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미국 석사 후회 없을까? 대기업 퇴사 후 현지 취업 성공 비법 공개!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미국 취업 성공 후기 인터뷰 정리

최근 미국에서 석사 과정을 마치고 취업에 성공한 분을 모시고 인터뷰를 진행했어요. 이분은 미국 기업, 미국 내 한국 기업, 한국 대기업까지 총 세 곳에서 오퍼를 받았다고 해요. 미국 취업을 고민하거나 대학원 진학을 생각하는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될 만한 이야기들을 들려주셨어요.

자기소개

  • 한국에서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LG 계열사에서 영업 마케팅 경력을 4년 쌓았어요.
  • 커리어 전환과 학벌에 대한 고민으로 퇴사 후 방송통신대 컴퓨터공학과에서 선수 과목을 이수했어요.
  • 잠깐 일을 하다가 캘리포니아의 한 대학에서 데이터 분석학 석사 과정을 3개월 전에 졸업하고 미국 취업을 앞두고 있어요.

대기업 퇴사 이유

  • 대기업에서 임원이 되거나 회사 돈으로 MBA를 가는 것 외에는 더 이상 성장하기 어렵다고 느꼈어요.
  • 젊음을 더 의미 있게 쓰고 싶었고, 한국 대기업 조직에서는 세부적인 권한만 가지고 오랜 시간을 보내야 하는 점, 이직이 어렵다는 점이 아쉬웠어요.
  • 자신의 역할이 단순히 엑셀을 잘하는 것을 넘어, 남들이 하지 않는 것을 찾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리더십에게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 이런 부분에서 자유롭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 앞서 있는 미국에서 석사 과정을 밟기로 결심하고 퇴사했어요.

미국 석사 학위의 취업 영향력

  • 총 1,000개 이상의 서류를 제출하며 느낀 난이도:
    • 가장 쉬움: 미국 내 한국 기업
    • 중간: 한국 내 한국 대기업 상위 부서
    • 가장 어려움: 미국 내 미국 기업
  • 난이도 이유:
    • 전 세계 지원자들과 경쟁해야 함.
    • 학생 비자(F1), OPT 등 신분상의 제약으로 풀타임 전환이 필수적임.
  • 석사 학위의 중요도:
    • 미국 내 한국 기업 & 한국 내 한국 대기업: 석사 학위를 핵심 인재로 분류하고 간소화된 면접 전형이나 인적성 검사를 진행하는 등 높게 평가해요.
    • 미국 내 미국 기업: 석사 학위가 '마이너스'가 되지 않는 정도라고 해요. 데이터 분석학 전공이 이미 포화 상태이고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한국인 지원자만 비교하면 경쟁률이 훨씬 낮아 유리한 측면도 있어요.

면접 과정의 차이

  • 한국 기업:
    • 예의 바름, 소통 능력 등 인성적인 부분을 중요하게 봐요.
    • 기술적인 질문도 있지만,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답변하는 경우가 많아요.
    • 조직의 틀을 깨지 않고 협업할 수 있는지를 중요하게 평가해요.
    • 기업에 대한 조사와 분석 능력을 중요하게 봐요.
  • 미국 기업:
    • 실질적인 역량과 바로 업무에 투입될 수 있는지를 평가해요.
    • 파이썬, SQL 등 실제 코딩 테스트를 보거나 기술 질문에 일정 개수 이상 맞춰야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등 정량적인 기준이 명확해요.
    • 비즈니스 케이스 인터뷰를 통해 실제 업무 환경에서의 역량을 평가하기도 해요.
  • 미국 내 한국 기업:
    • 포지션명과 다르게 사용하는 툴이 제한적이거나, '버틸 수 있는지'와 같은 인성 면접에 가까운 질문을 하는 경우가 많았어요.
    • 전문성보다는 인성이나 조직 적합성을 더 보는 경향이 있었어요.

네트워킹의 중요성

  • 미국 기업: 네트워킹 없이는 취업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느꼈어요.
    • 많은 서류가 내부 사정이나 관계 때문에 읽히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
    • 학교에서 제공하는 기업 설명회나 아는 사람을 통한 추천 등 적극적인 네트워킹이 중요해요.
    • LinkedIn을 통해 채용 담당자와 직접 소통하는 것이 효과적이에요.
  • 한국 기업 (한국 및 미국 내 한국 기업): 네트워킹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았어요.
    • HR 프로세스에 따라 체계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요.
    • 간혹 대학원 단톡방 등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지원하는 경우는 있었지만, 미국 기업만큼 필수적이지는 않았어요.

연봉 및 처우 차이

  • 연봉: 미국 기업이 한국 기업보다 약 두 배 정도 높아요.
  • 한국 기업:
    • 연봉 테이블 안에서 움직이며, 형평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큰 폭의 상승은 어려워요.
    • 미국 석사 학위가 전략 기획 등 상위 부서 채용에 유리하게 작용하며, 연봉 테이블에서 맥스로 쳐주는 경향이 있어요.
  • 미국 내 한국 기업:
    • 시장 가격의 약 70% 수준으로 연봉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아요.
    • 그린카드 지원 등 다른 혜택을 제시하기도 하지만, 확신하기 어렵고 전문성 측면에서 아쉬운 부분이 있을 수 있어요.
  • 릴로케이션 비용: 미국 기업이 한국 기업보다 약 다섯 배 정도 더 많이 지원해줘요.

미국 취업/대학원 준비생에게 조언

  • 명확한 아이덴티티 설정: 자신이 어떤 분야의 전문가가 되고 싶은지, 어떤 커리어를 쌓고 싶은지에 대한 명확한 목표 설정이 중요해요.
  • 전공 선택 시 고려사항: 단순히 인기 있는 전공보다는 자신의 기존 경력이나 경험과 연관 지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전공을 선택하는 것이 좋아요.
  • 인턴십 경험: 미국 취업을 목표한다면, 대학원 진학 전에 인턴십 경험을 쌓는 것이 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 스토리텔링: 자신의 경험과 목표를 연결하여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스토리텔링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해요.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