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평균은 얼마일까?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블라인드와 현실, 너의 진짜 모습은?
요즘 직장인들이 많이 쓰는 블라인드라는 앱 알지? 거기 보면 다들 엄청 잘 나가는 것처럼 보여. 초봉이 5천만 원은 기본이고, BMW X5 같은 비싼 차를 추천하고, 서울에 집 없는 사람은 명함도 못 내민다고 하더라.
근데 이게 진짜 현실일까? 블라인드에 나오는 이야기랑 실제 우리 삶이랑은 좀 다를 수 있어.
평균의 함정에 빠지지 마!
먼저, 30대 초반 평균 연봉이 얼마인지 알아? 블라인드에서는 8천만 원 정도 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약 4천만 원 정도래. 40대 초반도 5천만 원 정도고.
"뭐야, 나는 연봉 3천인데 평균이 4천, 5천이라고? 다들 부자네!" 라고 생각할 수 있지. 근데 여기서 중요한 건 '평균'이라는 거야. 평균은 모두의 연봉을 다 더해서 사람 수로 나눈 거잖아. 그러니까 엄청 많이 버는 대기업 부장님이나 의사 선생님, 변호사 같은 사람들의 연봉이 포함되어 있어서 평균값이 올라가는 거지.
그래서 진짜 내 위치를 알려면 '평균' 말고 '중위 연봉'을 봐야 해. 중위 연봉은 1등부터 100등까지 쭉 세웠을 때 딱 50등 하는 사람의 연봉이야.
- 30대 초반 중위 연봉: 3,600만 원 (월 약 300만 원)
- 40대 초반 중위 연봉: 4,160만 원 (월 약 346만 원)
이것만 봐도 알 수 있지? 30대 중위 연봉이 월 300만 원이라는 건, 30대 전체의 절반은 이것보다 더 적게 번다는 뜻이야. 그러니까 네가 지금 평균보다 적게 번다고 해서 절대 이상한 게 아니야.
자산도 마찬가지야!
"요즘은 월급보다 자산이 중요하잖아. 다들 집도 있고 10억 정도는 있지 않아?" 라고 생각할 수도 있어. 인스타나 블라인드 보면 그런 이야기 많이 하잖아.
근데 그것도 다 진짜일까? 물론 돈이 많은 사람들도 있지만, 부자인 척하거나 소득만 높고 돈을 모으지 못한 사람들도 많아. 그리고 소득은 내가 일을 못 하면 끝이지만, 자산은 그렇지 않잖아. 그래서 소득을 자산으로 바꾸는 게 중요한 거야.
시간은 돈으로 바꾸는 게 아니야!
로버트 기요사키라는 사람이 이런 말을 했어. "시간을 돈으로 환산하는 짓을 하지 마라." 이게 무슨 말이냐면, 내가 일하는 시간을 계산해서 얼마를 버는지 따지는 건 가난한 사람들이 하는 습관이라는 거야.
진짜 똑똑한 사람들은 시간을 시스템으로 바꾸는 사람들이야. 예를 들어, 손흥민 선수가 엄청난 연봉을 받지만, 그건 축구를 잘해서 받는 돈이지, 축구하는 시간을 돈으로 바꾼 게 아니잖아. 메가스터디라는 회사가 7천억 원 정도 되는데, 이건 회사가 시스템으로 돌아가기 때문이야. 아무리 현우진 선생님이 강의를 잘해도, 선생님 스스로는 상장하거나 매각될 수 없잖아.
결국 중요한 건 소득을 자산화하는 것, 즉 사업이나 주식 같은 시스템을 만드는 거야.
비교는 나 자신과만 해!
블라인드나 인스타에 나오는 사람들의 모습은 대부분 가장 잘 나가는 모습만 보여주는 것이야. 마치 연예인들이 방송에서 멋진 모습만 보여주는 것처럼 말이지.
그러니까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면서 "나는 왜 이렇지?" 하고 슬퍼할 필요 없어. 우리가 해야 할 비교는 딱 하나야. 어제의 나, 지난달의 나, 작년의 나와 비교하는 거지.
만약 지금 네가 평균보다 적게 벌거나 자산이 적다고 해도 괜찮아. 중요한 건 지금부터 네 인생을 바꾸기 위해 어떤 행동을 하느냐야. 유튜브를 하든, 책을 읽든, 운동을 하든, 부업을 하든 뭐든 좋아.
남들과 비교하지 말고, 어제의 너보다 더 나은 너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봐. 그러면 분명 지금보다 훨씬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을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