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금융 발전이 더딘 진짜 이유, 전문가가 직접 밝히다!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한국 금융 교육과 문화에 대한 생각 정리
1. 탈북민의 투자 이야기: 자본주의를 배우다
- 탈북민이 한국에 와서 유튜브를 보고 주식 투자를 시작했대.
- 북한에서 몇 년 안 살았는데 엔비디아 같은 걸 알고 투자 90%를 했다는 게 놀라웠어.
- 자본가가 되는 게 이렇게 쉬운 줄 몰랐다고 감사해하더라.
- 한국 친구들은 술이나 마시자고 하는데, 이분은 투자로 미래를 바꾸려고 하니 대조적이었어.
2. 남과 비교하는 문화 vs. 나만의 길
- 한국은 명품이나 남의 시선을 신경 쓰는 문화가 강한 것 같아.
- 돈에 있어서도 남이 얼마 벌고 잃었는지 신경 쓰는데, 그게 내 삶에 영향을 주지 않잖아.
- 나의 미래, 돈으로부터의 자유를 위해 스스로 계획하고 투자해야 하는데, 남들 말에 흔들리는 사람이 너무 많아.
- 미국에서는 남들과 반대로 가는 '역발상' 전략도 쓰는데, 이게 외롭지만 중요한 것 같아.
3. 미디어의 영향력과 교육의 방향
- "열심히 하면 다 된다" 같은 말이나 "설마 얘기하지 마라" 같은 자극적인 광고가 사람들에게 너무 큰 영향을 주는 것 같아.
- 유대인처럼 "사랑 고치는 일"처럼 넓은 의미로 가르치는 교육이 필요해. 한국은 "의사 돼라"처럼 너무 좁게만 가르치잖아.
- 의사도 훌륭하지만, 자본가가 되어 신약 개발 회사에 투자하는 것처럼 다른 길도 많다는 걸 알려줘야 해.
4. 수학 교육과 사고방식의 차이
- 미국 초등학교에서는 덧셈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가르치더라. 답은 같아도 과정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거지.
- 한국은 정답만 맞추는 주입식 교육에 익숙한데, 이건 수학뿐 아니라 다른 분야에도 영향을 주는 것 같아.
- 미국 대학에서 수학 문제를 풀었는데, 이해가 안 된다는 이유로 만점을 못 받았어. 그만큼 사고방식이 다르다는 걸 느꼈지.
- 수학은 정말 천재들만 하는 거고, 일반 사람은 굳이 깊이 파고들 필요 없다고 생각해. 시험 때문에 불필요한 공부를 너무 많이 하는 것 같아.
5. 금융 산업 발전과 시험 문화의 문제점
- 금융 산업 발전을 위해 은퇴한 금융 전문가들이 더 많이 활동할 수 있어야 해.
- 그런데 투자 권유 대행 같은 자격 시험이 너무 어려워. 왜 사람들을 떨어뜨리려고만 하는 걸까?
- 시험 때문에 사람들이 금융 지식을 제대로 배우기보다 시험 통과에만 집중하게 되는 것 같아.
6. 미국 금융 산업의 성공 요인
- 미국 금융 산업이 발달한 건 퇴직연금 제도의 영향이 커. 강제로 투자하게 만들었지.
- 증권 회사 설립이 쉬워서 경쟁이 활발해졌고, 이게 혁신을 이끌었어.
- 한국도 금융업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해.
7. 자본주의와 금융 교육의 중요성
- 자본주의는 부익부 빈익빈이 심해질 수밖에 없어. 개개인이 자본가가 되어야 해.
- 금융 교육을 통해 자본 시장에 참여해야 부를 늘릴 수 있는데, 한국은 금융 접근성이 점점 떨어지고 있어.
- 앱도 어렵고, 지점도 사라지니 금융 문맹인 사람들은 더 소외될 수밖에 없어.
- 보트를 띄워줘야 하는데, 우리는 노 젓는 법만 가르치고 있는 것 같아.
8. 한국의 경쟁 문화와 다양성 부족
- 한국은 남들이 하는 걸 따라 하는 문화가 강해. 반도체, 2차 전지처럼 다 같이 뛰어들었다가 같이 망하는 경우가 많지.
- 유대인 교육처럼 다양성을 존중하고 각자의 길을 갈 수 있도록 해야 해.
- 전기차 배터리에 막대한 자본을 쏟아붓는 것도 비슷한 맥락인 것 같아. 소프트웨어, 자율주행 같은 다른 분야에 투자하는 게 더 나을 수도 있는데 말이야.
9. 한국 금융 시장의 미래와 변화
- 한국 금융 시장이 홍콩이나 싱가포르처럼 되려면 외국 자본 유치와 외국 금융 기관의 재진입이 필요해.
- 상속세 완화, 배당 분리 과세 등 제도 개선도 중요하고.
- 제조업 중심에서 사람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로 전환해야 해.
- 금융 회사의 보상 구조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고객의 이익과 일치하도록 바뀌어야 해.
10. 기업 문화와 해고의 자유
- 미국처럼 CEO가 오랫동안 일하고 장기적인 계획을 세울 수 있는 문화가 필요해.
- 한국은 단기 성과에만 집중하다 보니 장기적인 투자가 어렵지.
- 해고의 자유도 필요해. 능력에 따라 보상받고, 안 맞는 곳에서는 나와서 다른 기회를 찾을 수 있어야 해.
- 넷플릭스처럼 '스포츠 팀'처럼 최고의 플레이어를 필요로 하는 문화가 중요해.
결론적으로, 한국은 금융 교육과 기업 문화 전반에 걸쳐 큰 변화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어. 남과 비교하기보다 나만의 길을 찾고, 다양성을 존중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하고 성장하는 문화가 자리 잡아야 할 것 같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