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200. TLT, TMF 이렇게 투자하면 안전합니다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1. 저는 TMF 투자를 시작했어요. 우선 천만 원부터 TLT 세배를 추정합니다.
  2. 오늘은 채권 투자 이유와 분할 매수 계획을 이야기할게요.
  3. 금리 인하는 아직 멀었어요. 시장은 금리 인하를 기대하지 않죠.
  4. 금리와 반대로 움직이는 채권은 오를 가능성이 높아요.
  5. TLT는 20년 넘게 상장됐어요. 금리 인하는 두 번밖에 없었어요.
  6. 2006년과 2019년이 대표적이에요.
  7. 금리 인하 초반과 후반에 채권이 상승했어요.
  8. 금리 인하 때 채권은 확실히 오를 수 있어요.
  9. 그래서 저는 채권에 투자했어요.
  10. 하지만 바로 오른다고 기대하지 않아요. 분할 매수 필요해요.
  11. 제가 투자한 건 세배 레버리지 상품이에요. 조심해야죠.
  12. 만약 채권이 계속 오른면 추가 매수는 안 할 거예요.
  13. 가격이 떨어질 때만 매수하는 전략입니다.
  14. 예를 들어, 1천만 원 투자 후 바로 오르면 아쉬워요.
  15. 저는 바닥에서 3천만 원 투자한 셈이에요.
  16. 만약 채권이 하락하면 추가 매수할 계획입니다.
  17. 이 표는 매수 시 참고용으로 고정댓글에 남길게요.
  18. 전고점을 기준으로 과거 최대 하락률(MDD)을 참고해요.
  19. 채권은 금리 인하 기대 때문에 MDD 적용이 의미 없어요.
  20. 그래서 고점은 0으로 보고 있어요.
  21. 제 첫 매수가는 59.2달러입니다.
  22. 금리 인하 기대 때문에 하락 시 더 매수할 계획이에요.
  23. 88% 하락할 때마다 200만 원씩 매수할 예정입니다.
  24. 7% 하락할 때마다 200만 원씩 더 살 거예요.
  25. 이렇게 하면 예상 손실률도 알 수 있어요.
  26. 예를 들어, TMF가 41.2달러면 총 3천만 원 투자입니다.
  27. 평균 단가는 49.5달러, 손실률은 -1.7%입니다.
  28. 손실금은 약 502만 원 예상이에요.
  29. 손실률은 -15% 정도 예상합니다.
  30. 한 분이 질문하셨는데, 채권과 주식 비교를 했어요.
  31. 채권은 금리 인하 후 오르고요.
  32. 주식은 금리 인상 후 하락이 시작돼요.
  33. 인버스는 아직 고려하지 않지만, 나중에 생각할게요.
  34. 인버스는 금리 하락 후 2~3주 뒤에 살 계획입니다.
  35. TMF를 산 이유는 확실히 오를 자산이기 때문이에요.
  36. 정립식 투자는 꾸준히 자금이 필요하죠.
  37. 자금을 마련하려고 TMF에 투자하는 거예요.
  38. 채권이 오르면 팔아서 자금을 마련하는 전략입니다.
  39. 오늘 영상은 여기까지입니다.
  40. 모두 성공적인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