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클 생기부 판별소] 생기부 A~D등급 입학사정관은 어떻게 평가하나요?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생기부 판별소: 내 생기부, 합격 가능할까?
입시가 막막할 때 유니브 클래스가 도와줄게! 고려대 입학사정관 출신 김민경 쌤과 생기부 클래스 멘토 김다니엘 학생이 여러분의 생기부를 꼼꼼하게 봐줄 거야.
생기부 판별소, 어떻게 진행될까?
-
평가 기준:
- 탐구 동기: 스스로 무언가를 탐구하려는 의지가 있었는지?
- 진로 연관성: 희망하는 진로나 계열과 관련이 있었는지?
- 활동 깊이: 활동을 얼마나 구체적이고 깊이 있게 했는지?
-
평가 방식:
- 김민경 쌤 (전 입학사정관): 생기부 전체적인 평가
- 김다니엘 멘토 (합격 선배): 생기부에 대한 구체적인 피드백
실제 생기부 분석 (5명 사례)
1. 화학원 세특 (고려대 희망, 2등급)
- 내용: 화학 관련 도서 2권 읽고 내용 숙지, 이해, 설명함.
- 아쉬운 점: 책을 읽었다는 사실 외에 구체적인 내용이나 탐구 과정이 부족함. 교과 지식 이해 수준에 그침.
- 평가: C등급
- 개선 방안: 사회적 쟁점과 연결하여 토론하고 자신의 주장과 근거를 구체적으로 기재하면 좋음.
2. 수학 세특 (일반고, 2.12등급)
- 내용: 딥러닝 알고리즘 소개, 논리 회로 구성 과정에서 시행착오 공유.
- 아쉬운 점: 활성화 함수 적용 방식, 수학적 다양성 활용 등 구체적인 내용이 빠짐. 시행착오를 겪었다면 어떤 시행착오인지, 어떻게 극복했는지 자세히 적어야 함.
- 평가: C+등급
- 개선 방안: 나열식 생기부보다는 하나의 스토리라인을 만들어 면접에서 자신감 있게 설명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함. (예: AI 기술 윤리성 -> 디페이크 기사 -> AI 이미지 생성 프로젝트 -> 과학 윤리 이슈 제기)
3. 지구과학원 세특 (일반고, 우하향 2.1등급)
- 내용: 교육 과정 외 블랙홀 탐구 의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제작 소감 밝힘.
- 아쉬운 점: 교육 과정 외 주제를 선택했지만 활동이 단 두세 줄로 끝나버림. 교과 지식 기반 활동만 있어 깊이가 부족함.
- 평가: D등급
- 개선 방안: 탐구의 기승전결 구조를 명확히 하고, 활동 내용을 구체적으로 연결하여 자신의 정체성과 진로 관심사를 드러내야 함.
4. 빅데이터 분석 세특 (일반고, 1.86등급)
- 내용: 파이썬, 오렌지 3 활용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 진행. 지구과학 HR도 응용하여 여론 시각화 방법 구상. 향후 파인튜닝을 통한 감성 분석 포부 밝힘.
- 잘한 점: 개인 과제 탐구 활동을 구체적으로 진행하고, 교과 지식을 융합하여 진로와 연결시킴. 3학년 때 후속 탐구로 이어져 스토리라인 완성도를 높임.
- 평가: A등급
- 개선 방안: 출결 미인정 지각은 면접에서 잘 설명하면 합불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음.
5. 수학 세특 (지방 일반고, 1.5등급)
- 내용: 기하학적 사고 확장, 수학적 사고력 심화 능력 보임. 분자 극성 분석을 위해 쌍극자를 벡터로 표현하여 기하학적으로 분석.
- 잘한 점: 수학에서 화학으로 교과 융합 탐구 시도.
- 아쉬운 점: 구체적인 활동 내용이 부족함. 화학 동아리 실험이나 과제 탐구와 유기적으로 연결하면 더 좋았을 것.
- 평가: B+등급
- 개선 방안: 교과 세특, 동아리, 창체 활동 등 다양한 비교과 활동을 서로 연결하여 흐름을 이어가는 것이 중요.
좋은 생기부의 핵심 꿀팁!
- 나만의 스토리라인 만들기: 이전 학년 탐구에서 후속 탐구 주제로 꾸준히 이어가는 것이 중요해.
- 활동의 깊이와 진정성: 단순 나열식이 아닌, 구체적인 과정과 느낀 점을 담아내야 해.
- 교과 융합 및 연결: 여러 교과목의 지식을 융합하고, 다양한 활동을 서로 연결하여 자신의 강점을 드러내자.
오늘 생기부 판별소,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 구독과 좋아요도 잊지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