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요약 제목

NMN 영양제 논란과 FDA 판매금지 해설: 암 유발 가능성 정리

원본 제목

NMN 영양제 논란 총정리. FDA 판매금지, 암 유발 가능성, 과연 계속 먹어도 될까?

배석철의 비타민B3 LAB

조회수 조회수 1.4K 좋아요 좋아요 80 게시일 게시일

설명

회춘 영양제, 불로장생의 묘약으로 알려졌던 NMN. 그런데 미국 FDA가 돌연 NMN의 판매를 금지했습니다. 암세포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는 충격적인 보고 때문이라는데... NMN을 판매하는 업체들은 거대 제약사가 신약 특허를 독점하기 위한 '음모'라고 반박합니다. 과연 누구의 말이 진실일까요? 충북대학교 배석철 교수님께서 이 논란의 핵심을 자세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50조 원대 소송으로 세계 10대 제약사를 파산시킨 실제 사례를 통해, 우리가 몰랐던 제약업체가 한순간에 망할수도 있는 이유를 알려드립니다. NMN을 드시고 계시거나, 구매를 고민하셨던 분들이라면 반드시 끝까지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타임라인 (Timeline) 00:00 FDA는 왜 NMN 판매를 금지했나? (논란의 시작) 00:51 ※충격주의※ 150조 배상금! 거대 제약사 '와이어스'는 왜 파산했나? 03:57 FDA의 공식 발표 : NMN 장기 복용의 '안전성' 문제 05:02 판매자들의 반박 : '데이비드 싱클레어'와 제약사의 특허권 음모론 06:20 NMN은 천연물질, 특허로 독점할 수 없는 이유 (용도 특허의 한계) 07:35 '노화'는 질병이 아니다? NMN이 애초에 '신약'이 될 수 없는 이유 08:40 최종 결론 : FDA 발표 vs 판매자 해명, 무엇을 믿어야 할까? 09:36 NMN 논란에 대한 가장 합리적인 해석 👍 영상이 유익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로 응원해주세요! NMN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댓글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눠주세요. ※ 안내 말씀 본 영상은 과학적 사실과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한 지식 전달을 목적으로 합니다. 특정 제품의 구매나 섭취를 권장하거나 비방하려는 의도가 없으며, 모든 건강 관련 결정은 반드시 전문 의료진과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자막

자막

전체 자막 보기
안녕하십니까.

청북대다 배석철 교수입니다.

어, 최근에 미국 FD에서 판매를 금지하였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왜 그 미국 FDA에서 판매를 금지했을까요? 그 판매 금지 이유는 뭐냐면은이 NM을 식품으로 복용할 때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았다 하는 문제 때문입니다.

그리고 최근에 이어지는 몇 가지 보고들이 암환자들이 NM을 복용하했을 때 암의 성장이 촉진되었다 하는 그런 보고들도 있습니다.

근데 과연 이런 것이 정말 그런 것인지 아니면 뭔가 다른 이유가 있어서 그런 것인지에 대해서 여러 가지 궁금증을 가지신 분들이 많기 때문에 제가 몇 가지 자료를 준비해 보았습니다.

이거는 그 미국에서 발생한 유산 사례 중 하나입니다.

이 와이어스라고 하는 그 미국의 제약 회사는 사실은 다국적 제약 회사고요.

어, 전 세계 10대 제약 회사로 어, 정말 상상하기 힘든 그 크기의 제약 회사입니다.

이 와이어스라는 회사에서 1995년에 한 가지 획기적인 제품을 개발했는데 바로이 여성 호르몬을 이용해서 여성의 권다공증을 치료하겠다고 하는 것입니다.

이 이 여성들은 폐경 후에 여성 호르몬이 급격하게 감소하게 되는데이 여성 호르몬의 감소는이 본 리모델링 그 뼈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호르몬이 없어짐으로 해서 급격하게 골다공증에 노출되게 됩니다.

그러니깐 여성들의 골다공증은 거의 대부분이 여성 호르몬의 부족 때문에 생기는 것입니다.

여기에 차관에서 YS는이 세경후 여성 골다공증 치료제로 프럼프로라고 하는 약을 개발했습니다.

이 약은 다름이 아니라 바로 여성 호르몬을 공급하는 약입니다.

굉장히 많은 여성들이이 프럼프로라는 약 때문에 건강한 뼈를 가지게 됐고 어 건강한 어 노년을 살 수 있게 됐습니다.

근데 그로부터 6년이 지난 후에 67세 여성 한 명이이 프롬프로 복용 후에 유방암이 발생했습니다.

그래서 소송을 제기했는데에 내가 유방함이 생긴 거는이 프럼프로 때문이다 한 것이죠.

근데이 사람들은 프롬프로 안 먹어도 유방함이 생기거든요.

그러니깐 꼭 프롬프로 때문에 유방함이 생겼는지 아니면 자연 발생적으로 유방이 생겼는지를 검증할 방법이 없습니다.

그런데 그때 마침 그 여성 호르몬을 고용량으로 썼을 때 유방암이 발병할 수 있다고 하는 동물 실험 결과가 논문으로 발표됐습니다.

그 논문에 근거해서이 여성이 소송을 낸 것입니다.

여기서 그로부터 6년 후에 미국 지방법원에서 와이어스는 환자에게 300만 달러, 약 한 40억 원을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리게 됐습니다.

그런데이 환자는 여기서 만족하지 않고 내 생명은 값이 40억만밖에 안 되단 말이냐 하고 다시 미국 연방 법원에 재소를 했고 미국 연방 법원에서는 2,700만 달러 약 한 400억 정도를 지급하라고 배상을 한 판결을 냈습니다.

그러니깐이 와이어스의 프롬프로를 복용하고 유방암에 걸린 5천년의 여성들이 다시 미국 연방 법원에 또 재소를 했습니다.

나도가 그렇다.

나도 그렇다.

그 사람 5,명이 되니까 이건 큰 일은 났죠.

그걸 배상을 하면은 그이 회사를 다 팔아도 안 돼.

150조 이상 필요한데요.

2009년에이 소송 때문에이 와이어스는 파산하고 결국은 그 화의자에 합병됐습니다.

미국 10대 제약 회사 같은 거대한 회사도 한 제품이 문제가 발생했을 때 특히 암발병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런 회사 파산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게 특히 미국 법이 이런 점에서 극도로 무섭습니다.

한국은 있을 수 없는 일이죠.

근데 FDA는 왜 NML의 판매를 금지했을까요? 모든 NM을 판매를 금지한 것이 아닙니다.

미국 FDA에서는 건강보충제로서의 NM 판매를 금지한 것입니다.

이건 무슨 뜻이냐면이 전에 미국 FDA에서 그 NML에 대해서 건강 보충제로 허가를 해 줬습니다.

다시 말하면은 NML는 안전한 식품이므로 이거를 건강 보조제로 미국 국민이 먹어도 안전하다고 하는 바로 허가를 내 준 것인데 그 허가를 취소한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앞으로는 NM을 복용해서 하하하다가 어떤 그 부작용으로 문제가 발생해도 FDA는 책임지지 않는다 그 말입니다.

그 이유가 뭐냐면 장기 복용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제기됐기 때문입니다.

그 장기 복용에 대한 안전성 문제 중에 한 가지 중요한 이슈가 뭐냐면 암환자가를 복용했을 때 암 발병이 촉진될 수 있다 하는 점에 대해서이 정말 그것으로부터 확실히 안전하냐에 대한 증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이게 이제 미국 FDA 공식 발표인데 NM을 판매하는 판매업자들의 해명은 또 다릅니다.

이 메트로 인터내셔널 바이오텍이라고 회사는 그 NM이 그 노화 방지 물질로서 굉장히 중요하다고 하는 걸 처음 주장한 데이드 싱클리어 박사가 만든 회사인데이 회사에서 특호 보호권을 FDA 요청하고 FD 판매 중지 결정을 내렸다.

그러니까이 회사에서 NM을 가지고 약을 만들려고 하기 때문에이 판매를 중지시켜 달라고 요청했다고 하는 것인데 어느 쪽이 더 맞을까요? 이제 우리는 그냥 들려오는 소식만 전에 듣기 때문에 사실 어느 쪽이 맞는지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미국 F대 공식 발표는 안전성 문제로 제기된 겁니다.

그럼 약은 어떠냐? 약은 안전성이 비교적 낫습니다.

왜냐하면 그 의사와 관리를 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근데 건강 기능 식품은 아무나 사서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안전 관리가 안 되죠.

그러니까 이제 관리하는 제품으로 하겠다 하는 것인데 이런 그이 약으로 개발을 할 때 아까 제가 프롬프로를 말씀드렸죠.

암과 관련해서 암을 악화시킬 수 있는 그런 제품은 이게 수많은 사람들에게이 100만 명에게 도움이 돼도 몇십 명에게 해가 되면 그 회사는 망하게 됩니다.

과연 그런 그 위험한 사업을이 메트로 인터내셔널 바이오텍에 살 수 있을까요? 또 하나는이 NM이라고 하는 물질은 우리 생명체 안에 존재하는 물질입니다.

그래서 이런 NML 같은 천연 물질은 물질 특허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럼 어떤 특허는 존재할 수 있냐? 그는 용도 특허가 존재하는 겁니다.

이 용도 특허는 물질 특허에 비해서 굉장히 그 보호되는 범위가 좁습니다.

그 물질 자체에 대해서 특허를 보호받으면 그 물질을 가지고 어떤 용도로 특허를 걸어도 다 보호받을 수 있지만 물질 특허가 없는 경우에는 용도를 걸면 그 용도 부분만 보호받고 나머지는 열려 있는 겁니다.

예를 들면이 비타민 B3로 암을 예방하고 체료할 수 있다고 하는 특허는 저희가 가지고 있습니다.

이 특허는 이제 전 세계에서 우리만 가지고 있는 특허인데 그렇다고 해서이 특허를 가지고 다른 사람들이이 비타민 B3의 그 에너지 형성의 용도 또는 그 펠라그라 예방용 이런 식으로 다른 용도로 제품을내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권한이 이특커에는 없습니다.

다시 말하면은이 NMN이이 노화 방지 및 건강 증진 효능에 대해서 용도 특허가 있을지라도 다른 그 용도에 대해서는 특허를 보호받을 수가 없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노화 방지나 건강지는 노화는 질병이 아닙니다.

질병이 아니면 그거를 거기에 대해서 개발하는 거는 약으로 만들 수가 없습니다.

약은 오직 질병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만드는 것이 약이기 때문에 노화 방지용으로 약을 만들겠다.

이건 약이 아닌 겁니다.

그래서 이제 앞에서 미국 어떤 기업이 노화방지용 약을 만들기 위해서 건강 보조 식품의 판매를 제한하기를 FDA 요청했다고 하는 것은 어 굉장히 이해하기 힘든 설명이 될 수 있습니다.

미국 법 규정을 보면은 노화는 질병이 아니기 때문에 의학품 개발 대상이 아닙니다.

그리고 동일한 성분지라도 규제 기관의 승및 규정에 따라서 건강 기능 식품으로 계속 판매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비타민 D 같은 경우는 건강 보조식품으로도 팔리고 약으로도 팔립니다.

어떤 제품이 약으로 개발한다고 해서 건강 보조 식품으로는 판매할 수 없다.

그런 것은 아닙니다.

이제 요런 이해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NMN이 약으로 개발되기 위해서 판매를 금지했다 하는 것은 어 잘 굉장히 이해하기 어려운 설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제 정합하면 미국 FD 공식 발표는 장기 복용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생기고 그래서 건강 보충제로서의 판매 금지 결정을 내렸다.

요게 공식 발표고 판매자 해명은 이렇게 특허권 보호를 요청했다고 하는데이 경우는 그 약을 전공한 사람으로서 굉장히 이해하기 힘든 해명입니다.

왜냐면이 ys 예를 보면 ys는 아주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그 여성 호르몬을 가지고 골다육 치료제를 만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예상치 못한 그 유방 발병으로 해서이 거대한 회사가 망해 버렸는데 이런 예는 그 제약 업계에서 너무나 잘 알려져 있는 예입니다.

근데 과른 이런 똑같은 길을 걷겠다고 네트로 인터내셔널 바이오텍에서 시작할 수 있을까요? 예를 들면이 그 어떤 특정 암의 성장을 촉진시켰다고 하는 그런 보고가 있는 상황이면은 너무 두려워서 하기 굉장히 어려울 것입니다.

이상으로이 미국 FDA가 왜 판매를 왜 금지했을까 하는 내용에 대해서 몇 가지 정리해 봤습니다.

이게 공식적인 발표고 이거는 해명인데이 해명보다는 미국 FDA의 공식 발표 장기 복용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때문이다.

이렇게 이해하는 것이 훨씬 합리적인 해석이 될
영상 정리

영상 정리

1. 미국 FDA는 NM 판매를 금지했어요.

2. 이유는 장기 복용 안전성 문제 때문입니다.

3. 특히 암 환자가 복용 시 암 성장 촉진 우려가 있어요.

4. 과거 미국에서 여성 호르몬 약으로 유방암 사례가 있었어요.

5. 한 여성은 유방암 후 소송에서 큰 배상 판결을 받았어요.

6. 큰 제약사도 암 문제로 파산하는 일이 있었어요.

7. FDA는 NM이 안전하지 않다고 판단했어요.

8. 판매업체는 NM이 노화 방지용이라 주장했어요.

9. 그러나 FDA는 건강보조제 안전성 문제를 근거로 했어요.

10. 약은 의사 관리 아래 안전하게 개발돼요.

11. 건강기능식품은 아무나 먹을 수 있어 안전 관리가 어려워요.

12. NM은 우리 몸에 자연스럽게 존재하는 물질이에요.

13. 물질 자체는 특허받기 어려워요.

14. 대신 용도 특허는 가능하지만 범위가 좁아요.

15. 노화는 질병이 아니기 때문에 약으로 개발 어렵습니다.

16. 미국에서는 노화 관련 제품이 약이 아니에요.

17. 비타민 D처럼 건강보조식품과 약 모두 가능해요.

18. NMN이 약으로 개발되기 위해 판매 금지된 건 이해 어렵습니다.

19. 공식 발표는 안전성 문제로 판매 금지라고 해요.

20. 업체 해명은 특허권 보호 요청이라고 하지만 설득력 없어요.

21. 과거 여성 호르몬 사례처럼 큰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22. 미국 FDA의 공식 발표를 더 신뢰하는 게 맞겠어요.

23. 결론은, 장기 복용 안전성 문제로 판매가 금지된 거예요.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