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시작하는 투자법! 고명환 작가가 밝히는 경제적 자유 비결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뇌를 미래 예측 기계로 만드는 법 (독서와 투자, 그리고 삶의 설렘)
1. 뇌를 좋은 경험으로 채워 미래를 예측하자!
- 핵심: 우리 뇌는 실제와 상상을 구분 못 해. 그래서 책으로 간접 경험을 쌓는 게 중요해.
- 경쟁자: 현실 세계에서 경쟁자랑 경험은 비슷해.
- 차별화: 남들보다 독서라는 간접 경험을 더 많이 쌓아서, 남들이 못 보는 세계를 볼 수 있는 뇌를 만들면 돈은 저절로 따라와!
2. 투자는 나 자신에게 9, 세상에 1!
- 투자 비율: 나 자신에게 90%를 투자하고, 세상에는 10%만 투자해.
- 나 자신에게 투자: 자신을 발전시키는 데 돈을 써.
- 세상에 투자: 주식, 부동산 등 투자에 10%만 써.
- 투자 목표: 연 10% 수익률을 목표로 해. (성공한 투자자들의 평균 수익률)
- 장기 투자: S&P 500, 나스닥 100 추종 ETF에 투자하고 20년 동안 돈을 찾지 마. (70세에 찾을 계획)
- 핵심 마인드: 10% 수익률이면 충분해. 더 높아지면 좋지만, 아니어도 괜찮다는 마음으로 투자해.
3. 돈은 '생산'하려고 써야 설렌다!
- 돈 쓰는 법: 돈을 벌어서 나를 위해 쓰는 것보다, 무언가를 생산하기 위해 돈을 쓰는 것이 훨씬 설레고 행복해.
- 생산의 의미: 내가 먹으려고 요리하는 것보다, 부모님을 위해 요리할 때 더 설레는 것처럼, 남 또는 지구를 위해 생산할 때 우리는 설렘을 느껴.
- 설렘의 힘: 하루하루 설렘과 기대로 살면, 돈 버는 것도, 일하는 것도 즐거워져. 월급만 보고 시간 때우는 삶은 괴로울 뿐이야.
- 예시:
- 다이소 박정부 회장님: 1,000원짜리 유리잔을 만들고 싶다는 생각으로 밤새 회의하고 제조 방식까지 제안하며 설렘을 느꼈고, 결국 성공했어. 1억 불 수출탑보다 그 과정의 설렘이 더 컸다고 해.
- 나 자신을 위해 생산: 돈이 부족해도 시스템을 만들거나 유리잔을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우면 돈이 더 잘 벌린대.
4. 내 안의 잠재력을 깨우는 독서법
- 의사 선생님의 고민: 의사라는 직업에 설렘을 느끼지 못하고, 다른 길을 찾아야 할지 고민하는 의사 선생님에게.
- 다시 질문: 왜 의사가 되었는지, 지금 설레는 마음으로 일하는지 스스로에게 물어봐.
- 변화: 환자를 대하는 마음가짐을 바꾸거나, 의사라는 직업 안에서 설렘을 찾을 수 있어.
- 새로운 가능성: 의사 말고도 다른 가능성이 많아. 책을 통해 자신 안에 잠재된 다른 재능을 발견할 수 있어.
- 김민식 PD의 예시: 희망 퇴직을 선택했지만, 책을 통해 미래를 내다보고 새로운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어.
- 핵심 원리: 우리 뇌의 뉴런은 책을 읽으면서 파뿌리처럼 자라나고, 연결될 때 더 잘하게 돼.
- 나만의 길 찾기:
- 혼란 주기: 문학, 과학, 철학 책을 10쪽씩 번갈아 읽으며 뇌에 혼란을 줘.
- 기억하려 하지 마: 책을 읽고 기억하려 하지 마. 그냥 뇌를 자극한다는 생각으로 읽어.
- 산책과 자연: 책을 읽고 산책하거나 자연을 보면,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르고 세상을 보는 시야가 넓어져.
- 문득의 순간: 책을 읽다가 "이 정도는 나도 할 수 있겠는데?" 하는 순간을 놓치지 마. 그게 잠재력을 깨우는 신호야.
- 결론: 책을 통해 뇌를 발전시키고, 자신 안에 숨겨진 가능성을 발견하면, 지금의 삶을 바꾸거나 새로운 길을 개척할 수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