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미국 주식 중간 결산? 울고 웃은 기업들과 시장의 큰 흐름 총 정리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미국 주식 시장 중간 성적표 & 앞으로 관전 포인트! 📈
올해 미국 주식 시장, 정말 다사다난했지? 4월 폭락을 딛고 7월엔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가, 요즘은 관세, 고용, 금리, 실적 때문에 살짝 조정을 받고 있어. 벌써 8월이니까, 지금까지 미국 주식 시장이 어떻게 흘러왔는지, 주요 기업들은 어떤 이야기를 했는지, 앞으로 뭘 봐야 할지 한번 정리해 볼게!
섹터별 성적표 📊
미국 주식 시장은 크게 11개 섹터로 나눌 수 있는데, 섹터별로 보면 더 재밌을 거야. 올해 가장 많이 오른 섹터부터 성적이 안 좋은 섹터 순으로 알아볼게!
1. 커뮤니케이션 (평균 15.5% 상승)
- 뭐 하는 곳? 인터넷, 통신, 미디어 기업들이 모여있어. 우리에게 익숙한 구글, 메타(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넷플릭스 등이 여기에 속해. 온라인 비즈니스가 역시 대세!
- 가장 잘 나가는 기업: 메타! AI 덕분에 알고리즘이 좋아져서 사람들이 인스타그램, 페이스북에 더 오래 머물고, 광고 효율도 높아졌대. 영업이익이 38%나 올랐고, 주가도 연초 대비 30% 넘게 올랐어.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가 직접 AI 인재를 스카웃하는 등 '창업자 모드'로 경영하는 게 큰 영향을 준 것 같아.
- 또 다른 대장: 넷플릭스! 연초 대비 주가가 30% 넘게 올랐고, 매출도 16% 늘었어. 한국 콘텐츠 인기도 실적에 한몫했대.
- 구글: 실적은 좋지만, 검색 시장 지배력 우려와 반독점 이슈 때문에 주가는 크게 못 오르고 있어. 실적 대비 주가(PER)가 빅테크 중에서 제일 낮아.
- 관전 포인트: AI가 앞으로 커뮤니케이션 섹터에 어떤 영향을 줄지, 특히 메타의 AI 투자 성과를 주목해야 해.
2. 산업재 (평균 13.7% 상승)
- 뭐 하는 곳? 방산, 건설, 운송 관련 기업들이야. 한국에서도 방산, 조선주가 많이 올랐지?
- 왜 올랐을까? 지정학적 리스크 때문에 각 나라들이 국방비를 늘리고, 공장도 많이 짓고, 여행/운송 수요도 회복되면서 산업재 기업들이 잘 나가고 있어.
- 대표 기업: 에너지 인프라 기업 G2 번어바는 두 배 올랐고, 항공 방산 기업 GE 에어로스페이스는 60% 넘게 올랐어. 한국의 한화 에어로스페이스는 2.5배나 올랐고, 보잉도 25% 올랐어.
3. 기초 소재 (평균 13.2% 상승)
- 뭐 하는 곳? 원자재, 금속, 화학 등 기초 산업 관련 기업들이야.
- 왜 올랐을까? 기초 소재 가격이 많이 올랐기 때문이야. 특히 금은 올해 25%나 올라서 시장 수익률을 이기고 있어.
- 예외: 화학 섹터는 올해 안 좋았어. 화학 소재 대표 기업인 다우는 주가가 거의 반토막 났지.
- 투자 팁: 이 섹터 기업들은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아서 투자하기 어려울 수 있어. 이럴 땐 섹터에 투자하는 ETF를 활용하는 게 좋아.
- 화제의 기업: MP머티리얼스 (희토류 기업). 희토류는 전자제품, 자동차, 군사 장비에 꼭 필요한 재료인데, 중국이 시장을 독점하고 있거든. 그래서 미국 정부도 이 기업에 투자했고, 애플도 계약을 맺어서 주가가 네 배나 올랐어.
4. 테크 (평균 11.5% 상승)
- 뭐 하는 곳? 반도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기업들이야.
- 대장: 엔비디아! 올해 주가가 35% 넘게 올랐고, 시가총액이 사상 최초로 4조 달러를 돌파했어. 이건 웬만한 나라 전체 주식 시장 규모보다 큰 거야!
- 엔비디아 주가 상승 이유: 미국이 중국에 엔비디아 저사양 반도체 수출을 다시 허용해줬기 때문이야.
- 또 다른 대장: 마이크로소프트! 매출 18%, 영업이익 23% 상승하며 좋은 실적을 보여줬어. 엔비디아에 이어 시총 4조 달러를 돌파했고, 주가도 25% 넘게 올랐어. AI 투자로 돈도 잘 벌고 있다는 걸 보여줬지.
- 떠오르는 스타: 팔란티어! 올해 주가가 두 배 넘게 올랐고, 이번 분기 매출도 48% 증가했어. 다만, 실적 대비 주가가 너무 높다는 우려도 있으니 잘 살펴봐야 해.
- 애플: 올해 성장에 대한 우려로 연초 대비 10% 넘게 빠져있어. 하지만 이번 분기 실적은 예상보다 좋았고, 아이폰 매출도 13% 성장했어. AI 경쟁에서 아직 제대로 된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 게 주가 발목을 잡고 있는데, AI 스타트업 인수도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을 것 같아.
- 피그마: 상장 첫날 공모가보다 세 배 반이나 올랐는데, 기업 입장에서는 더 비싸게 팔 수 있었던 기회를 놓친 셈이지.
5. 금융 (평균 9.7% 상승)
- 뭐 하는 곳? 은행, 보험, 신용카드 등 금융 관련 기업들이야.
- 코인 관련주: 코인베이스 주가는 연초 대비 25% 올랐고, 서클은 상장 후 두 달간 주가가 두 배 반이나 올랐어. 한국 투자자들이 이쪽에 관심이 많다는 걸 알 수 있지.
6. 유틸리티 (평균 9.4% 상승)
- 뭐 하는 곳? 전기, 수도 등 공익 사업 기업들이야. 전체 시장에서 비중은 작지만 꾸준히 오르고 있어.
7. 필수 소비재 (평균 4.7% 상승)
- 뭐 하는 곳? 식료품, 생활용품 등 꼭 필요한 소비재 기업들이야.
- 대표 기업: 월마트, 코스트코, PNG, 펩시, 코카콜라 등.
- 가장 좋아하는 기업: 몬스터 베버리지! 지난 25년간 미국 주식 시장에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어. 25년 전 10만 원을 투자했다면 지금 1억 5천만 원이 된 셈이지. 엔비디아보다도 두 배나 높은 수익률이야!
8. 부동산 (평균 2% 상승)
- 뭐 하는 곳? 대부분 리츠(REITs) 기업들이야. 수익률보다는 배당이 더 중요한 섹터라고 할 수 있어.
9. 에너지 (평균 -0.2% 하락)
- 뭐 하는 곳? 석유, 정유, 가스 기업들이야. 유가 하락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올해는 간신히 마이너스 수익률을 면했어.
10. 경기 소비재 (평균 -2% 하락)
- 뭐 하는 곳? 자동차, 명품 등 경기에 민감한 소비재 기업들이야.
- 명품 기업: LVMH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하락했고, 주가도 연초 대비 30% 가까이 빠졌어. 일본 관광객 감소가 매출에 영향을 준 것 같아. 케어링 (구찌 등 보유)도 매출이 16% 하락했고, 구찌 영업이익은 반토막 났어.
- 자동차 기업: 실적이 전반적으로 좋지 않아. 특히 테슬라는 매출 -12%, 영업이익 -42%로 더 안 좋았어. 영업이익률도 4.1%까지 떨어졌는데, 이는 현대차보다도 낮은 수치야. 테슬라 주가는 연초 대비 25% 빠졌고, PER은 무려 180배에 달해. 미래 기대감만으로 이렇게 고평가된 게 말이 될까 싶지만, 한국 투자자들은 테슬라에 많이 투자하고 있어. 테슬라가 삼성전자와 23조 원 규모의 파운드리 계약을 발표한 건 긍정적인 소식이야.
- 아마존: 데이터 센터 사업 매출 성장이 18%로, 마이크로소프트(39%), 구글(32%)보다 낮아지면서 주가가 하락했어.
- 스타벅스: 중국 시장에서 로컬 커피 체인에 밀려 시장 점유율이 크게 하락했고, 미국 내에서도 기존 매장 매출이 6분기 연속 하락했어.
11. 헬스케어 (평균 -3% 하락)
- 뭐 하는 곳? 바이오, 제약 기업들이야.
- 미국 최대 헬스케어 기업: 유나이티드 헬스 그룹은 실적 부진, 법적/규제 문제 등으로 주가가 반토막 났어.
- 제약 회사: 노보 노디스크 (비만약, 당뇨약)와 일라이 릴리 (당뇨약)도 주가가 하락했어. 트럼프의 약값 인하 압박도 제약사들의 미래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앞으로의 관전 포인트 🧐
- AI의 영향: AI가 앞으로 어떤 섹터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지 계속 지켜봐야 해. 특히 메타,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의 AI 투자 성과가 중요할 거야.
- 금리 인상 가능성: 금리 인상 여부가 시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어.
- 중국 관련 이슈: 미중 무역 갈등, 희토류 공급 등 중국 관련 이슈들이 계속해서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어.
- 기업별 실적: 앞으로 발표될 기업들의 실적이 주가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거야.
올해 하반기에는 어떤 섹터에 주목하고 있는지,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댓글로 알려주면 재밌을 것 같아! 다음 시간에 더 유익한 정보로 돌아올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