
    • 쉬운 질문: 지구 자전/공전 고려해서 우리나라 움직이는 속도 계산 같은 건 당연히 잘 풀어.
    • 복잡한 질문: '우리나라 R&D 혁신을 위한 에이전트 도입 전략 수립' 같은 질문도 해봤는데, 일반 제미나이 프로랑 큰 차이는 없었대. 오히려 일반 모델이 더 자세한 자료 조사를 해서 보고서 퀄리티는 더 나은 것 같기도 하대.
    • 충격적인 사실: 하루에 딱 5번만 쓸 수 있어! 😱 생각하는 데 토큰을 많이 써서 그런가 봐.
    • HTML로 구조 만들기: 아이언맨 장면을 복셀 구조로 만들어달라고 했더니 잘 만들었어.
    • 결론 내주기: '아이언맨 아크 원자로 가능성' 같은 질문에 대해 '거의 불가능하다'는 식으로 명확한 결론을 내려줘.
    • 코딩 능력: 유체 방정식 푸는 코드를 만들어달라고 했는데, 일반 모델보다 훨씬 잘 작동하는 코드를 바로 만들어줬대. 이건 정말 대단하다고 느꼈어!
  • 결론: 아직은 사용 횟수 제한이 아쉽지만, 분명히 강력한 성능을 보여주는 모델이야.

4. 구글 '58' (이름이 어려운 앱 만들기 도구)

  • 뭐냐면: 말로 설명하면 AI가 앱을 만들어주는 도구야. 마치 레고 블록처럼 AI 기능들을 조합해서 나만의 앱을 만들 수 있어.
  • 현재 상황: 아쉽게도 미국에서만 사용 가능해. (하지만 우회해서 써볼 수는 있대!)
  • 사용 후기:
    • 주간 AI 뉴스 요약 PPT 만들기: 일주일 동안 AI 관련 뉴스를 조사해서 PPT를 만들어줬는데, 꽤 괜찮았대. 국내외 동향, 미중 이슈, 연구 동향 등을 잘 정리해줬어.
    • 기능:
      • 사용자 입력: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부분
      • 생성: AI가 정보를 만들어내는 부분
      • 출력: 원하는 형태로 결과를 보여주는 부분
    • 툴: 현재는 구글 검색, 날씨 정도만 쓸 수 있어.
    • 결과물: PPT, 블로그 글 등으로 만들 수 있어.
    • 아쉬운 점: 아직 베타 버전이라 그런지 영상 만드는 건 오래 걸리고 잘 안 되고, 유튜브 링크 요약도 잘 안 된대.
  • 결론: 기존 AI 서비스들을 조합해서 나만의 앱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은 좋지만, 아직은 기능이 제한적이고 불안정한 부분이 많아. 앞으로 더 발전하면 좋겠어!

5. AI 에이전트가 신약 개발 속도를 높인다! 💊

  • 뭐냐면: AI 에이전트들이 협력해서 단 며칠 만에 새로운 코로나 치료제 후보 물질을 찾아냈어! (스탠포드 연구진 논문)
  • 어떻게 했냐면: 마치 연구팀처럼 AI 에이전트들이 역할을 나눠서 토론하고 협력하며 연구를 진행했대.
  • 사용한 AI 모델: 메타의 ESM, 디마인드의 알파폴드, 베이커 연구실의 로제타폴드 등 여러 모델을 조합해서 사용했어.
  • 의미: 사람이 하려면 몇 달씩 걸릴 연구를 AI가 단기간에 해낸 거야. 앞으로 신약 개발이 훨씬 빨라질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 사례야.

6. AI가 연구 과정까지 자동화한다! 🚀

  • CFD 해석: 복잡한 시뮬레이션을 할 때 필요한 입력 파일을 AI가 말로 설명하는 것만으로 만들어준대.
  • 자가 진화 에이전트: AI 에이전트가 스스로 성능을 개선하고 발전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야. 이게 미래에는 인간을 초월하는 AI가 나올 수도 있다는 걸 의미해.

7. 올라마(Ollama)에 챗봇 UI가 생겼다! 💬

  • 뭐냐면: 오픈 소스 AI 모델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올라마에 드디어 챗봇처럼 쓸 수 있는 기능이 생겼어.
  • 장점: 설치만 하면 바로 챗봇처럼 사용할 수 있고, 파일 업로드도 가능해.
  • 아쉬운 점: 큰 문서를 올리면 내용이 잘리는 것 같아.
  • 결론: 오픈 소스 모델을 가볍게 사용하기에 아주 좋은 도구가 될 것 같아.

8. 테슬라에 그록(Grok) 탑재 예정! 🚗

  • 뭐냐면: 테슬라 차량에 AI 챗봇 그록이 탑재될 예정이야.
  • 기대 효과: 운전 중에 심심하지 않게 농담도 하고 대화도 할 수 있을 것 같아.

9. AI 에이전트 사용 시 주의사항! ⚠️

  • 윈도우 시스템 날려 먹은 사건: 제미나이 CLI를 잘못 사용해서 윈도우 시스템이 날아갔다는 이야기가 있어.
  • 중요: AI 에이전트를 사용할 때는 폴더 권한 같은 것을 조심해서 설정해야 해.

10. AI 요약 기능 때문에 뉴스 사이트 트래픽 80% 감소! 📉

  • 뭐냐면: 구글 검색 결과에서 AI가 내용을 요약해주면서 사람들이 직접 뉴스 기사를 클릭해서 보는 빈도가 크게 줄었대.
  • 문제점: 이 때문에 온라인 뉴스 미디어들이 광고 수입에 큰 타격을 입고 있어.
  • 결론: AI가 정보를 쉽게 제공해주면서 원문을 읽는 문화가 줄어드는 것은 뉴스뿐만 아니라 논문 등 다른 분야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문제야.

11. 엔트로픽(Anthropic)이 오픈AI보다 많이 쓰인다? 😮

  • 뭐냐면: API 사용량 통계를 보면 엔트로픽의 클로드 모델이 오픈AI보다 더 많이 사용되고 있대.
  • 이유: 가성비가 좋아서 구글이 더 많이 쓰일 줄 알았는데, 상업적으로는 엔트로픽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어.

12. 중국 모델 사용 제한 늘어나는 추세 🇨🇳

  • 뭐냐면: 텐센트 같은 중국 기업에서 좋은 AI 모델들을 많이 공개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사용이 제한되는 경우가 늘고 있어.
  • 이유: 아직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한국을 견제하거나 법적인 이슈 때문일 수도 있다고 해.
  • 결론: 좋은 오픈 소스 모델들이 많이 나오는 건 좋지만, 동시에 사용 제약도 생기는 것 같아.

오늘 소식은 여기까지야! 다음 주에도 재미있는 AI 소식으로 돌아올게! 😊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