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꺼낸 중국 제압 비장의 카드, 숨통을 조이다!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요약 정리 (중학생 눈높이)
1.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앞으로 어떻게 될까?
- 더 오래 갈 수도 있어: 전쟁이 끝나고 휴전하기까지 시간이 아주 오래 걸릴 것 같아. 6.25 전쟁보다 더 길어질 수도 있대.
-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안타깝게도 전쟁 때문에 물건을 사고파는 것(수출 통제)이나 다른 나라에 대한 제재가 더 복잡하고 어려워질 수 있어. 우리 기업들이나 산업이 이런 변화에 어떻게 적응해야 할지 잘 지켜봐야 해.
2. 트럼프, 왜 지지율이 안 떨어질까?
- 지지층만 본다: 트럼프는 원래 자기 지지하는 사람들만 보고 정치하는 스타일이야. 우리나라 대통령처럼 모두를 통합하겠다는 말은 거의 안 해.
- 미국은 원래 갈라져 있어: 미국은 한국보다 훨씬 더 의견이 갈라진 나라야. 대부분의 주는 이미 어느 당이 이길지 정해져 있어서, 트럼프는 자기 지지층(약 40%)만 잘 챙기면 돼.
- 지지층이 튼튼해: 트럼프 지지율은 40~45% 사이를 왔다 갔다 하는데 크게 변하지 않아. 지지층이 흔들리지 않는 한 계속 강할 거라고 봐.
- 장점과 단점:
- 장점: 지지층을 엄청나게 결집시켜서 투표율을 높일 수 있어. (1기 때 졌지만 역대 공화당 대통령보다 많은 표를 얻었어)
- 단점: 반대하는 사람들을 너무 화나게 해서 그들도 똘똘 뭉쳐 트럼프를 이기게 만들어. (결국 그래서 졌지)
- 결론: 트럼프의 정치 스타일은 지지층을 모으고, 그 힘으로 최대 효과를 내는 거야. 하지만 반대 세력이 너무 강해지면 지기도 해.
3. 트럼프 탄핵 시위, 진짜일까?
- 시위는 늘 있어: 우리나라에서도 대통령 되자마자 탄핵 시위가 있었던 것처럼, 미국에서도 시위는 늘 있을 수 있어.
- 이민자 문제: 특히 트럼프가 이민자 단속을 강하게 하면서 반발이 커졌어. 이건 트럼프가 국내 지지층을 결집시키고, 반대 세력을 자극하려는 정치적인 계산일 수도 있어.
- 탄핵 가능성은 낮아: 하지만 미국은 지금까지 대통령 탄핵을 한 적이 없고, 지금 상황으로는 탄핵될 가능성은 거의 없어. 트럼프 지지층이 워낙 튼튼하고 공화당이 흔들리지 않기 때문이야.
4. 트럼프는 왜 군사 열병식에 집착할까?
- 강한 지도자 되고 싶어: 트럼프는 마음속으로 강한 지도자가 되고 싶어 하는 욕망이 있는 것 같아. 프랑스 열병식을 보고 자신도 하고 싶어 했지.
- 군대는 안 따라줬어: 처음에는 국방부 장관이나 합참 의장 같은 사람들이 "미군은 싸우는 군대지 허세를 부리는 군대가 아니다"라며 반대했어. 그래서 탱크나 무기를 그냥 길거리에 전시하는 식으로 넘어갔지.
- 이번엔 가능했어: 하지만 이번에는 국방장관으로 온 사람들이 트럼프에게 충성하는 사람들이라 열병식을 할 수 있게 분위기를 만들었어.
- 진짜 중요한 건: 단순히 충성파로 구성됐다고만 생각하면 안 돼. 이렇게 되면 대통령 한마디로 군사 작전까지 마음대로 할 수 있게 될 수도 있다는 걸 알아야 해. 예전에는 국방부 장관 같은 사람들이 대통령의 잘못된 명령을 막을 수도 있었지만, 이제는 그럴 가능성이 줄어든 거지.
5. 트럼프의 중동 개입, 지지층도 갈라졌다고?
- "세계 경찰 그만!"이라더니: 트럼프는 "미국은 더 이상 세계 경찰이 아니다"라는 슬로건으로 나왔는데, 이번에 이란과 전쟁에 끼어들었어.
- 이스라엘과 유대인 세력: 트럼프가 이란 문제에 개입하게 된 건 미국 내 이스라엘과 유대인 세력의 지지가 있기 때문이야.
- 지지층도 "왜?" 하고 있어: 그래서 트럼프 지지층 안에서도 "전쟁 안 한다면서 왜 끼어들었냐"며 의견이 갈리고 있어. 폭스 뉴스 진행자였던 터커 칼슨도 트럼프와 사이가 안 좋아졌을 정도야.
- 결론: 트럼프의 행동은 이례적이고, 지지층 내에서 논란이 있지만, 전쟁이 크게 확산되지 않고 마무리되면서 지지율이 크게 흔들리지는 않았어.
6. G7 정상회의 조기 귀국, 왜 그랬을까?
- 러시아 제재 압박 피하려: G7 정상들이 러시아 제재에 대한 트럼프의 지지를 얻으려고 했는데, 트럼프는 이런 압박을 피하려고 일찍 돌아온 것 같아.
- 자기 마음대로 하는 스타일: 트럼프는 자기 마음대로 하는 걸 좋아해서, 다른 나라들의 이런저런 이야기를 듣는 걸 꺼렸을 가능성이 높아.
7. 트럼프, 러시아 제재 강화? 완화?
- 푸틴에게 속았다고 화났어: 트럼프는 푸틴에게 속았다고 생각해서 화가 많이 났어. 그래서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겠다고 했지.
- 하지만 조건이 붙었어: "50일 안에 휴전 안 하면 러시아에 100% 관세를 물릴 거야"라고 했어.
- 이것도 약할 수 있어: 근데 러시아가 미국으로 수출하는 물건이 많지 않아서 100% 관세가 큰 타격이 아닐 수도 있어. 미국 상원에서는 훨씬 더 강한 제재 법안도 통과시켰거든.
- 푸틴은 자신감 넘쳐: 푸틴은 미국의 제재나 수출 통제에 굴복하지 않겠다고 말할 정도로 자신감이 붙어 있어. 그래서 트럼프의 100% 관세에 굴복할지는 의문이야.
- 트럼프 생각도 바뀌는 중: 하지만 트럼프도 이제 푸틴에게 속지 않겠다고 생각하는 것 같아. 과거에는 협상을 위해 강하게 나가지 않으려 했지만, 이제 생각이 조금 바뀌고 있는 것 같아.
8. 트럼프의 러시아 정책 변화, 전쟁에 영향 줄까?
- 결론부터 말하면, 쉽지 않아: 트럼프의 러시아 정책이 변한다고 해서 러시아가 쉽게 물러서지는 않을 거야. 전쟁은 아주 지루하고 소모적인 싸움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 더 정교해지는 제재: 앞으로 수출 통제나 제재가 더 복잡하고 어려워질 수 있으니, 우리 기업들이 어떻게 적응해야 할지 잘 지켜봐야 해.
9. 미국은 왜 중국 견제에 군사력 대신 수출 통제와 금융 제재를 쓸까?
- 피 흘리고 싶지 않아: 미국은 더 이상 전쟁으로 피를 흘리고 싶어 하지 않아. 우크라이나 전쟁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지 않는 것처럼 말이야.
- 달러의 힘: 미국은 달러라는 강력한 무기를 가지고 있어. 이걸 이용해서 수출 통제나 제재를 하는 거지. "우리 달러 못 쓰게 할 거야!" 또는 "우리 시장에 못 팔게 할 거야!"라고 할 수 있으니까.
- 한국도 조심해야 해: 우리가 앞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차세대 산업들(반도체, AI 등) 대부분이 미국의 수출 통제 대상이야. 유럽도 러시아 때문에 이런 제재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 중국도 제재 대상: 러시아 무기의 많은 부분이 중국에서 오기 때문에, 미국은 중국 기업이나 은행까지 제재하고 있어. 이건 동맥을 끊는 것과 같아서 아주 심각한 문제야.
- 결론: 앞으로 제재와 수출 통제를 아주 의식하고 철저하게 준비해야 하는 시대가 온 거야.
10. AI, 반도체도 수출 통제 대상이라고?
- 맞아, 둘 다 통제해: AI와 반도체 모두 수출 통제 대상이야. 우리가 스타트업에서 AI를 개발한다고 해도, 이걸 홍콩이나 다른 나라에 잘못 수출했다가는 바로 제재를 받을 수 있어.
- 점점 더 세분화될 거야: AI 반도체 같은 것들은 어디서 어떻게 사용될지 모르기 때문에, 앞으로 제재가 더 세분화되고 복잡해질 거야.
- 기업들도 조심해야 해: 이런 부분은 아주 전문적인 영역이라서, 기업들은 물론이고 스타트업들도 정말 조심해야 해.